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머리말_ 이데올로기 편견을 걷어낸 이름 '한국전쟁' 서장. 역사에서 전쟁은? 파괴자로서의 전쟁 새로운 창조로서의 전쟁 전쟁은 왜 일어나는가? 한국전쟁을 어떻게 볼 것인가? 1장. 한국전쟁은 왜 일어났을까? 좌우익의 대립-내적 기원론 내적 기원론 비판 미국의 책임-외적 기원론 소련의 책임 외인론 비판과 대안 모색 2장. 분단되지 않을 수는 없었을까? 모스크바 3상회의 결정서 좌우합작운동과 남북연석회의 3장. 전쟁은 왜 1950년 6월에 시작되었을까? 일본에 대한 역코스 정책, 그리고 중국 혁명과 소련의 핵 개발 주한미군은 왜 철수했을까? 왜 1950년 6월 25일이었는가?; 최선의 방어는 선제공격 4장. 전쟁은 실패의 연속과정이었다 첫 번째, 북한의 실패: 서울에서의 3일 두 번째, 미국의 실패: 방어선 붕괴 세 번째, 북한과 미국 각각의 실패: 인천상륙작전 네 번째, 미국의 실패: 38선 이북으로의 북진 38선 이북 통제권을 둘러싼 갈등 5장. 전쟁은 왜 2년이나 더 계속되었는가? 전쟁을 어떻게 끝낼 것인가? 정전협상, 난항을 거듭하다 포로의 자유의사에 따른 송환은 옳은 것이었나? 6장. 전쟁은 후방에서도 진행되었다 '이승만을 제거하라' 세금을 현물로 받자 죽어가는 양민들-집단 학살 밝혀지지 않은 의혹들, 박헌영 숙청과 세균전 7장. 전쟁은 왜 끝나지 않았고, 끝나야만 하는가? 정전협정의 무효화; 정전협정이라도 잘 지키자 뉴룩정책과 동북아 지역통합 전략 맺음말_한국전쟁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한국전쟁 주요 일지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