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각의 정지

조너선 크레리 · 人文学
652p
購入可能なサービス
評価する
4.7
平均評価
(3人)
예술비평가이자 인문학자로서 19세기 근대성과 시각의 문제를 탐구하는 일련의 연구서로 학문적 명성을 얻은 조너선 크레리의 대표작. 이 책에서 크레리는 19세기 후반의 사회적․철학적․과학적 담론들과 당대의 시청각적 기술들, 그리고 예술적․문화적 실천들이 뒤얽히는 가운데, 주의라는 논쟁적 개념이 어떻게 부상하고 변형되고 재구성되었는지를 추적해나간다. 19세기 말에 주의의 문제는 생산적이고 관리 가능한 주체성을 제도적으로 새롭게 구성하는 데 있어 핵심적 사안이 되었다. 이 책에서는 세심하고 고정적인 고전적 관찰자가 점차 주의력이 불안정한 주체로 대체되는 과정과 주의력에 초래된 위기를 고찰하고, 변화하는 자본주의적 편성들이 주의집중과 주의분산을 새로운 한계와 문턱으로 밀어 넣으면서, 어떻게 지각을 관리하고 규제하고자 했는지 살펴본다. 특히 이 책은 1879년부터 1900년까지 대략 10년 간격으로 발표된 마네, 쇠라, 세잔의 작품을 중심으로 서술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구속에서 풀려난 시각, 근대적 각성의 경험, 그리고 지각의 종합으로 요약되는 주의의 계보학을 치밀하게 그려 보인다. 이 책은 2001년 라이어널 트릴링 북어워드를 수상하기도 했다.

[9주년] 해피 젝시 데이!

젝시믹스 9주년 기념 ~80% 빅 세일

젝시믹스 · AD

[9주년] 해피 젝시 데이!

젝시믹스 9주년 기념 ~80% 빅 세일

젝시믹스 · AD

著者/訳者

目次

감사의 말 서론 제1장 근대성과 주의의 문제 제2장 1879: 풀려난 시각 제3장 1888: 각성의 빛 제4장 1900: 종합의 재발명 에필로그 1907: 로마에서 홀리다 참고문헌 옮긴이 후기 도판 출처 찾아보기(인명) 찾아보기(용어)

