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이 책이 안내하는 방향에 따라, ”다시 함께 살아가자“고 손을 내밀어보자.
죽음의 문턱 앞에 선 이의 마음에 닿을 수 있을 것이다.
고선규 임상심리학자, 《여섯 밤의 애도》 저자
2021년 영국심리학회 과학도서상 수상
경희대 백종우 교수 감수
고선규 임상심리학자, 서울대 이현정 교수 추천!
자살의 원인부터 예방까지,
25년의 연구를 집대성한 자살에 관한 모든 것
우리는 잊을 만하면 유명인이, 누군가의 가족이, 아직 앞길이 창창할 청소년과 청년이 자살로 세상을 떠났다는 보도를 접하고, 그들이 절망 속을 헤맬 때 아무것도 해주지 못했다는 사실에 가슴 아파한다. 자살 위험이 있는 사람을 안전하게 지킬 방법은 없을까? 자살로 고통받는 사람을 어떻게 도울 수 있을까? 자살 위험 신호를 어떻게 알아볼 수 있을까?
《마지막 끈을 놓기 전에》는 자살 연구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인 로리 오코너가 25년간의 연구를 집대성한 책으로 자살의 심리, 원인, 오해, 예방책 등 자살에 관한 정보를 총망라한 종합 안내서다. 그는 이 책에서 자신의 경험과 자살 당사자 사례와 최신 의학‧심리학 연구를 결합해 통해 자살 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잠재적 요인부터, 자살 생각이 일어나는 이유, 자살 생각이 행동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체계적으로 분석한다. 또한 누군가가 자살 위험에 빠졌다는 경고 신호를 포착할 방법과, 자살 위험에 처한 이를 도울 수 있는 방안도 함께 소개한다.
이 책은 자신을 자살 연구로 이끈 지도 교수와 소중한 동료를 자살로 떠나보낸 사별자이기도 한 저자가 “자살로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모든 사람에게, 매일 살아남기 위해 몸부림치는 사람에게 바치는” 희망의 끈이기도 하다. 살아가기를 힘들어하는 주변인을 도우려는 이들에게는 그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여 듣는 방법을, 하루하루 살아가려 애쓰는 사람에게는 칠흑 같은 절망 속에서 빠져나와 희망의 끈을 붙잡을 수 있는 길을 안내할 것이다.
“자살은 죽고 싶어서 택하는 것이 아니라, 고통을 끝내기 위해 택하는 것이다”
자살의 심리부터 원인, 오해, 예방책까지, 자살에 대한 가장 올바른 이해를 주는 책
40초에 한 명, 1년에 80만 명. 전 세계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자살로 생을 마감한다. 특히 대한민국은 OCED 회원국 중 자살률이 가장 높은 나라로 한 달에 1천 명 이상이 자살로 생을 마감하며(2022 〈자살예방백서〉), 경제 불황, 취업난 등으로 청년층부터 노년층까지 자살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이처럼 자살이 심각한 사회 문제이며 이를 개선해야 한다는 점은 모두가 인지하고 있지만, 막상 자살 사건이 일어나면 그 사람이 왜 자살을 결심했는지, 이런 일을 막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알지 못한다. 오히려 자살을 하는 사람이 이기적인 거라며 당사자를 비난하기도 한다. 남겨진 사람들은 왜 사랑하는 사람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는지 이해하지 못해 힘들어한다. 그러는 사이 누군가는 또 자살로 생을 마감하고 가족이나 친구를 잃는 이가 생기는 악순환이 이어진다. 소중한 이들을 더 잃기 전에, 자살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한 시점이다. 무엇이 자살하겠다는 생각을 일으키는가? 자살의 신호는 어떻게 알아볼 수 있으며, 어떻게 해야 자살을 막을 수 있을까?
이에 대해 올바른 지침을 주는 책, 《마지막 끈을 놓기 전에(원제: When it is Darkest, 심심刊)》가 출간되었다. 이 책은 자살 연구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인 로리 오코너가 25년간의 연구를 집대성한 책으로, 자살의 심리, 원인, 오해, 예방책 등 자살에 관한 정보를 총망라한 종합 안내서다. 저자는 자살 예방의 선두 국가인 영국 스코틀랜드 글래스고 대학교 건강심리학과 교수로, 자살행동연구소를 이끌며 자살 연구와 예방에 앞장서고 있다.
