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시작하는 글 이런저런 내가 사는 이야기 - 내 라이프스타일을 결정짓다 - 고정관념과 상식에 대한 도전 - 어색하게 시작해도 하다 보면 익숙해진다 - 현장의 필터링을 거치지 않은 아이디어는 앙꼬 없는 찐빵 PART1 스타트업을 할 때 놓쳐서는 안 될 것들 - 스타트업 창업자가 반드시 해야 하는 3가지 - 사업계획은 어떤 과정으로 구체화되는가 PART2 아이디어 도출 및 검증 단계 | 스타트업이 겪는 위험을 검토하라 - 시장, 제품, 경로 위험과 아이템 검증 |실전| T-캔버스와 워크시트의 활용 |산업구조 분석(Industry Knowledge Source) |여기서 잠깐!| 비즈니스 모델링 본격 해부 PART3 비즈니스 모델링 1 | 그곳에 기회와 위험이 존재하는가 - 비즈니스 모델링을 위한 T-캔버스의 이해 - 진입할 산업을 먼저 결정하라 : 탑다운 방식의 적용 |산업 매력도 분석 사례| 전자책 저작기술 |실전| T-캔버스와 워크시트의 활용 PART4 비즈니스 모델링 2 | 비용을 지불할 만한 가치가 있는가 - 사업화를 위한 4가지 질문과 사업개발 4요소 - 고객의 결정은 곧 시장을 결정하는 일 : 고객·접점 |여기서 잠깐!| 기술 아이템을 사업화할 때 탑다운 방식과 바텀업 방식을 함께 활용하는 이유 - ‘문제를 가진’ 고객의 총합이 시장이다 : 문제·속성 - 고객은 기술이 아닌 제품을 구매한다 : 해법·제품서비스 - 모든 걸 혼자서 만들기는 힘들다 : 제품개발 파트너 |실전| T-캔버스와 워크시트의 활용 PART5 비즈니스 모델링 3 | 고객에게 어떻게 가치를 제안할 것인가 - 경로위험 극복 및 가치제안 영역에서는 무엇을 다루는가 - 어떻게 팔 것인가를 공략한다 : 접점공략/파트너 - 내 아이템과 경쟁관계에 있는 대상은? : 경쟁재/대체재 - 내 제품의 경쟁력은 무엇인가 : 비교우위/비교지표 - 보이지 않는 고객군까지 보인다 : 유통채널 |실전| T-캔버스와 워크시트의 활용 PART6 비즈니스 모델링 4 | 지금까지의 사업계획을 현장에서 점검하라 - 시장에서 업그레이드하고 검증하는 과정은 필요하다 |실전| T-캔버스와 워크시트의 활용 |여기서 잠깐!| 비즈니스 모델링 스토리 과정 PART7 비즈니스 전략 및 추정재무 | 비즈니스 모델을 어떻게 실행할 것인가 - 비즈니스 모델과 비즈니스 전략은 왜 구분하는가 - 기술개발전략과 추정재무 - 생산전략과 추정재무 - 판매전략과 추정재무 - 인력수급전략과 추정재무 |실전| T-캔버스와 워크시트의 활용 맺는 글 부록 : 기술창업 방법론을 활용한 정부지원 사업계획서 작성사례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