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目次
프롤로그 일하는 사람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식사'도 '운동'도 아닌 '숙면'이다 감수의 글 인류의 가장 오래된 건강 비결, 숙면 제1장 현대 직장인에게 숙면이 꼭 필요한 이유 이제는 일할 때 'Do'가 아니라 'Be'가 중요하다 숙면은 직장인의 불평등을 없앤다 평범하게 일상생활만 해도 수면 부족이 될 수 있다 수면 부족의 가장 큰 문제는 인간관계 악화다 제2장 인생에는 숙면 법칙이 있다 인생에 숨겨진 숙면 지도를 찾아라 왜 푹 자고 싶은가? 이유를 알면 숙면을 취할 수 있다 DAY : 하루의 수면 패턴을 정하면 숙면은 반 정도 이룬 것이나 마찬가지다 WEEK : 월요일의 첫 단추를 잘못 끼우면 일주일 내내 영향이 미친다 SEASON : 각 계절과 환절기에 맞는 숙면 기술이 있다 AGE : 나이나 인생의 중요한 이벤트에 따라 최적의 수면 대책은 바뀐다 칼럼 바닥에서 자도 비싼 침대에서 자도 수면의 질은 같다? 제3장 수면에 관한 새로운 상식 × 잠을 많이 자면 손해다 / ○ 잠을 자면 더 많은 것을 얻는다 × 8시간은 꼭 자야 한다 / ○ 최적의 수면 시간은 사람마다 다르다 × 자지 않고 노력한다 / ○ 잘 자기 위해 노력한다 × 밤에 좋아하는 일을 한다 / ○ 아침에 좋아하는 일을 한다 ×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기 / ○ 일찍 일어나고 일찍 자기 × 잠을 깨고 일어난다 / ○ 일어나서 잠을 깬다 × 자신을 위해 숙면한다 / ○ 주변 사람을 위해 숙면한다 칼럼 수면 개선을 위한 마우스피스 이야기 제4장 DAY(아침) : 아침을 지배하는 자가 숙면을 지배한다 잠을 깰 때는 아침 햇살 대신 조명을 활용하자 아침에 일어나는 것은 '혈압'이 아니라 '체온'으로 결정된다 알람 시계 활용법에 따라 하루의 능률이 바뀐다 아침에 일어났다가 다시 잠들면 스트레스는 줄지만 호르몬 균형이 무너진다 일어나자마자 커피를 마시면 스트레스 저항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피해야 한다 아침 식사를 챙겨 먹는 것도 거르는 것도 정답은 아니다 하루 중 스트레스에 가장 강한 시간은 아침에 일어나서 1시간 후다 행복해지는 일은 아침에 하는 습관을 들이자 숙면 실천법① 잠이 완전히 깨지 않아도 일어날 수 있는 '스르륵 기상법' 칼럼 술을 마신 후의 숙면 기술 제5장 DAY(밤) : 일 잘하는 직장인이 밤을 보내는 방법 업무 모드는 목욕이나 샤워를 통해 강제로 끈다 자기 전에 무엇을 마시는지가 수면의 질을 결정한다 자는 동안에는 위를 완전히 비워두는 것이 숙면의 기본 원칙이다 자기 전에 저널링으로 명상을 하자 자기 전에 스트레칭으로 몸을 이완하면 더 깊이 잠들 수 있다 숙면의 가장 큰 적인 자기 전 스마트폰은 의지만으로는 99% 끊기 어렵다 숙면 실천법② 숙면을 위한 1분 스트레칭 칼럼 숙면할 수 있는 호텔을 선택하는 비법 제6장 WEEK : 일주일을 어떻게 보내는지에 따라 업무 성과가 달라진다 월요일 아침에 컨디션이 좋지 않으면 금요일이 되어서야 업무 능력이 회복된다 몸과 마음의 피로는 목요일에 최고조에 이른다 업무에서 좋은 성과를 내는 사람은 휴일에도 평일에도 수면 스타일을 바꾸지 않는다 앞으로는 수면 부채를 줄이는 것이 아니라 수면 저축을 늘려야 한다 아침형 인간과 저녁형 인간은 태어날 때 결정된다 주말마다 침실 청소를 하는 습관을 들이면 일주일 내내 숙면할 수 있다 칼럼 자신이 '아침형 인간'인지 '저녁형 인간'인지 알아보는 방법 제7장 SEASON : 계절 변화에 맞는 숙면 기술 봄은 직장인에게 비수기다 코막힘을 유발하는 꽃가루 알레르기 등 알레르기는 숙면의 가장 큰 적이다 1년 중에 가장 지치기 쉬운 달은 6월이다 여름에는 최적의 수면 시간이 짧아지기 때문에 평소보다 빨리 일어나자 겨울 아침에 일어나기 힘든 이유는 추위뿐만 아니라 태양 빛도 관련이 있다 계절의 변화는 몸과 마음에 부담을 줄 수 있으니 유연하게 대처하자 긴 연휴에는 마음껏 놀고 마지막 이틀 동안 평소 생활로 돌아간다 수면 패턴이 무너지기 쉬운 성수기에는 바쁜 일이 끝날 때쯤 재충전의 날을 정한다 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