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아하는 것들을 죽여 가면서

임정민 · 詩
204p
購入可能なサービス
content
評価分布グラフ
平均3.2(48人)
0.5
3.5
5
評価する
3.2
平均評価
(48人)

민음의 시 289권. 임정민 시인의 첫 시집. 시인은 시편마다 새로운 공간과 세계를 창조하여 그 안에 머무는 인물들의 독특한 사고를 시적 언어로 형상화하는 작품들을 써 왔다. 이 시집은 두 가지 태도를 한 몸에 지녔다. 시의 인물들은 잔뜩 긴장한 채 떨고 있는 것처럼도 보이지만 미지의 지점으로의 모험을 결코 포기하지 않는 당찬 성정을 지녔다. 임정민의 시는 익숙한 것으로부터 계속해서 미끄러지고 달아난다. 시집 <좋아하는 것들을 죽여 가면서>는 그 달아남과 도망침의 생생한 기록을 담은 한 권의 ‘탈출 일지’다. 임정민의 시편들이 어디로부터 도망쳐 왔는지, 어느 곳에 도착했는지, 도착한 곳에서는 어떻게 존재하는지 읽어 내는 일은 저마다 무겁게 등에 진 권태를 어떻게 부술 수 있을지 가늠해 보는 일과도 같다.

엘지이닷컴 단독 이벤트

스탠바이미 세트 구매 혜택

LG전자 · AD

評価分布グラフ
平均3.2(48人)
0.5
3.5
5

엘지이닷컴 단독 이벤트

스탠바이미 세트 구매 혜택

LG전자 · AD

著者/訳者

目次

1부 HEENT 13 사물 시는 작게 말한다 19 조형 시는 골지 위에 쓴다 22 공상과 포위 25 공백의 광선 33 아날로그 39 벌 신(Bee God) 46 콕토의 검색 58 자율의 오도 1 61 자율의 오도 2 62 자율의 오도 3 63 자율의 오도 4 64 자율의 오도 5 65 자율의 오도 6 66 자율의 오도 7 67 자율의 오도 8 68 자율의 오도 9 69 자율의 오도 10 70 2부 좋아하는 것들을 죽여 가면서 73 태화강 오후 86 갈증 92 스몰 토크 99 밀실 102 모래주머니의 S와 돕는 연인들 104 루지, 언더 트리 108 interlude 113 가장 다정한 116 asap 118 선경 121 공주 130 3부 html ghost 135 루블 140 기숙사 144 검은 옷의 혼선에 서서 146 크로나 150 스키를 타는 것 154 수조를 보는 것 158 크로나 164 Loveless 169 크로나 176 푸른빛이 페달을 181 물방울치과 185 1227 188 발문│송승언(시인) 숨은 길 189

