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目次

서론 1부 _ 포스트 담론 이후 1장 · ‘포스트’ 담론의 유령들: 애도의 애도를 위하여 1. ‘포스트’ 담론의 유령들? 2. 애도의 담론으로서 포스트 담론 1) 포스트 담론에 대한 두 가지 평가방식 | 2) 애도작업으로서 포스트 담론 | 3) 포스트 담론의 애매성 3. 포스트 담론의 인식론적·정치적 효과 1) 이중적인 무력화 | 2) 문제들의 분리 4. 포스트 담론의 통찰 1) 보편에서 보편들로 | 2) 주체에서 주체화(들)로 | 3) 단일한 정치에서 복수의 정치로 5. 결론을 대신하여: 애도의 애도를 위하여 2장 · 좌파 메시아주의라는 이름의 욕망: ‘포스트-포스트 담론’의 국내 수용에 대하여 1. 이론에서는 혁명, 현실에서는 민주당? 2. 어떤 유행들 3. 바깥의 정치 4. 좌파 메시아주의 5. 비판적 사유의 미국화 보론|비판적 사유의 미국화란 무엇인가? 3장 · 시간과 정의: 벤야민, 하이데거, 데리다 1. 머리말 2. “너무 하이데거적이고 메시아-마르크스주의적 또는 시원-종말론적”인: 데리다의 문제제기 3. “시간이 이음매에서 어긋나 있다”: 정의의 사건, 사건으로서의 정의 4. 메시아주의 없는 메시아적인 것: 유사초월론 대 무초월론 5. 초월론적인 것의 역사(들) 보론|새로운 역사의 천사: 멘붕의 정치학, 유령들, 메시아주의 2부 _ 민족 공동체의 탈구축 4장 · 국민이라는 노예: 전체주의적 국민국가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1. 들어가는 말 2. 국민국가가 왜 문제인가? 전체주의적 국민국가론의 문제의식 3. 국민이라는 괴물? 국민국가 비판의 논점과 그 난점 1) 예속과 배제의 체계로서 국민국가 | 2) 추상적 권력관 | 3) 복종의 숙명을 짊어진 국민: 주체화 없는 예속화 | 4) 자본주의의 역사, 국민국가의 역사 부재 4. 국민국가의 내재적 비판을 위하여 1) 이데올로기에서 대중의 존재론적 우위 | 2) 권력에 대한 긍정적이고 생산적인 관점 | 3) 국민국가의 모순들이라는 문제설정 5장 · 어떤 상상의 공동체: 민족, 국민 그리고 그 너머 1. 들어가는 말 2. 네이션을 어떻게 번역할 것인가? 1) 네이션을 ‘민족’으로 번역하는 경우 | 2) 네이션을 ‘국민’으로 번역하는 경우 | 3) 네이션을 ‘민족’으로 번역하는 것에 대한 반론: 네이션과 에스니 3. 국민이란 무엇인가? 1) 보편적 모순체로서의 국민 | 2) 국민적 인간: 일상적 국민주의와 국민적 정체성 | 4. 결론을 대신하여 6장 · 한반도 평화체제의 (탈)구축을 위하여: 을의 민주주의의 관점에서 1. 머리말: 촛불시위는 어떤 혁명인가? 2. 을의 민주주의란 무엇인가? 1) 이등 국민으로서의 을 | 2) 대한민국은 어떤 나라인가? | 3) 상상의 공동체로서 국가 | 4) 국민주권을 넘어서 3. 한반도 분단체제에 관한 담론들 1) 세 가지 담론 | 2) 적극적 평화와 한반도 평화체제론 4. 을의 민주주의와 평화체제 담론의 (탈)구축 1) 착취 | 2) 배제 3) 리프리젠테이션 5. 결론을 대신하여 3부 _ 마르크스주의를 넘어서 7장 · 푸코와 민주주의: 바깥의 정치, 신자유주의, 대항품행 1. 푸코와 민주주의? 2. 푸코와 바깥의 정치 3. 관계론적 권력론 1) 관계항들에 대한 관계의 우위 | 2) 사회계약론이 아니라 예속관계 | 3) 중심이 아니라 다양성, 차이, 종별성, 가역성 | 4) 법에 부여된 특권을 박탈하기 4. 갈등적 과정으로서의 민주주의 5. 신자유주의적 예속화 양식 6. 삶의 양식으로서 민주주의: 탈예속화와 대항품행 7. 결론을 대신하여 8장 · 마르크스와 알튀세르 사이의 푸코 1. 머리말 2.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론: 몇 가지 요소들 1) 노동력의 재생산과 이데올로기 국가장치들 | 2) 이데올로기 이론 3. 마르크스(와 알튀세르)를 심화하기, 마르크스(와 알튀세르)를 넘어서기 1) 마르크스를 인용하기, 마르크스를 인용하지 않기 | 2) 알튀세르보다 더 마르크스(주의)적인 푸코? 4. 비판적 고찰 1) 국가장치의 문제 | 2) 예속적 주체화의 문제 | 3) 잔여 9장 · (탈)현대 이후, 마르크스주의 이후: 데리다, 코젤렉, 차크라바르티, 그리고 그 너머 1. 객관적 불확실성, 주관적 불확실성 2. (탈)현대성과 마르크스주의를 상대화하기: 유사초월론 3. 현대성의 역사(들) 1) 코젤렉과 현대의 시간성 | 2) 디페시 차크라바르티와 현대성의 탈식민화 | 3) 한국에서의 (탈)현대성 논의 4. (탈)현대 이후, 마르크스주의 이후 10장 · 착취, 배제, 리프리젠테이션: 마르크스주의의 탈구축 1. 머리말 2. 마르크스주의의 네 가지 신화 1) 중심의 신화 | 2) 대문자 주체의 신화 | 3) 이행의 신화 | 4) 진정한 민주주의의 신화 3. 세 가지 쟁점: 착취, 배제, 리프리젠테이션 1) 착취 | 2) 배제 | 3) 리프리젠테이션 4.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