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프롤로그 글 쓸 시간이 없는 당신에게1 글 쓸 시간이 없는 당신에게2 에세이를 잘 쓰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나’를 드러내지 않으면 누구도 기억해주지 않는다 작가가 되었다는 느낌을 만끽할 것 무엇을 쓸 것인가 첫 문장에 시간을 투자할 것 제목을 짓는 타이밍 ‘서문’이라는 이름의 함정 준비가 되지 않았다는 약한 생각 좋은 문장이란 무엇인가 보여주는 글, 말하는 글 쓰고 싶은 글의 분위기를 상상하라 몇 년 후에 봐도 촌스럽지 않은 글의 비밀 문단의 리듬을 살리는 법 어디까지 묘사할 것인가 너무나 매력적인 주관적 문장들 에세이 작가가 되는 두 가지 방법 밑줄을 그을 만한 문장 만들기 내 글로 상처받는 사람이 누구일지 생각하라 객관적 안목을 기르는 연습 ‘문장 수집’이라는 멋진 취미 책에 밑줄을 그어라 반대되는 단어 조합의 힘 최고의 작품들만 읽어주시길 글이 늘 삼천포로 빠진다면 메모 앱 이용법 전업 작가를 꿈꾸고 있다면 저는 문체가 없어 고민입니다 1 저는 문체가 없어 고민입니다 2 단어들이 전체의 분위기를 좌우한다 어떤 글이든 온전히 내 것으로 만든다면 글쓰기 모임은 좋은 원동력 밤에 쓴 글은 반나절 묵힐 것 어딘가 내 문장이 이상하다면 도저히 문장을 고칠 수 없을 때 낯설게 표현하는 기술 내가 가지고 있는 것이 더 특별할 수 있다 너무 어려서, 혹은 너무 나이가 많아서 에피소드를 아까워하라 그들은 어떻게 에세이 작가가 되었나 일기와 에세이의 차이 짧은 문장이 가진 힘 1 짧은 문장이 가진 힘 2 좋은 교훈이 있어야 한다는 압박 이 문장은 반드시 필요한가 다른 곳에서 볼 수 없는 글을 쓸 것 당신이 작가가 되었다는 증거 내가 가진 모든 것을 조합하라 매너리즘을 대하는 자세 유행하는 주제에 도전해야 하는 이유 진실된 고백의 힘 스톱을 외쳐야 할 순간 OO 일기는 좋은 기획 전공이나 직업을 드러내라 적절한 인용은 글의 질을 높여준다 어휘력이 부족하다고 느낄 때 수미상관의 맛 글의 목적에 대해 구구절절 설명하지 말 것 지나치게 멋을 부린 글의 함정 쓰기 싫은 주제의 글을 써야 하는 상황이라면 괴로운 기억을 꺼내보는 용기 현실과 글의 괴리감 독자를 어디까지 의식할 것인가 누구의 눈높이에 맞출 것인가 사투리와 구어체의 맛 무엇이든 주제가 될 수 있다 첫 번째 과제: 나를 지켜주는 삶의 태도 두 번째 과제: 취향에 대하여 세 번째 과제: 삶을 관통하는 깨달음 네 번째 과제: 혼자에 관하여 어떻게 작가가 될 것인가 1 어떻게 작가가 될 것인가 2 어떻게 작가가 될 것인가 3 어떻게 작가가 될 것인가 4 태어나면서부터 작가인 사람은 없다 에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