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마네, 쇠라, 세잔의 작품에 형상화된 시각성의 문제를 경유해 근대의 문턱에서 이뤄진 지각 방식의 중대한 변화를 포착하고 스펙터클과 주의 관리 기술이 중첩된 현시대까지 아우르는 학술적 모험 예술비평가이자 인문학자로서 19세기 근대성과 시각의 문제를 탐구하는 일련의 연구서로 학문적 명성을 얻은 조너선 크레리의 대표작 『지각의 정지: 주의․스펙터클․근대문화』가 번역, 출간되었다. 이 책에서 크레리는 19세기 후반의 사회적․철학적․과학적 담론들과 당대의 시청각적 기술들, 그리고 예술적․문화적 실천들이 뒤얽히는 가운데, 주의라는 논쟁적 개념이 어떻게 부상하고 변형되고 재구성되었는지를 추적해나간다. 19세기 말에 주의의 문제는 생산적이고 관리 가능한 주체성을 제도적으로 새롭게 구성하는 데 있어 핵심적 사안이 되었다. 이 책에서는 세심하고 고정적인 고전적 관찰자가 점차 주의력이 불안정한 주체로 대체되는 과정과 주의력에 초래된 위기를 고찰하고, 변화하는 자본주의적 편성들이 주의집중과 주의분산을 새로운 한계와 문턱으로 밀어 넣으면서, 어떻게 지각을 관리하고 규제하고자 했는지 살펴본다. 특히 이 책은 1879년부터 1900년까지 대략 10년 간격으로 발표된 마네, 쇠라, 세잔의 작품을 중심으로 서술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구속에서 풀려난 시각, 근대적 각성의 경험, 그리고 지각의 종합으로 요약되는 주의의 계보학을 치밀하게 그려 보인다. 이 책은 2001년 라이어널 트릴링 북어워드를 수상하기도 했다. ■ 19세기, 산업자본주의와 기술적 진보, 그리고 ‘보는 방식’의 전면적 개조 이 책에서 전면적인 논의 대상으로 삼고 있는 19세기는 ‘시각’이 기존의 고전적 질서에서 벗어났으나, 아직 20세기에 부상한 기계적 시각 체제 속에 완전히 자리 잡기 전인 과도기이자 가능성으로 넘쳐나는 시간대였다. 저자는 전작인 『관찰자의 기술』에서 19세기 초반에 생리학적 광학이 등장함으로써 시각 모델이 어떻게 바뀌었는지를 고찰한 바 있는데, 후속작인 이 책에서는 그로 인한 귀결들을 본격적으로 검토한다. 전작과 다른 점은 시각 대신 ‘지각’이라는 확장된 개념을 채택하고 있다는 점이다. 주체에 대해 설명하는 일은 시각이라는 단일한 감각뿐 아니라 청각과 촉각, 그리고 여러 감각이 혼합된 양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우선 제1장에서는 19세기 들어 주의력이 어떻게 새로운 종류의 문제가 되었는지, 왜 주의의 문제가 지각에 대한 철학적, 심리학적, 미학적 연구와 불가분의 관계가 되었는지와 같은 쟁점들을 규명한다. 1870년대에 ‘주관적 시각’ 모델(즉 외부 자극이 아닌 개인의 감각에 기반한 지각 경험)이 등장하면서 시각의 불확실성과 한계를 포착하려는 이론적 시도가 급격히 증가했는데, 저자는 이러한 다양한 입장들을 다음의 세 가지 범주로 나누어 살펴본다. 주의를 의식적인 의지의 표현으로 여기는 입장, 프로이트처럼 생물학적 본능들과 무의식적 욕동들의 기능으로 보는 입장, 그리고 다양한 유인의 기술을 비롯해 지식과 통제를 통해 생산되고 관리 가능하다고 믿는 입장이 그것이다. 자본주의의 문화적 논리는 주체가 다양한 자극에 대응하여 끊임없이 주의의 초점을 전환할 수 있는 능력을 요구했다. 이는 크레리가 일찍이 텔레비전을 통해 감지했던 감시와 스펙터클의 중첩 모델로 연결된다. “감시와 스펙터클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이러한 중첩의 양상들을 새로 고안해내고 퍼뜨리고 확장하는 과정과 단단히 맞물려 있는 것은 바로 자본주의다. 그리고 자본주의 사회에서 살아가는 개인들에게 내면화된 스펙터클적 감시의 형식이 바로 집중과 분산 사이에서 끊임없이 진동하는 주의(력)의 관리”(p. 617)라는 것이다. 역자에 따르면, 오늘날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줌’ ‘구글미트’ 같은 온라인 화상회의가 보편화된 현상은 크레리가 말한 스펙터클적 감시의 기술이 ‘사용자 친화적’으로 탈바꿈된 사례이며, 그 사용자들은 감시의 주체이자 스스로의 얼굴을 다수에게 내보이는 스펙터클적 대상이 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종종 의식의 분열이라 지칭되곤 했던 종합 능력의 실패나 오작동은 19세기 말에는 정신병 및 다른 정신병리학과 결부되어 다루어졌다. 