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SMC, 세계 1위의 비밀

린훙원
496p
購入可能なサービス
content
評価する
3.5
平均評価
(5人)
レビュー
もっと見る

37주년을 맞은 TSMC의 설립부터 발전, 위기와 극복의 과정이 상세히 담겨 있다. 굴지의 반도체 기업 텍사스 인스트루먼트에서 부사장을 지낸 모리스 창이 고국으로 돌아와 TSMC를 설립한 과정, 삼성과의 인연과 경쟁 구도, 타이완 내 최대 경쟁사였던 UMC와 벌인 치열한 기술의 경주, TSMC 최고 엔지니어 량멍쑹의 삼성 및 중국 반도체 기업 이직, SMIC(중국 국영 반도체 기업)와의 기술특허침해 소송 등 TSMC가 세계 최고의 자리에 오르기까지 고군분투한 과정이 담겨 눈길을 사로잡는다. 저자 린훙원은 기자가 된 첫해에 모리스 창을 인터뷰하며 30년간 테크 산업을 취재해 온 명실공히 TSMC 전문가다. 삼성전자의 위기론이 불거진 지금, 글로벌 10대 기업, 시가총액 1,400조,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 60퍼센트의 압도적 세계 1위 기업이자 한국 반도체 산업이 기를 쓰고 좇아야 할 TSMC의 모든 것이 이 책에 담겼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著者/訳者

