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앞이 보이지 않는 사람의 메모 습관, 있지도 않은데 아픈 다리, 왼손의 기억이 없는 오른손……. 장애를 가진 열두 명의 이야기를 토대로 밝혀낸 기억과 몸 그리고 정체성의 관계! 몸과 마음 중 어느 쪽이 한 사람의 정체성을 결정하는 데 더 큰 비중을 차지할까? 삶은 시간의 두께를 더해가는 여정이다. 때문에 인간의 몸은 나날이 축적되는 시간의 기록이라고도 볼 수 있다. 몸과 마음을 무 자르듯 구분하기는 불가능하므로 맨 앞의 문장은 어리석은 질문이지만, 여기에는 생각해볼 만한 지점이 있다. ‘나다움’을 형성하는 요소를 고려할 때 우리는 ‘신체’의 중요성을 쉽게 간과한다는 점이다. 실은 몸이야말로 한 사람의 오롯한 특질을 밀도 있게 함축하고 있는 데이터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루어진 몸에 관한 흥미로운 연구가 있다. 『눈이 보이지 않는 사람은 세상을 어떻게 보는가』, 『말 더듬는 몸(どもる体)』 등을 통해 신체장애가 있는 몸이 세상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느끼는지 소개해온 이토 아사의 신간『기억하는 몸』이 국내에 출간되었다. 저자가 열두 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심층 인터뷰를 토대로 집필한 이 책은 총 11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부의 공통점은 하나뿐이다. 바로 장애가 있는 사람의 기억을 다룬다는 점이다. 인터뷰 대상자들에게는 시각 장애, 팔다리 절단, 마비, 말더듬, 치매 등의 의학적 또는 사회적인 장애가 있다. 그러나 이 책에서 저자가 관심을 쏟는 부분은 ‘장애인의 인권과 복지’ 등의 측면보다는 개별적인 신체의 고유성 그 자체다. 저자는 이들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고 한 명 한 명의 처지와 경험에 초점을 맞추어 그의 인생 안으로 깊이 들어간다. ‘어떠한 장애가 있는 몸’이 아니라 단지 ‘A 씨의 몸’이 지닌 능력과 가능성에 접근하는 독특한 방식은 이 책에 사려 깊은 시선을 부여한다. 한 사람의 몸은 정말 하나뿐일까? : 하이브리드 신체론에 관하여 바쁠 때 우리는 종종 “몸이 두 개였으면 좋겠다”는 말을 한다. 물리적으로는 분명 단 하나의 몸으로 살아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른바 1인 1몸이다. 그런데 인터뷰를 진행하면서 저자는 한 사람의 몸이 마치 여러 개로 중첩된 듯 기능하는 독특한 현상을 발견해내고, 이를 ‘하이브리드 신체’ 혹은 ‘몸의 복수화(複數化)’라는 개념으로 제시한다. 우선, 후천적 장애인의 몸에는 종종 ‘장애를 입기 전 몸의 기억’과 ‘현재의 몸’이 겹쳐져, 상식적으로 생각하면 약간 불가사의해 보이는 갖가지 현상이 일어난다. 예컨대 성인이 되면서 시력을 완전히 잃은 시각장애인 레나 씨는 말하면서 언제나 메모하는 습관이 있다. 단지 필기구를 사용하는 데 그치지 않고 조금 전에 글씨를 썼던 곳으로 되돌아가 강조하기 위해 동그라미를 치거나 밑줄도 긋는다. 이전에 써놓은 글자로 되돌아갈 수 있다는 것은 메모 행위가 영상처럼 기록되어 머릿속에 이미지로 저장되었음을 의미한다. 레나 씨는 손의 운동 기억을 단지 재생하고 있을 뿐 아니라 종이를 ‘보고’ 있는 것이다. 장애가 있는 사람을 만나면 ‘이 사람의 몸은 정말 하나뿐일까?’ 하는 생각이 들 때가 있습니다. 물리적으로는 몸이 하나지만 실제로는 두 개의 몸을 사용하는 듯 보이거든요. 예를 들어 앞에서 얘기한 니시지마 레나 씨는 전맹(全盲)인데도 대화를 나누면서 메모하는 습관이 있습니다. 장애가 없었던 시절의 습관이 맹인이 된 지 10년이 지나서도 없어지지 않은 것입니다. 레나 씨는 앞이 보이지 않는 몸으로 살아가는 동시에 앞이 보인다는 전제를 깔고 몸을 다룹니다. (중략) 현재 살아가는 몸은 장애가 있다고 해도 기억 속에는 건강했던 시절의 경험이 쌓여 있습니다. 