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의 글/들어가는 글
1장 과식의 탄생
2장 과식의 씨앗, 소비문화의 등장
3장 소비문화가 심리에 미치는 영향
4장 과식 충동은 왜 일어나는가
5장 식품산업은 우리를 속이기 위해 어떻게 심리학을 이용하는가
6장 달콤한 설탕의 대가
7장 음식도 ‘중독’이 되는가
8장 폭식장애와 소비자 문화의 관계
9장 식품산업과 제약산업이라는 짝패
10장 웰빙을 규제하라
11장 ‘과잉’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한다는 것
감사의 글/주/찾아보기
식품과학, 브랜딩, 마케팅의 발달이 현대인의 식단을 어떻게 바꿔놓았는지, 식품 제조업자들이 심리학을 어떤 방식으로 이용해 점점 더 많이 먹어야 한다고 사람들을 속이는지, 식품산업과 제약산업이 어떤 수법으로 소비자들의 욕망을 제조하고 각종 규제에 저항하는지 이야기한다. 지은이 키마 카길은 과식은 단순히 개인만의 문제가 아니라 소비주의와 물질주의가 만들어낸 더 넓은 문제의 일부라고 말하며, ‘욕망’을 제조하고 판매하는 식품산업과 제약산업의 전략을 임상심리학과 실존주의심리학의 눈으로 날카롭게 파헤친다.
'그부호' 잇는 독보적 감성
비주얼 마스터 웨스 앤더슨 신작
<페니키안 스킴> · AD
'그부호' 잇는 독보적 감성
비주얼 마스터 웨스 앤더슨 신작
<페니키안 스킴> ·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