レビュー

1

目次

추천사 《TSMC, 세계 1위의 비밀》이 한국 반도체 산업에 던지는 화두 |권석준, 성균관대학교 화학공학과 교수, 《반도체 삼국지》 저자 책임 있는 태도로 확실한 결론을 보도하다 |장상이, 전 TSMC COO, 현 폭스콘 반도체 부문 CSO 대기업의 성장을 묵묵히 지킨 관찰자의 일기 |노지마 쓰요시, 일본 언론인 한국어판 서문|실패의 교훈에서 더 큰 성공 기회를 찾은 TSMC 서문|감출 수 없는 광채, 어느 쪽을 따를 것인가 들어가는 말|찬란하게 빛나는 섬 1부 배치와 전략 아버지가 TSMC 입사를 권한 이유/ 모리스 창은 웨이퍼 위탁생산이 아니라 ‘실리콘 주조’라고 했다/ 모든 단계가 옳은 선택의 연속이었다/ 호국군산의 그림자에 가려 잊혀서는 안 되는 공신/ 제조업을 서비스업으로 삼아야 높은 이윤을 창출할 수 있다/ 웨이퍼 업계의 쌍두마차가 출격하다/ TI-Acer와 WSMC를 합병하다, 타이완에 인수합병 전쟁의 전운이 감돌다/ SMIC는 TSMC에게 위협이 되지 못할 것이다/ 삼성은 위협적인 상대지만, 존경할 만한 상대는 아니다/ 한때 광풍이 불었던 D램 산업의 쇠퇴 원인/ 대동맹을 통해 위너 서클을 구축하다/ 승계에 실패하고 다시 돌아와 전성기를 열다/ 우수 인력의 유출을 막다/ TSMC의 기적 창조는 계속될 것인가?/ TSMC 3대 후계자의 윤곽이 드러나다? 2부 경영과 관리 모두에게서 모리스 창의 향기가 느껴지다/ 말한 것은 실행에 옮긴다, 회의를 해야 의미가 생긴다/ 타이완 반도체 산업의 ‘공급망 탄력성’/ 가격을 제외한 모든 면에서 승리해 경쟁자를 좌절시키다/ 담뱃재를 털고 보고서를 찢으며 외치다, 나가!/ SMIC와의 특허침해 소송, TSMC는 어떻게 승리했는가/ 인재 빼가기를 저지하고 영업비밀 유출을 막다/ 이사회 전날 만찬의 스테이크와 위스키/ 미국 공장 건립, 타이완인이 미국인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 ‘기술 혁신’만이 아니라 ‘기술 혁신에 대한 투자’도 중요하다/ 긴 노동시간, 낙후된 소프트웨어, 인색한 직원 복지 3부 문화와 DNA 방문객 출입관리대장의 작은 클립/ 창립 첫날부터 글로벌 기업으로/ 멀리 내다보고 감가상각을 빠르게 끝내다/ 타이완이 파운드리 산업 세계 1위를 차지한 이유/ 돈이 많아도 언행은 조용하게 겸손하게/ 경쟁자가 있어야 날마다 투지가 샘솟는다/ 타이완 특유의 종업원주식배당제도/ 인맥이 아닌 실력으로 후계자를 선택하다/ 일류 인재가 이류의 일을 한다?/ 성실성과 전문성으로 모든 일에 최선을 다하다 4부 R&D와 기술 허를 찌른 일격/ R&D 6기사 중 넷만 남은 이유/ 두 고릴라 앞에서 밤잠도 잊은 ‘나이크호크 부대’/ 7나노로 높은 벽을 더 세우다/ 빙산의 일각 아래 감춰진 방대한 지식재산권 창고/ 지식 관리를 통해 학습형 조직으로 변신하다/ 감염병, 공급망 단절, 전쟁과 공급망 확장/ 무어의 법칙의 한계를 돌파한 킬러 아이템/ 타이완 IC 설계서비스 및 IP 산업의 새로운 생태계/ 세 가지 관점에서 바라본 20년 전성기/ 명문대가 TSMC의 직업훈련소가 되다?/ 타이완 반도체 산업이 직면한 최대 위기, 인재 부족/ TSMC와 삼성의 엔드게임?/ 메모리 분야의 세 가지 흐름과 사전 포석 5부 지정학적 환경 중국 제재는 미국이 다시 반도체를 생산하겠다는 의미가 아니다/ 당신들이 쓰는 반도체는 어디서 생산된 것이오?/ 미국의 IC 설계업과 중국의 거대한 시장/ 메기효과와 연관효과/ Made in Taiwan에서 Made by Taiwan으로/ 왜 모두 미국으로 가는가? 고객을 위한 일이다!/ 미국만 바라보지 말라, 하이라이트는 일본이다/ JASM이 선봉에 서서 타이완-일본 동맹의 새 페이지를 쓰다/ 타이완-일본 반도체 협력, 그 다음은?/ 일본 반도체 산업의 실패 원인/ TSMC는 몰락한 도시바의 전철을 밟을 것인가?/ 미·중 반도체 전쟁/ 런정페이는 패배했을까?/ 우리는 왜 싸우는가? 누구를 위한 싸움인가?/ 타이완 반도체는 정말 글로벌 1위일까? 에필로그|어렵게 얻은 성과를 소중히 여기자 추천의 글 내가 열아홉 살 때의 TSMC|허잉치 TSMC의 길 : 타이완의 기적을 이끈 성공 모델 |린쿤시 TSMC 성공의 키워드 : 공동 번영이 가능한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다|스전룽 고객 존중 및 과거를 통해 미래를 내다보는 혜안|청스자

