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건과 정치 7
신모나돌로지/노마돌로지 28
포위에서 포획으로 37
가능세계의 선별 42
집단적인 것에 대한 비판 46
배분적 전체와 집단적 전체 54
자연과 사회 61
괴물 65
2 통제사회에서 삶과 생명체의 개념 68
감금되는 것은 외부이다 78
규율사회에서 통제사회로 84
군중, 계급, 공중 88
삶과 생명체 92
노동운동과 규율사회 102
3 기업과 신모나돌로지 107
소통/소비 110
노동과 가능성의 생산 120
자본-고객 123
모나드로서의 노동자, 그 자율과 책임 124
금융계와 표현기계 129
기업과 뇌의 협동 134
‘생산’이라는 개념 145
집합화한 뇌의 활동과 그 협동 149
뇌의 협동에 의한 생산-공통재 152
측정과 그 외부 156
공통재를 둘러싼 투쟁 160
자본주의와 빈약한 삶의 양식 165
4 표현과 소통의 대립 175
대화와 여론 181
텔레비전 188
대화와 내셔널리즘 192
시간의 테크놀로지 197
인터넷 203
권위주의적 발화와 설득적 발화 210
미하일 바흐친과 차이의 정치학 213
철학적 노트/존재론으로서의 대화주의 221
5 포스트사회주의 정치운동에서 저항과 창조 228
다수자의 기준으로서 임금노동자 271
다수자/소수자 279
생명체, 저항, 권력 285
전쟁 체제 292
감사의 말 303
옮긴이 후기 304
참고문헌 318
인명 찾아보기 322
용어 찾아보기 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