이는 사실상 주체가 시각장과 맺는 관계가 근본적으로 바뀌고 있음을 나 타내는 증거였다. 저자는 최면술과 정신분열, 몽상 등을 통해 주의의 근본적 양가성을 보여주기도 하고, 카메라 옵스쿠라와 입체경, 파노라마 같은 각종 스펙터클적 장치들과 재현 모델이 담당한 역할을 조명하는 등 심도 있게 자신의 지적 성찰을 펼쳐나간다. 그 밖에도 리하르트 바그너, 윌리엄 제임스, 뒤르켐, 후설, 아도르노, 베르그송 등 수많은 이론들을 호명하고 있으며, 광범위한 대상들과 주제들을 오가며 600여 쪽에 걸쳐 상세한 논의를 수행한다. ■ 마네, 쇠라, 세잔의 그림이 알려주는 것들, 지각의 역사적 출현을 위한 조건들의 고고학적 탐사 이어지는 세 개의 장에서는 마네의 <온실에서>(1879), 쇠라의 <서커스 선전 공연>(1887~88), 세잔의 <소나무와 바위>(1900)를 주축으로 삼아, 주관적․생리학적 시각 모델이 낳은 귀결과 반향을 조사하는 한편, 그 과정에서 펼쳐진 창조적 지평을 고려하고자 한다. 저자는 이 회화 작품들을 몇몇 익숙한 예술사적 해석틀로부터 분리해내고자 했으며, 그에 따라 우리는 ‘순수 시각’을 강조하는 전통적 해석에서 벗어나 분산적 힘과 집중적 힘이 교차하는 역동적인 주의의 장으로서 회화적 표면을 바라볼 수 있게 되었다. 벤야민은 “근대성이란 역사상 처음으로 개인들이 공적 영역에서 다른 이의 시선에 응대하지 않는 법을 체계적으로 습관화”하게 된 것이라고 언명한 바 있는데, 저자에 따르면 이를 가장 잘 증언해주는 것이 마네의 그림이다. <온실에서>에서 자신을 내보이는 중이면서 무심하게 자신을 통제하는 여자의 얼굴은 규범적 지각이 유예된 상태를 암시한다. 또한 같은 그림 속 남자의 두 눈은 비대칭적이고 분열적인 관계에 놓여 있는데, 오른쪽 눈은 대각선 아래에 위치한 여자의 얼굴 쪽을 보는 듯하고 왼쪽 눈은 여자의 우산 또는 손을 응시하는 것으로 보인다. 시선의 방향만이 아니라 그 효력마저 혼란스럽고 모호하게 처리되어 있다. 이는 이 그림이 두 개의 이질적인 시지각적 축이 있는, 통일성이 깨진 시각장 내에 있음을 시사하며, 총체적으로 지각되는 응집력 있는 세계가 사라져버렸음을 극적으로 표현한다고 볼 수 있다. 시각의 카메라 옵스쿠라 모델이 무너지고 생리학적 광학이 부상하면서, 지각은 외부 이미지를 수동적으로 수용하는 일이 아니며 관찰자의 기질과 능력이 지각의 구성에 관여한다는 점이 점차 분명해졌다. 1880년대 후반 쇠라의 작업은 그러한 인식론적 위기가 낳은 중요한 문화적 산물 가운데 하나다. 쇠라의 <서커스 선전 공연>은 멀리서 보면 칙칙하고 흐릿한 무채색으로 보이지만 가까이 다가가서 보면 분홍색, 청색, 주홍색 등 다양한 색채의 점들이 어우러져 다른 느낌을 준다. 이처럼 관람자의 신체적 움직임을 통해 그림을 다른 방식으로 경험할 수 있는데 쇠라는 이와 같은 작업을 통해 감각 데이터의 불균질성 및 동시성에 주의를 기울이는 관찰자의 한계와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저자는 내시 현상에 대한 헬름홀츠의 광학적 연구나 에른스트 마흐의 감각 개념 등을 끌어들여 쇠라의 작품을 독해해나간다. 쇠라의 후기 작업들은 개개의 관찰자들이 각자의 고립 상태는 유지한 채로 군중 혹은 관객이라는 유사 연대로 모일 가능성을 드러낸다. 그 밖에도 무대적 공간의 붕괴가 경제적 교환의 새로운 조직화와 원초적 무매개성이라는 퇴행적 환상 모두와 어떻게 불가분의 관계를 맺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1900년경부터 세잔의 작업에서는 종합의 재발명이 시도되었는데, 이를 통해 어떠한 문제들이 제기됐는지 검토해본다. 마네와 쇠라가 부분적으로 의지했던 결속, 항상성, 고착

この作品が含まれたまとめ

6
  • 出典
  • サービス利用規約
  • プライバシーポリシー
  • 会社案内
  • © 2024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