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세계를 제패한 타이완 반도체 기업의 모든 것 반도체 산업의 압도적 리더 TSMC의 비전과 전략 ★성균관대 권석준 교수, TSMC 부사장 장상이 강력 추천 TSMC는 타이완반도체제조회사로 반도체 파운드리(위탁생산) 분야의 압도적 세계 1위이다. 엔비디아, 애플, 퀄컴 등이 설계한 최신, 최첨단의 반도체 칩을 생산하며 글로벌 1위 파운드리로 성장했다. 빅테크와 칩을 설계하는 세계적 기업들이 높은 수율을 자랑하는 TSMC에 제조를 의뢰하려 앞다투어 줄을 서 있다. 《TSMC, 세계 1위의 비밀》에는 37주년을 맞은 TSMC의 설립부터 발전, 위기와 극복의 과정이 상세히 담겨 있다. 굴지의 반도체 기업 텍사스 인스트루먼트에서 부사장을 지낸 모리스 창이 고국으로 돌아와 TSMC를 설립한 과정, 삼성과의 인연과 경쟁 구도, 타이완 내 최대 경쟁사였던 UMC와 벌인 치열한 기술의 경주, TSMC 최고 엔지니어 량멍쑹의 삼성 및 중국 반도체 기업 이직, SMIC(중국 국영 반도체 기업)와의 기술특허침해 소송 등 TSMC가 세계 최고의 자리에 오르기까지 고군분투한 과정이 담겨 눈길을 사로잡는다. 2024년 3월 《TSMC 세계를 움직이는 비밀TSMC 世界を動かすヒミツ》이라는 제목으로 출간되어 큰 화제를 모으기도 했으며 TSMC의 성공전략, 특히 제조업에서 드문 서비스 정신과 상상을 초월하는 R&D 열정을 상세히 담아냈다. 초기 설립 과정에서부터 창업자 모리스 창이 엔지니어 영입에 공을 들인 TSMC는 엔지니어 위주의 조직 구성을 일구었다. 이를 바탕으로 R&D에 집중해 고객사의 주문을 수율 높게 처리하며 국제적 신뢰를 쌓았다. 미세 공정에서의 탁월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미·중 반도체 전쟁 속에서도 입지를 굳건히 다지고 있다. 일본과의 동맹, 미국 공장 설립으로 미국의 대對중국 수출 제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있으며 빅테크의 비전을 제조로 현실화하는 기업으로서 그 존재 의의가 빛난다. 저자 린훙원은 기자가 된 첫해에 모리스 창을 인터뷰하며 30년간 테크 산업을 취재해 온 명실공히 TSMC 전문가다. 삼성전자의 위기론이 불거진 지금, 글로벌 10대 기업, 시가총액 1,400조,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 60퍼센트의 압도적 세계 1위 기업이자 한국 반도체 산업이 기를 쓰고 좇아야 할 TSMC의 모든 것이 이 책에 담겼다. TSMC는 어떤 기업인가 국가 역량을 모은 타이완 최고의 무기 TSMC는 어떤 기업일까. 반도체 파운드리, 타이완을 대표하는 기업, 세계 1위가 이 기업을 수식한다. 반도체 매출이라면 삼성도 세계 최고를 다투지 않느냐고 고개를 갸웃할 수 있다. TSMC는 세분화된 반도체 산업 중 메모리 분야에서 강점이 있는 삼성, SK하이닉스와는 달리 비메모리 반도체를 주문받아 생산하는 데 특화된 기업이다. 반도체를 위탁생산하는 기업을 ‘파운드리’라고 한다. TSMC는 엔비디아, 애플, 퀄컴 등이 설계한 최신, 최첨단의 반도체 칩을 생산하며 글로벌 1위 파운드리로 성장했다. 빅테크와 칩을 설계하는 세계적 기업들이 높은 수율을 자랑하는 TSMC에 제조를 의뢰하려 앞다투어 줄을 서 있다. TSMC는 최근 3분기 순이익이 전년 대비 54% 상승하여 14조 원을 기록했다. 엄청난 실적으로 어닝서프라이즈를 맞았으며, 글로벌 파운드리 점유율은 2024년 2분기 매출액 기준 62퍼센트로 압도적 1위다. 삼성전자가 2위로 11퍼센트를 기록했는데 3분기에는 반도체 설계와 파운드리 부문이 적자를 기록했다. 이 수치가 말해주는 것은 단 하나, 우리가 반도체 전쟁에서 최후에 웃기 위해서는 TSMC를 파헤쳐 그 성공 비결을 알아내야 한다는 것이다. TSMC의 정식 명칭은 타이완반도체제조회사台灣積體電路製造公司,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다. 현지에서는 ‘타이지뎬台積電’이라 불리며 이공계 종사자를 넘어 모든 사람들의 꿈의 직장이다. 