여기에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이자 자살예방센터장을 지낸 백종우 교수가 이 책의 감수를 맡아 자살에 관한 의학적 용어와 표현, 한국 내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지원센터 목록 수록 등 국내 독자에게 필요한 내용을 보완했다. 그는 “이 책이 실제 위기에 빠진 사람을 어떻게 구하고 도울지 고민하는 이들에게 실천하기 좋은 지침을 제공”하며 “지금 우리 사회에 무엇이 필요한지 고민하는 독자에게 이 책이 안내하는 근거가 커다란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한다”며 극찬했다.
절망에 빠지는 순간부터 생을 끝내기로 결심하기까지,
죽음의 문턱 앞에 선 사람의 심리를 파고들다
저자는 자살을 생각하는 사람의 심리가 매우 복합적이며, 자살을 부르는 요인도 다양하기에 단일한 요인으로 자살이 일어났다고 판단할 수는 없다고 지적한다. 당사자가 선천적으로 외부적 충격에 취약한 성질을 타고났을 수도 있고(148쪽), 아동기에 겪은 부정적 경험의 영향을 받았을 수도 있고(162쪽), 미래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부족해서일 수도 있다(180쪽). 그러나 자살 생각을 하는 이들의 공통점이 하나 있는데, 바로 정말로 죽기를 원해서가 아니라 견딜 수 없는 고통에서 벗어나고 싶어서 자살을 택한다는 것이다. 이들은 자신의 고통이 끝없이 이어질 거라는 생각에 매몰되어, 조금이라도 더 버티면 상황이 나아질 여지가 생긴다는 사실이나 자신의 죽음이 주변인에게도 고통을 안길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한다. 오히려 ‘나는 다른 사람들에게 짐만 되니, 내가 사라지는 것이 다른 사람들에게는 훨씬 더 좋은 일이다’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112쪽).
저자는 이런 자살 위험에 빠진 이들의 상태가 “출구가 전혀 없는 심리적 터널에 갇힌 기분”(104쪽)과 같다고 설명한다. 자살을 생각할 정도로 절망에 빠진 이들은, 빛 한 줄기 보이지 않는 끝없는 터널에 갇힌 것처럼 절망의 고통에 갇혀 희망을 보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는 자살 위험이 있는 사람의 경우 너무나 절망적인 상황에 압도되어 객관적으로 상황을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고통에서 벗어날 해결책이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한다고 말한다. 따라서 스스로 죽음을 맞는 것만이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는 유일한 ‘해결책’이라고 판단하고, 자신의 생명을 끊음으로써 절망에 종지부를 찍으려 하는 것이다.
이렇듯 ‘고통에 갇혔다는 생각/느낌’은 자살 위험에 빠진 이들의 생각을 이해하는 핵심이다. 저자는 “견딜 수 없다는 생각과 감정에 갇힌 느낌” 혹은 “패배적‧모욕적인 정황으로 속박된 느낌”(127쪽)을 뜻하는 ‘속박감’이 자살 생각을 일으키는 결정적인 요소라고 말한다. 자살은 절망적인 상황에 묶여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속박감에서 벗어나려는 시도이며(125쪽), 삶에 ‘속박되었다’는 느낌이 클수록 자살을 생각하고 스스로 목숨을 끊는 시도를 할 가능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129쪽). 이런 무력감에 강하게 짓눌릴수록 자살 위험이 높아진다.
자살 생각은 어떻게 자살 행동으로 이어지는가
수십 년의 연구를 집약한, 자살 행동의 경로와 요인
그렇다면 자살 생각은 어떻게 자살 행동으로 이어지는 것일까? 저자는 이를 밝혀내기 위해 자살 위험에 영향을 끼치는 다양한 생물학적‧사회적‧문화적 요인과 자살 생각이 행동으로 이어지는 요인, 자살 시도를 하는 사람들의 행동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연구해 ‘자살 행동에 관한 통합적 동기-의지 모델’을 완성했다(140쪽). 이 모델은 정신적 고통이 자살 생각으로, 그리고 자살 생각이 자살 행동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정확히 이해할 수 있는 틀로, 자살 위험을 파악할 수 있도록 돕는다.
많은 자살 사별자는 고인이 “스스로 목숨을 끊을 사람이 아니”었기 때문에 자살을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괴로워한다. 이처럼 누가 자살 생각을 실행에 옮기고, 또 어떤 사람은 그렇지 않은지 미리 알기란 믿기지 않을 정도로 어렵지만, 저자는 “자살을 예측하는 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노력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