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끝없이 달아난 끝에 도착한 낯선 세계에서 이야기의 손을 잡고 강변을 거니는 시간 임정민 시인의 첫 시집 『좋아하는 것들을 죽여 가면서』가 민음의 시 289번으로 출간되었다. 2015년 《세계의문학》 시 부문 신인상을 수상하며 등단한 임정민 시인은 시편마다 새로운 공간과 세계를 창조하여 그 안에 머무는 인물들의 독특한 사고를 시적 언어로 형상화하는 작품들을 써 왔다. ‘좋아하는 것들을 죽여 가면서’라는 제목은 쓸쓸한 체념의 어조로 읽히기도 하고, 단호한 결심의 서두로 읽히기도 한다. 이 시집은 두 가지 태도를 한 몸에 지녔다. 시의 인물들은 잔뜩 긴장한 채 떨고 있는 것처럼도 보이지만 미지의 지점으로의 모험을 결코 포기하지 않는 당찬 성정을 지녔다. “똑같은 몸짓으로는 매번 달라지는 감정을 설명할 수 없어요.”라는 문장처럼 임정민의 시는 익숙한 것으로부터 계속해서 미끄러지고 달아난다. 시집 『좋아하는 것들을 죽여 가면서』는 그 달아남과 도망침의 생생한 기록을 담은 한 권의 ‘탈출 일지’다. 임정민의 시편들이 어디로부터 도망쳐 왔는지, 어느 곳에 도착했는지, 도착한 곳에서는 어떻게 존재하는지 읽어 내는 일은 저마다 무겁게 등에 진 권태를 어떻게 부술 수 있을지 가늠해 보는 일과도 같다. ■ 매일 새로운 곳에서 태어나는 사람들 지루함 속으로 더 흘러가기로 할 때 나는 머리채를 잡힌다. 나는 달아난다. ―「좋아하는 것들을 죽여 가면서」에서 일상의 사전적 의미는 “날마다 반복되는 생활”이다. 일상을 살아갈수록 우리는 우리의 일상을 구성한 것들에 조금씩 익숙해진다. 익숙해진다는 것은 평온함을 가져다주기도 하지만, 동시에 모든 것이 낯설 때 느꼈을 긴장감은 점점 사라진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임정민 시의 인물들은 낯섦에서 익숙함으로, 긴장됨에서 평온함으로 흘러가기 마련인 일상의 흐름을 정반대 방향으로 거스른다. 그들은 삶이 지루해지려는 찰나, “머리채를 잡힌” 채 “달아난다.” 누군가 그 뒤를 쫓는 것이 아닌데도 끝없이, 적극적으로 도망친다. 인물들의 도망은 쫓기고 내몰리는 수동적인 행위가 아닌, 망치를 들고 지루한 것들을 부수며 무뎌져 가는 시간의 감각을 날카롭게 벼리는 적극적인 행위이다. 내게 익숙한 것들, 익숙해서 좋은 것들을 죽여 가면서 시간의 흐름을 거스르는 임정민 시 속 인물들은 그리하여 매일 새로운 곳에서 태어난다. 그들은 언뜻 보기에 낯선 것들에 둘러싸여 떨고 있는 약한 존재처럼도 보이지만 전혀 그렇지 않다. 그들은 적극적으로 이곳에 도착했다. 다시 내일이 되면 아무도 모르는 곳으로 떠날 것이다. ■ 이야기들과 대화하기 썩은 치즈와 전원생활의 관계가 움직이는 것을 목격했다 나는 시계를 보았다 벽에 걸려 있었다 ―「밀실」에서 임정민 시의 인물들은 혼자 있는 법이 없다. 늘 이야기와 함께 있다. 이때 이야기는 책상 위에 놓여 누군가에게 읽히기를 기다리는 고요한 대상이 아닌, 스스로 말하고 움직일 수 있는 생명체에 가깝다. 사람들의 얼굴이 모두 제각각인 것처럼, 이야기도 저마다 다양한 모습을 하고 있다. “썩은 치즈와 전원생활의 관계”처럼 서로 전혀 관련이 없어 보이는 것들이 인물들의 시선에 의해 한 편의 이야기로 새롭게 완성되기도 하고, 안데르센 전집과 같이 오래된 이야기가 인물들에게 새삼스레 말을 걸어오기도 한다. 이야기는 때로 내 손바닥 위 작은 공간에서만 움직이는 초식 동물 같고, 때로는 강변을 함께 거닐며 지친 아이를 업어 주는 든든한 어른 같다. 이야기의 크고 작은 기척을 모두 눈치채는 섬세한 감각을 지닌 임정민 시의 인물들은 이렇게 묻는다. “너는 알아챌까?” “과연 그럴까?” 그들은 우리가 혼자 있을 때에도 실은 무수한 이야기에 둘러싸여 있음을 알려 주고 싶어 하는 것 같다. 이야기를 발견할 수 있게 된다면 우리 역시 이야기와 많은 대화를 나눌 수 있을 것이다. 말하고 움직이는 이야기와 함께 걷고 웃고 떠들기도 하면서.

この作品が含まれたまとめ

7
  • 出典
  • サービス利用規約
  • プライバシーポリシー
  • 会社案内
  • © 2024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