타이완의 자부심이기도 한 TSMC는 초기 자본금 가운데 48퍼센트를 정부가 투자하고, 27퍼센트는 필립스가 출자했다. 추후 필립스는 주식을 전량 매각했고 현재 타이완 정부의 지분은 6퍼센트이다. 이제 TSMC는 외국인이 지분의 70퍼센트 이상을 보유한 민간 기업이다. 《TSMC, 세계 1위의 비밀》에는 37주년을 맞은 TSMC의 설립부터 발전, 위기와 극복의 과정이 상세히 담겨 있다. 굴지의 반도체 기업 텍사스 인스트루먼트에서 부사장을 지낸 모리스 창이 고국으로 돌아와 TSMC를 설립한 과정, 삼성과의 인연과 경쟁 구도, 타이완 내 최대 경쟁사였던 UMC와 벌인 치열한 기술의 경주, TSMC 최고 엔지니어 량멍쑹의 삼성 및 중국 반도체 기업 이직, SMIC(중국 국영 반도체 기업)와의 기술특허침해 소송 등 TSMC가 세계 최고의 자리에 오르기까지 고군분투한 과정이 담겨 눈길을 사로잡는다. 추천사를 쓴 반도체 전문가 성균관대학교 화학공학과 권석준 교수는 책을 읽고 “삼성전자의 위기론이 매일같이 나오고, 한국 반도체 산업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회의론이 미디어의 지면을 장식하는 이 시점, 한국의 앞으로의 경제 발전 전략은 물론,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 확보 방안에 귀중한 힌트를 줄 수 있을 것이다”라고 평했다. 저자 린훙원林宏文은 타이완 최고의 경제저널 〈비즈니스 투데이Business Today, 今周刊〉의 부편집장을 지낸 후 고문으로 활동하는 하이테크 및 반도체 산업 전문가이다. 언론계에 발을 내디딘 첫해에 TSMC의 창업자 모리스 창 전 회장을 인터뷰했으며, TSMC의 역사적인 자료인 ‘R&D 6기사’ 사진이 촬영될 당시 취재 기자로도 알려져 있다. 수십 년간 TSMC를 움직이는 유력 인사들을 가까이서 취재해 온 TSMC 전문가다. 2023년 타이완에서 출간된 《TSMC, 세계 1위의 비밀》은 일본에서 2024년 3월 《TSMC 세계를 움직이는 비밀TSMC 世界を動かすヒミツ》이라는 제목으로 출간되어 큰 화제를 모았다. TSMC의 성공전략 제조업을 서비스업처럼. 그리고 목숨을 건 R&D TSMC는 반도체 제조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고객 중심의 비즈니스 모델과 혁신적인 기술 개발을 통해 업계를 선도해 왔다. TSMC의 설립부터 30여 년간 취재해 온 저널리스트 린훙원은 TSMC의 설립과 초기 도전 과제, 경영 전략과 인재 영입 방법, 기업문화와 엔지니어 위주의 조직 구성, 주요 기술 발전 과정과 글로벌 파트너십, 그리고 미·중 반도체 전쟁 및 지정학적 긴장 국면에서의 파훼법을 책 속에 담아냈다. 1부: 배치와 전략 – TSMC의 설립 배경과 타이완 내 반도체 기업 인수합병전쟁을 다룬다. 2부: 경영과 관리 – 설립자 모리스 창의 인재 확보, 기술 혁신에 과감히 투자하려는 의지를 다룬다. 3부: 문화와 DNA – 종업원주식배당제도, 장비의 짧은 내용 연한, 겸손의 미덕과 엔지니어들의 헌신을 다룬다. 4부: R&D와 기술 – TSMC의 선진 기술 발전 과정과 R&D 투자 열정을 다룬다 5부: 지정학적 환경 – 미국의 중국 제재와 일본 반도체 산업 실패, TSMC의 파운드리 해외 공장 설립을 다룬다. TSMC는 반도체 위탁생산 기업으로서 고객 맞춤을 오롯이 지향해 왔다. 삼성전자가 자체 브랜드파워로 인해 파운드리 발전에 어려움을 겪는 것과 대조적이다. 반도체 칩을 설계해 제조를 맡기는 고객사들은 경쟁업체인 삼성에게 의뢰하기를 꺼리게 되는 것이다. TSMC는 파운드리 사업에 집중하여 수율 향상과 미세 공정 발전을 위해 R&D에 매진해 왔다. IBM을 꺾은 2000년의 130나노 구리 공정 개발 때는 엔지니어들이 자발적으로 1년 반 동안 가족을 떠나 연구개발에 몰두하며 자신의 모든 것을 쏟아냈다. 삼성과 인텔의 추격을 뿌리친 2016년의 10나노 공정 개발 때는 R&D 인력 400여 명에게 ‘기본급 30퍼센트 추가 지급, 성과급

この作品が含まれたまとめ

1
  • 出典
  • サービス利用規約
  • プライバシーポリシー
  • 会社案内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