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들어가며_나의 삶을 바꾼 논어의 힘 제7편 술이述而 편 : 어짊으로 무장한 공자의 자태 . 옛것을 복원하고 부흥시키는 것이 진정한 혁신이다 : 술이부작, 신이호고(述而不作, 信而好古) . 더 큰 만족을 원한다면 허기진 상태로 머물러라 : 학이불염(學而不厭) . 남을 보듯 나를 봐야 비로소 보이는 것들 : 불선불능개, 시오우야(不善不能改, 是吾憂也) . 가장 가까운 사람을 가장 소중히 대하라 : 자지연거(子之燕居) . 공자가 꿈속에서도 그리워한 위인, 주공 : 오불부몽견주공(吾不復夢見周公) . 입신양명을 위한 네 가지 덕목 : 지어도, 거어덕, 의어인, 유어예(志於道, 据於德, 依於仁, 游於藝) . 날 수 있는 새에게 나는 법을 가르치지 마라 : 자행속수(自行束脩) . 번민하지 않는 자에게 열 번을 말해도 소용없다 : 거일우불이삼우반(擧一隅不以三隅反) . 밥 한 그릇으로 그 사람의 소양을 알 수 있다 : 자식어유상자지(측子食於有喪者之側) . 성공하는 사람은 용기와 만용의 차이를 안다 : 임사이구, 호모이성(臨事而懼, 好謀而成) . 자신이 가장 잘할 수 있는 분야를 파고들어라 : 부이가구(富而可求) . 총, 균, 쇠, 그리고 하늘의 뜻 : 자지소신(子之所愼) . 몰입과 무아지경이 만들어낸 위대한 결과 : 삼월부지육미(三月不知肉味) . 어짊을 추구해 어짊을 얻었다면 어찌 원망할까 : 구인이득인(求仁而得仁) . 그 어떤 재물과도 바꿀 수 없는 감성의 가치 : 락역재기중의(樂亦在其中矣) . 세기의 학자 공자도 학습의 게으름을 후회한다 : 오십이학 《역》 (五十以學 《易》) . 몰입을 통해 얻는 삶의 즐거움 : 락이망우(樂以忘憂) . 인지부조화의 고개를 넘으면 성공이 보인다 : 아비생이지지자(我非生而知之者) . 공자가 결코 입에 담지 않았던 네 가지 : 자불어괴, 력, 난, 신(子不語怪, 力, 亂, 神) . 수천 년 전 공자도 강조한 ‘부의 엔트로피’와 ‘마인드셋’ : 택기선자종지(擇其善者從之) . 기적을 불러오는 사명감과 책임감 : 천생덕어여(天生德於予) . 아낌없이 모든 것을 가르쳐 주는 스승이 진정한 스승이다 : 오무은호이吾(無隱乎爾) . 성인, 군자, 그리고 어진 사람이 그리운 시대 : 망이위유, 허이위영(亡而爲有, 虛而爲盈) . 수단과 방법은 가려야 한다 : 조이불강, 익불사숙(釣而不綱, 弋不射宿) . 섣부른 행동의 이면에는 무지가 있다 : 다견이식지(多見而識之) . 풍문으로 타인의 미래를 예단하지 마라 : 인결기이진(人潔己以進) . 타인의 잘못을 짊어지는 용기 : 구유과, 인필지지(苟有過, 人必知之) . 불손함보다는 고루함이 낫다 : 사즉불손, 검즉고(奢則不孫, 儉則固) . 통제할 수 없는 일이 아닌 내면에 집중하라 : 군자탄탕탕(君子坦蕩蕩) . 지도자의 품격, 온화함과 엄숙함 : 위이불맹(威而不猛) 제8편 태백述而 편 : 천하를 거느린 공자의 인품 . 불확실성의 시대의 필수 요소인 예와 양보 : 삼이천하양(三以天下讓) . 지나침의 기준과 경계를 파악하라 : 공이무례즉로(恭而無禮則勞) . 호감을 살 수 있는 가장 쉽고 올바른 방법 : 군자소귀호도자삼(君子所貴乎道者三)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에서 벗어나기 : 석자오우상종사어사의(昔者吾友嘗從事於斯矣) . 하늘이 무너져도 변하지 않는 절개 : 임대절이불가탈(臨大節而不可奪) . 웅장한 기백과 강인한 의지력을 키워라 : 사불가이불홍의(士不可以不弘毅) . 선의로 포장된 지옥으로 향하는 길 : 인이불인, 질지이심(人而不仁, 疾之已甚) . 자신감과 예리함의 또 다른 이름, 거만함과 인색함 : 사교차린, 기여부족관야(使驕且吝, 其餘不足觀也) . 소인다운 선비와 군자다운 선비 : 삼년학, 부지어곡, 불이득야(三年學, 不至於谷, 不易得也) . 충격이 닥쳤을 때 이익을 취하라 : 독신호학, 수사선도(篤信好學, 守死善道) . 상대방의 불확실성까지 끌어안을 수 있는 용기 : 부재기위, 불모기정(不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