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치심은 혁명적 감정이다

프레데릭 그로 · 社会科学/人文学
264p
購入可能なサービス
content
評価分布グラフ
平均 3.5(10人)
0.5
3
4
5
評価する
3.5
平均評価
(10人)
レビュー
もっと見る

수치심은 부정적 감정으로 여겨진다. ‘부끄러움’의 유의어로는 자괴감, 창피, 치욕, 모욕, 망신 등을 들 수 있다. 모두 극복해야 할 감정, 또는 ‘피해자’가 느끼는 감정에 속하는 것이다. 역사적으로도 아담과 하와가 선악과를 따먹고 느낀 ‘부끄러움’부터, 가족 내에서 일어나는 ‘명예 살인’, 그리고 현대의 포털 사이트 뉴스란에 가득한 ‘성적 수치심’까지, 수치심은 부정적 감정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한편으로 수치심은 마땅히 가져야 할 것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수치심을 모르는 자들 같으니”, “염치가 있어야지”, “창피한 줄을 알아야지” 같은 용례에서처럼. 이런 용례에서 수치심은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판단을 함축한다. 수치심을 아는 이들, 염치가 있는 이들, 마땅한 창피를 느끼는 이들이 많은 사회로 나아가야 한다는 판단 말이다. 그런 점에서 프레데리크 그로는 “수치심은 혁명적 감정”이라고 말한다. 수치심은 개인적인 차원에서 해소해야 할 심리적인 현상만도, 가해자를 처벌하는 데 쓰이는 법적 근거만도 아니다. 수치심은 고대 그리스어로는 아이도스aidos, 라틴어로는 푸도르pudor라 불렸다. 이는 정치적 복종의 지렛대이자 사회적 슬로건이며, 내면을 형성하는 원리를 담은 찾던 고대 사회의 윤리를 함축한다.

첩보극의 틀을 깨는 앤더슨다운 상상력!

완벽한 프레이밍 속, 아무도 믿을 수 없는 세계로

왓챠 개별 구매

評価分布グラフ
平均 3.5(10人)
0.5
3
4
5

첩보극의 틀을 깨는 앤더슨다운 상상력!

완벽한 프레이밍 속, 아무도 믿을 수 없는 세계로

왓챠 개별 구매

著者/訳者

レビュー

1

目次

서문 악평 명예 없는 사회? 사회적 멸시 유령 이야기 우울 사회적 사실: 근친상간, 강간(외상성 수치심) 공화국의 성적 토대 아이도스 철학적 수치심 주기 전미래 교차적 수치심 계통적 수치심 혁명적 수치심

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가난한 이들에게 부자들이 가져야 할 염치, 부정한 축재에 대한 권력자들의 창피함 나도 모르게 저지르는 성차별, 인종차별적 행동에 대한 부끄러움 인류가 망가뜨리고 있는 지구에 대한 수치심 수치심은 책임을 느끼고 있다는 증거이고, 단순히 침울한 감정이 아니라 자신을 되돌아보는 것이며, 변화의 에너지를 담은 혁명적 감정이다 프랑스의 저명한 철학자인 프레데리크 그로(현 파리 정치대학 교수)가 논구한 수치심에 대한 정치철학적 사유. 염치, 부끄러움, 창피함 등의 감정을 포괄하는 ‘수치심’이 우리 시대의 핵심 정서이며, 수치심이 단순히 개인의 내면에 자리한 부정적 감정이 아닌 사회적․정치적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혁명적 감정임을 밝힌다. “더는 자신을 수치스러워하지 말라!” “수치심을 모르는 자들 같으니!” “수치심을 가져야 할 건 당신들이다!” 시대적 명령 사이에 자리한 감정, 수치심 수치심은 부정적 감정으로 여겨진다. ‘부끄러움’의 유의어로는 자괴감, 창피, 치욕, 모욕, 망신 등을 들 수 있다. 모두 극복해야 할 감정, 또는 ‘피해자’가 느끼는 감정에 속하는 것이다. 역사적으로도 아담과 하와가 선악과를 따먹고 느낀 ‘부끄러움’부터, 가족 내에서 일어나는 ‘명예 살인’, 그리고 현대의 포털 사이트 뉴스란에 가득한 ‘성적 수치심’까지, 수치심은 부정적 감정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한편으로 수치심은 마땅히 가져야 할 것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수치심을 모르는 자들 같으니”, “염치가 있어야지”, “창피한 줄을 알아야지” 같은 용례에서처럼. 이런 용례에서 수치심은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판단을 함축한다. 수치심을 아는 이들, 염치가 있는 이들, 마땅한 창피를 느끼는 이들이 많은 사회로 나아가야 한다는 판단 말이다. 그런 점에서 프레데리크 그로는 “수치심은 혁명적 감정”이라고 말한다. 수치심은 개인적인 차원에서 해소해야 할 심리적인 현상만도, 가해자를 처벌하는 데 쓰이는 법적 근거만도 아니다. 수치심은 고대 그리스어로는 아이도스aidos, 라틴어로는 푸도르pudor라 불렸다. 이는 정치적 복종의 지렛대이자 사회적 슬로건이며, 내면을 형성하는 원리를 담은 찾던 고대 사회의 윤리를 함축한다. 수치심은 우리에게 불복종할 힘을 주는 혁명적 감정이다 책의 제목은 마르크스의 말을 인용한 것이다. “당신은 웃으며 나를 보고 말하겠지요! 시시합니다! 우리가 혁명을 하는 건 결코 수치심 때문이 아니라고 말이지요. 난 이렇게 대답하겠습니다. 수치심은 이미 하나의 혁명입니다. 그것은 정말이지 1813년에 승리한 독일 애국주의에 대한 프랑스 혁명의 승리입니다. 수치심은 일종의 분노입니다. 억눌린 분노. 온 나라가 정말 수치심을 느낀다면 그건 달려들기 위해 움츠린 사자 같을 것입니다. 고백하건대, 아직 독일에는 수치심이 존재하지 않습니다.”(K. 마르크스, 루게에게 쓴 편지, 1843년 3월, “D를 향하는 거룻배에서”) 수치심이 혁명적일 수 있는 건 그것이 세상과 자기 자신을 향한 분노에 속하기 때문이며, 또한 그것이 상상력으로 작동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우리에게 불복종할 힘을 주는 것, 나날이 확실히 최악으로 치닫는 세태에 체념하지 않고 저항할 능력을 온전히 간직할 힘을 주는 것은 프리모 레비의 표현대로 “세상에 대한 수치심”이다. 수치심은 슬픔과 분노의 혼합물이다. 영혼을 아무리 다듬는다 해도, 우리는 수치심을 뛰어넘지 못한다. 그저 수치심을 분노의 형태로 바꿀 뿐이다.

この作品が含まれたまとめ

2
  • 出典
  • サービス利用規約
  • プライバシーポリシー
  • 会社案内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