目次

目次

서문 _5 해제 - 열린 정치와 소통하는 리더십의 고전, 《정관정요》 _18 정관정요서貞觀政要序 _34 권1 제1편 군도(君道 : 군주의 도) _38 군주가 바르면 나라가 안정된다 | 현명한 군주와 어리석은 군주 | 창업과 수성의 비중은 상황에 따라 다르다 | 수나라의 멸망이 던지는 교훈 | 저절로 다스려지게 하라 | 뿌리를 튼튼하게 하는 이유 | 무위지치의 열 가지 방법 | 군주와 신하는 물고기와 물의 관계와 같다 | 편안함을 경계하라 제2편 정체(政體 : 정치의 요체) _57 활의 오묘한 이치를 파악하라 | 한 사람의 뜻을 꺾어야 하는 이유 | 경전에 정통하라 | 침묵이 독이 되는 이유 | 지나치게 꼼꼼하면 사리에 밝지 못하다 | 질병을 치료하듯 다스려라 | 구중궁궐에서도 삼가야 하는 이유 | 신하가 직간하게 하라 | 탁월한 장인이 있어야 보옥이 빛을 본다 | 큰 기러기가 얕은 연못으로 나오면 화살을 맞는다 | 뿌리가 흔들리지 않아야 가지와 잎이 무성해진다 | 군주가 먼저 엄정하고 공명해야 한다 | 스승 같은 신하가 필요하다 | 국법의 위력을 갖춰라 권2 제3편 임현(任賢 : 현신을 임용하라) _82 창업의 공신, 방현령 | 제왕의 업에 필수 불가결한 두여회 | 3백 번이나 간언한 위징 | 인물평에 뛰어난 왕규 | 북방에서 맹위를 떨친 명장 이정 | 당대의 명신, 문인 우세남 | 순박하고 충직한 전략가 이적 | 기민한 두뇌를 갖춘 변론가 마주 제4편 구간(求諫 : 간언을 장려하라) _112 신하란 군주의 허물을 비추는 거울 | 간언하는 신하가 있어야 멸망하지 않는다 | 게으름은 최고의 적 | 감정이 화를 부른다 | 관용봉과 비간이 되어라 | 적이라도 심복으로 받아들여라 | 간언하는 분위기를 만들어라 | 신하들이 침묵하는 이유 | 거울 앞에서 모습을 비추어보라 | 문제의 싹은 미리 자른다 제5편 납간(納諫 : 간언을 수용하라) _128 군주라도 다른 사람의 아내를 빼앗으면 되겠는가 | 큰 궁궐은 백성을 떠나게 한다 | 말 한마디로 천하를 이롭게 한다 | 말이 죽었다고 사육사를 죽여서는 안 된다 | 백성의 욕망과 군주가 지닌 욕망의 차이 | 원칙을 지키는 데에는 위아래가 따로 없다 | 격하고 절박한 간언은 비방하는 것처럼 들린다 | 나 홀로 천리마를 타고 어디로 간단 말인가 | 달콤한 말로 가득 찬 상소문을 경계하라 |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 | 약혼한 여자는 군주도 탐하지 말라 | 연못 물을 말려 물고기를 잡으려는가 | 소인들은 모함과 비방만 일삼는다 | 현신과 충신은 어떻게 다른가 | 하늘 제사도 백성의 뜻대로 | 사당 아래의 쥐를 없애지 못하는 이유 | 군주의 잘못은 신하가 간언하라 | 집안의 진주를 파는 것이 죄가 되는가 | 사사로운 애정보다는 나라의 법이 우선이다 | 장점을 보고 등용하라 | 일관된 치도를 행하라 권3 제6편 군신감계(君臣鑒戒 : 군주와 신하가 거울삼아 경계함) _176 다스림은 군주와 신하 공동의 책임 | 감옥을 비우라 | 선한 자와 악한 자의 귀결점 | 미천했을 때의 마음가짐을 끝까지 갖고 간다 | 신하는 군주 하기 나름이다 | 물고기는 물을 떠나면 죽지만, 물은 여전히 물이다 | 군주가 행할 네 가지 | 정치적 혼란과 책임의 소재 제7편 택관(擇官 : 관리 선발) _199 천 장의 양가죽이 여우 겨드랑이 털 하나만 못하다 | 널리 보고 멀리 듣는 요령 | 사람을 임용하는 것은 그릇을 쓰는 것과 같다 | 중후한 외모와 화려한 언어를 경계하라 | 태평성대에는 덕망과 재능을 겸비한 자가 필요하다 | 지방관의 선발도 소홀히 할 수 없다 | 상서성의 관리를 엄선해야 나라의 기강이 선다 | 자천은 위험하다 | 대의로써 신하를 인도하라 | 신하의 행위에는 여섯 가지 장단점이 있다 | 포상과 징벌에는 공정하라 | 때로는 말이 필요 없다 제8편 봉건(封建 : 봉건제) _222 공신을 예우하는 법 | 나라의 흥망성쇠는 사람의 다스림에 달려 있다 | 옛 법만을 고집하지 말라 | 세습제를 없애라 | 분열을 자초하는 제도들 | 성인의 덕치를 본받아라 | 재능과 덕행에 따라 관직을 주라 권4 제9편 태자제왕정분(太子諸王定分 : 태자와 왕자들의 서열 정하기) _244 집안일과 나랏일을 구분하라 | 자식 사랑도 절제가 필요하다 | 적자와 서자의 예우법 | 태자와 제후의 명분론 제10편 존경사부(尊敬師傅 : 스승을 존경하라) _252 스승 섬김의 예법 | 훌륭한 스승과 훌륭한 군주 | 훌륭한 사부가 성군을 만든다 | 사부를 황제 대하듯 하라 | 스승을 받들어야 하는 이유 | 태자는 나라의 운명이다 | 태자가 힘써 배우고 현인을 만나게 하라 | 신하들이 태자를 만날 기회를 열어주어라 제11편 교계태자제왕(敎戒太子諸王 : 태자와 왕자들을 교육하고 훈계함) _265 귀에 거슬리는 직언이 큰 인물을 만든다 | 사소한 일상에서 근본적인 이치를 꿰뚫어라 | 과거의 일을 거울삼아 몸가짐을 바로잡는다 | 덕으로 복종시켜라 | 젊어서의 고난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