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서문 1부 역사 1장 영화가 듣지 못했을 때(1895~1927) 2장 채플린: 발성으로 가는 세 걸음 3장 발성영화의 탄생인가, 유성영화의 탄생인가?(1927~1935) 4장 비고: 질료와 이상 5장 ‘텍스트-왕’의 지배(1935~1950) 6장 바벨탑 7장 시간이 견고해지는 데는 시간이 얼마만큼 필요할까?(1950~1975) 8장 감각적인 것의 귀환(1975~1990) 9장 스피커의 침묵(1990~2003) 10장 〈새〉의 한 시퀀스를 중심으로: 덧쓰기 예술로서 발성영화 2부 미학과 시학 11장 타티: 암소와 음매 소리 12장 실망한, 요람 주변의 요정들 13장 분리 14장 실재와 그려내기 15장 세 가지 경계 16장 시청각적 프레이징 17장 히치콕: 보기와 듣기 18장 열두 개의 귀 19장 웰스: 목소리와 집 20장 말하는 기계 21장 얼굴과 목소리 22장 타르콥스키: 언어와 세계 23장 다섯 개의 권력 24장 신은 디스크자키다 25장 오퓔스: 음악, 소음, 말 26장 빗속의 눈물처럼 용어 해설집 간략한 참고문헌 사진 설명 글 옮긴이 해제 찾아보기(인명) 찾아보기(영화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