序 言 (권두언)
이 책은…
제 1편 총 론
1. 역사(史)의 정의와 조선역사의 범위
2. 역사의 삼대 원소(元素)와 조선 구사(舊史)의 결점
3. 구사(舊史)의 종류와 그 득실(得失)의 간략한 평가
4. 사료의 수집과 선택에 관한 참고
5. 역사서의 개조에 대한 소견(所見)
제 2편 수두 시대
제 1장 조선 고대 총론
1. 조선민족의 구별
2. 조선족의 동래(東來)
3. 조선족이 분포해 있었던「아리라」
4. 조선의 최초를 개척한 부여(扶餘)
제 2장 대단군(大壇君) 왕검(王儉)의 건국
1. 조선 최초의 일반 신앙인 단군
2. 대단군(大壇君) 왕검(王儉)이 창작한 신설(神說)
3. 신수두의 삼경(三京) 오부(五部) 제도
제 3장 수두의 홍포(弘布)와 문화의 발달
1. 부루(夫婁)의 서행(西行)
2. 기자(箕子)의 동래(東來)
3. 흉노(匈奴)의 휴도(休屠)
4. 한자(漢字)의 수입(輸入)과 이두문(吏讀文)의 창작
5. 신지(神誌)의 역사
6. 조선의 전성시대
7. 조선의 쇠약(衰弱)
8. 단군 연대(年代)의 고증(考證)
제 3편 삼조선(三朝鮮)의 분립 시대
제 1장 삼조선(三朝鮮) 총론
1. 삼조선(三朝鮮)이란 명칭의 유래
2. 삼조선(三朝鮮)의 위치와 범위
3. 기록상 삼조선(三朝鮮)의 구별 조건
4. 삼조선(三朝鮮) 분립의 시작
제 2장 삼조선(三朝鮮) 분립 후의「신朝鮮」
1. 신朝鮮의 서침(西侵)과 연(燕).조(趙).진(秦)의 장성(長城)
2. 창해역사(滄海力士)의 철추(鐵椎)와 진시황의 만리장성
3. 흉노 모돈(冒頓)의 동침(東侵)과 신조선의 위축
제 3장 삼조선(三朝鮮) 분립 후의「불朝鮮」
1.「불朝鮮」의 서북 변경 피탈(被奪)
2.「불朝鮮」의 진(秦).한(漢)과의 관계
3. 위만(衛滿)의 반란과「불朝鮮」의 남천(南遷)
제 4장 삼조선 분립 후의「말朝鮮」
1.「말朝鮮」의 천도와 마한(馬韓)으로의 국호 변경
2. 낙랑(樂浪)과 남삼한(南三韓)의 대치
3. 낙랑(樂浪) 25개국과 남삼한(南三韓) 70여국
제 5장 삼조선(三朝鮮) 붕괴의 원인과 결과
1. 삼신설(三神說)의 파탄
2. 열국(列國)의 분립
제 4편 열국 쟁웅(爭雄) 시대(대(對) 한족(漢族) 격전시대)
제 1장 열국(列國) 총론(總論)
1. 열국 연대(年代)의 정오(正誤)
2. 열국의 강역(疆域)
제 2장 열국의 분립
1. 동부여(東扶餘)의 분립
2. 고구려의 발흥(勃興)
3. 백제의 건국과 마한(馬韓)의 멸망
제 3장 한 무제(漢武帝)의 침입
1. 한나라 군대가 고구려에 패퇴한 사실(고구려의 9년 전쟁)
2. 한 무제, 위씨(衛氏)를 쳐서 멸망시킴(위씨조선의 멸망)
3. 한사군(漢四郡)의 위치와 고구려의 대(對) 한(漢) 관계
제 4장 계립령(鷄立嶺) 이남의 두 신국(新國)
1. 계립령(鷄立嶺) 이남의 별천지(別天地)
2. 가라 6국(國)의 건설
3. 신라(新羅)의 건국
제 5편(一) 고구려의 전성시대
제 1장 기원 1세기 초 고구려의 국력 발전과 그 원인
1. 대주류왕(大朱留王) 이후의 고구려
2. 고구려의 대(對) 중국 관계
3. 선비(鮮卑) 대(對) 고구려의 관계
제 2장 태조(太祖).차(次) 양 대왕의 문치(文治)
1. 태조(太祖).차(次) 양 대왕의 세계(世系)의 오류
2. 태조(太祖)대왕과 차대왕(次大王) 시대의「선배」제도
3. 태조대왕과 차대왕 시대의 제도
제 3장 태조(太祖).차(次) 양 대왕의 한족(漢族) 축출과 옛 강토 회복
1. 한(漢)의 국력과 동침(東侵)의 배경
2. 왕자 수성(遂成)의 요동 회복
제 4장 차대왕(次大王)의 왕위 찬탈
1. 태조(太祖)의 가정불화(家庭不和)1
2. 수성의 음모와 태조의 선위(禪位)
제 5장 차대왕의 피살과 명림답부의 전권(專權)
1. 차대왕의 20년 전제(專制)
2. 명림답부의 전권(專權)과 외정(外政)
제 6장 을파소(乙巴素)의 업적
1. 왕후의 정치 간여와 좌가려(左可慮)의 난(亂)
2. 을파소(乙巴素)의 등용
제 5편(二) 고구려의 중쇠(中衰)와 북부여의 멸망
제 1장 고구려의 대(對) 중국과의 전쟁에서의 패배
1. 발기(發岐)의 반란과 제1 환도 - 현 개평(蓋平)의 잔파
2. 동천왕의 제1 환도성 회복과 오(吳) ? 위(魏)와의 외교
3. 공손연(公孫淵)의 멸망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