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目次
프롤로그 제1부 마음의 레짐―진정성의 운명 1장 진정성의 기원과 구조 Ⅰ 살아남은 자의 슬픔 Ⅱ 마음의 레짐 Ⅲ 진정성의 기원과 구조 Ⅳ 진정성의 한계 Ⅴ 마음의 사회학 2장 삶의 동물/속물화와 존재의 참을 수 없는 귀여움 Ⅰ 생활의 발견 Ⅱ 자폭(自爆)을 할 줄 아는 속물 Ⅲ 동물+속물 Ⅳ 게임과 유희 Ⅴ 최후의 인간과 수치의 상실 Ⅵ 귀여움의 시대 Ⅶ "인간"의 운명 3장 스노비즘과 윤리 Ⅰ 스노보크라시(snobocracy) Ⅱ 고전적 스놉의 초상 Ⅲ 욕망의 삼각형 Ⅳ 악의 속물성 Ⅴ 도구적 성찰성 Ⅵ 윤리적 삶 4장 근대문학 종언론의 비판 Ⅰ 위기에서 종언으로 Ⅱ 가라타니의 주요 테제들 Ⅲ 근대문학의 부정성 Ⅳ 근대문학과 주체 Ⅴ 포스트-진정성의 체제 제2부 마음의 풍경―문화적 모더니티 5장 다니엘의 해석학―풍경에 대한 사회학적 사유의 가능성 Ⅰ 왜 풍경인가? Ⅱ 대상으로서의 풍경 Ⅲ 풍경의 개념화 Ⅳ 다니엘의 해석학 6장 파상력이란 무엇인가? Ⅰ 파괴적 성격 Ⅱ 파괴, 폐허, 구축 Ⅲ 파상력의 두 기원 Ⅳ 각성의 테크닉 Ⅴ 파상의 전략들 Ⅵ 모더니티와 파상력 7장 멜랑콜리와 모더니티 Ⅰ 토성적인 것 Ⅱ 하이데거의 정조 Ⅲ 토성적 정조의 계보와 그 문화적 함의 Ⅳ 토성적 정조의 의미 구조: 주체, 세계, 전략 Ⅴ 보들레르 Ⅵ 세계감 8장 근대적 성찰성의 풍경과 성찰적 주체의 알레고리 Ⅰ 성찰의 강박 Ⅱ 근대적 성찰성의 해부 Ⅲ 성찰성의 인식풍경 Ⅳ 성찰성의 한계 Ⅴ 인식풍경의 사유 9장 문화적 모더니티의 역사시학 Ⅰ 순간의 역사시학 Ⅱ기시감(deja-vu) Ⅲ 지나가는 여인 Ⅳ 니체의 영겁회귀 Ⅴ 벤야민의 변증법적 이미지 Ⅵ 기다림 제3부 마음의 징후―사회학적 비평의 가능성 10장 13인의 아해(兒孩)―한국 모더니티의 코러스 Ⅰ 한국 모더니티의 창세기 Ⅱ 은폐-역사성(Crypto­historicity) Ⅲ 아해(兒孩)의 계보―육당, 춘원, 소월 Ⅳ 「오감도」의 정치적 무의식 Ⅴ 까마귀―한국 모더니티의 토템 11장 유령, 리좀, 그리고 교량(橋梁)―김수영 전통론의 재구성 Ⅰ 전통에 대한 사유의 가능성 Ⅱ 유령-전통 Ⅲ 리좀-전통 Ⅳ 다리 Ⅴ 공통어 12장 실재에의 열정에 대한 열정―미래파의 시와 시학 Ⅰ 미래파의 등장 Ⅱ 미래파의 시학 Ⅲ 미래파와 오타쿠 Ⅳ 실재의 열정에 대한 열정 Ⅴ 시의 종언? 13장 무라카미 하루키, 우리시대의 문학적 지진계 Ⅰ 리스본 대지진 Ⅱ 지진계 Ⅲ 두 개의 달 Ⅳ 리틀 피플(Little people) Ⅴ 사회(私會)라는 것 14장 행복의 예술, 그 희미한 메시아적 힘 Ⅰ 참을 수 없는 것 Ⅱ 공제의 미학 Ⅲ 행복의 비가(悲歌) Ⅳ 근대문예의 이념 Ⅴ 희미한 메시아적 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