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한국어판 해제 / 김재준 9 1장 들어가면서 ― 주요 개념들 14 2장 이윤·금리·세금, 세 가지 포획 기구 37 생산 개념에 대한 첫 번째 재정의 41 화폐는 세금으로부터 탄생하는가? 44 위기 포획 기구들 48 불가능한 개혁주의 (그리고 불가능한 ‘뉴딜’) 52 위기의 주체적 생산 55 가치평가와 척도 56 칼 슈미트 59 ‘내전’과 사회국가 64 생산 개념의 확장 70 3장 부채사회의 모델로서의 미국 대학 74 지식 제조는 하나의 금융 기업이다 78 채권자와 채무자 80 학생 부채 버블현상 82 통제·주체성·시간 84 전자칩 속에 새겨진 신용 관계 87 포획 기구로서의 부채 88 화폐와 부채 90 비주류 경제학의 부채 이론 93 희생의 인류학 98 『도덕의 계보』와 ‘무한한’ 부채 103 4장 통치성 비판 1 ― 자유주의적 통치성은 과연 존재했는가? 113 경제국가 120 신자유주의적 전회 124 사회통치로서의 사회국가 127 유로, 독일의 화폐 135 국가와 화폐 137 ‘아나키스트’ 이론에 대해, 또는 어떻게 자본과 자본주의 없이 화폐를 다룰 것인가? 146 새로운 국가자본주의 152 5장 통치성 비판 2 ― 자본과 흐름의 자본주의 156 자본의 ‘개념’ 162 자본으로서의 화폐 167 생산에서의 무한한 것 169 흐름의 연결접속 171 공리계와 공리들 173 현대 자본주의의 공리계 178 현실화 모델로서의 국가 185 공리계는 자동적 혹은 초월적 기계가 아니다 193 부채의 통치성 196 6장 통치성 비판 3 ― 누가 누구를, 무엇을, 그리고 어떻게 통치하는가? 207 기계화 210 개인화의 극단 216 분할 가능한 것들과 새로운 종속화 218 자본은 하나의 기호학적 조작이다 220 지표화 과정 223 분할 가능한 것, 곧 개인의 탈영토화 224 신체의 제조 230 기술혐오와 기술선호 234 위기 시기의 사회적 예속화와 기계적 종속화 239 7장 레닌을 다시 읽으며 ― 금융자본주의의 어제와 오늘 245 금융자본주의로서의 제국주의 248 소유 250 금리생활자와 집단자본주의 251 자본주의의 시대 구분 253 자본수출과 식민주의 257 시장, 자유경쟁 그리고 노동계급의 통합 262 세계시장의 구축 268 전쟁? 275 8장 시작을 위한 결론 ― 노동의 거부에서 다시 출발하자 280 옮긴이 후기 : 내우외환 292 참고문헌 293 인명 찾아보기 297 용어 찾아보기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