비장애인의 기억이 새겨진 몸으로 장애를 지니고 살아가는 일, 이것이 그들의 몸이 하나가 아닌 둘로 보이는 원인입니다. ‘다중 인격’이 아니라 ‘다중 신체’인 것입니다. -본문 중에서- 후천적 장애인에게만 몸의 복수화가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선천적 장애인에게서도 하이브리드 신체의 경향을 발견할 수 있다. 이를테면 이분척추증이 있는 간바라 겐타 씨는 상반신에는 아무런 이상이 없지만 감각이 없는 하반신은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위아래로 전혀 다른 유형을 지닌 두 개의 몸으로 살아가고 있다. 때때로 그에게는 상반신에서 경험한 기억이 하반신으로 옮겨지는 일이 벌어진다. 예를 들어 통증의 경험이 그러한데, 간바라 겐타 씨의 발은 생리적으로 통증을 느낄 수 없지만, 피가 나는 것을 보면 마치 아픈 것처럼 느껴진다고 한다. 선천적인 시각장애인이나 청각장애인 중에는 독서를 좋아해서 책을 통해 비장애인의 관점이나 감각을 몸에 익히는 사람도 있다. 생리적으로는 장애가 있을지언정 문화적으로는 비장애인의 몸을 획득한 셈이다. 또한 비장애인 중심인 세계에 이물감을 느끼면서도 그 안에서 자기만의 몸을 만들어가며 공존시키는 수많은 사람들도 있다. 생태심리학이나 신경심리학 등의 분야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주목받아왔다. 그러나 미학을 전공한 저자가 한 영역에 국한되지 않은 시각으로 서술하는 다양한 사례들은 오히려 우리에게 강렬한 인상을 심어준다. 전문가에게만 알려져 있던 현상을 신선하고도 쉬운 문장으로 일반 독자들에게 소개하며 지적인 탐구로 이끄는 책이다. 나와 다른 몸을 가진 타인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 : 압도적인 고유성을 발견해내는 일 『기억하는 몸』은 다소 특수한 사례를 통해 기억과 몸의 관계, 그리고 경험이 만들어내는 신체적 지혜에 대해 고찰하지만, 여기에 담긴 통찰은 모든 사람에게 적용된다. 사실상 세상에 특수하지 않은 몸이란 없기 때문이다. 당신과 똑같은 순서로 옷을 입고 똑같은 보폭으로 걸으며 똑같은 속도로 호흡하고 똑같은 각도로 컵을 기울여 물을 마시는 사람은 존재할 수 없다. 무의식적인 습관이나 경험, 기억이 우리의 몸을 어떤 식으로 작동시키고 자기만의 고유성을 만들어내는지, 그동안 보지 못한 매력적인 방식으로 풀어가는 이 책은 또한 개개인의 차이에 온전히 집중함으로써 오히려 타인을 섬세하게 이해하려는 적극적인 몸짓의 산물이기도 하다. 이런 결과물이 탄생할 수 있었던 것은 인터뷰어와 인터뷰이 사이에 형성된 신뢰가 한몫한 것으로 보인다. 저자의 비판단적인 자세는 상상하기도 어려웠던 누군가의 서사를 세밀하게 끄집어내며, 담백한 서술은 의도치 않은 경이를 불러일으킨다. 이에 소설가 김초엽은 다음과 같은 평을 남겼다. “장애인의 신체를 멸시하거나 낭만화하지 않으면서도, 그 신체만이 갖는 ‘압도적인 고유성’을 발견해내는 저자의 섬세한 시선이 책을 덮고 난 이후에도 긴 여운을 남긴다.” 우리가 잘 알지 못하는 세계가 있다면, 앞으로는 그에 대해 한 번쯤은 이렇게 생각해볼 수도 있을 것 같다. 단순히 잘 모른다기보다는, 애초에 알려고도 하지 않았던 건 아닐까? 하고. ‘A 씨의 몸’은 실제 A 씨만 체험할 수 있습니다. 진정한 의미에서는 본인이 아니면 ‘A 씨의 몸으로 살아가는 일’이 어떤 감각인지 알 수 없는 노릇입니다. 그렇지만 몸의 내력을 알게 된다면 더는 타자의 몸이 미지의 대상은 아닙니다. -본문 중에서- 저자는 말더듬이 당사자들과 이야기 나누었던 일화를 언급한다. “만약 눈앞에 말더듬을 고칠 수 있는 약이 있다면 먹겠습니까?”라는 질문에 그 자리에 있던 모든 사람이 먹지 않겠다고 대답한 것이다. 사회적으로 장애는 보통 부정적인 것으로 인식된다. 물론 많은 장애인들이 어려움을 겪는 것도 틀림없는 사실이며, 저자와 직접 대화했던 당사자들도 ‘애쓰거나 의식하지 않아도 말이 술술 나오는 감각’을 체험해보고 싶다고 말했다고 한다. 그런데도 말더듬 증상이 영원히 사라지는 약은 필요 없다고 한 것은 어떤 의미일까? 장애 자체를 자신의 정체성으로 받아들였기 때문이라고 짐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