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불안은 회피하고 싶은 마음이 만들어 낸 거짓 감정이다!” ≪미움 받을 용기≫의 저자 기시미 이치로가 혼란의 시기에 주목한 ‘불안’ 당신이 지금 느끼는 불안은 당연한가? 경제 위기, 기후 변화 등으로 혼란스러운 지금이 불안을 깨뜨릴 적기 불안은 하지 못하는 원인이 아닌, 하지 않기 위한 핑계 불안하다는 거짓말 이제 과거의 굴레에서 벗어날 시간 ‘불안’이라고 하면 우리는 그동안 그 원인, 즉 과거의 경험이나 내면의 감정, 현실적 문제에 집중해 이를 파악하고 제거함으로써 불안을 상쇄시키려 했다. 하지만 이렇게만 접근한다면 우리는 바꿀 수 없는 과거를 끌어안고 불안한 채 살아갈 수밖에 없다. 이에 기시미 이치로는 불안의 ‘목적’에 주목한 아들러의 관점에서 불안을 바라보기로 한다. 우리는 무엇을 위해 불안해하는가? 아들러에 따르면 불안은 인생의 과제를 회피하기 위해 만들어진 감정이다. 그렇다면 시시때때로 불안을 느끼는 우리의 마음은 지금 거짓말을 하고 있는 걸까? 불안은 무엇이고, 왜 지금 불안을 이야기해야 하는지 알아보자. ∥ 왜 지금 불안을 읽어야 할까? 과거의 경험은 크건 작건 현재와 미래의 삶에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인생의 어떤 사건은 때때로 그 사람의 삶을 뒤바꿔 놓기도 한다. 욕심 많던 사람이 갑작스러운 사고로 생사를 오가다 회복한 뒤에 베푸는 삶을 살게 되기도 하는 것처럼 말이다. 최근 바이러스로 인해 경험한 팬데믹은 그야말로 우리 삶을 혼돈으로 몰아넣었다. 정도의 차이가 있다고는 해도 우리 모두의 삶은 위태로웠다가 이제 간신히 나아지고 있다. 하지만 그 뒤를 이어 전 세계에 경제 위기의 그림자가 드리워지면서 불안은 극으로 치닫고 있다. 그럴수록 잊지 말아야 한다. 우리는 이미 삶은 한 치 앞을 알 수 없고, 불안해한다고 해서 달라지는 것도 없다는 걸 경험했다는 것을. 그래서 기시미 이치로는 말한다. “극도의 불안을 경험한 지금이야말로 내재된 불안을 깨뜨릴 수 있다.” ∥ 우리는 무엇을 위해 불안해하는가 바이러스에 대한 공포가 채 가시기도 전에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물가 폭등, 주식 폭락 등의 경제 위기, 세계 곳곳에서 포착되는 기후 변화 위기는 인류에 불안을 가중시키고 있다. 그러나 불안은 이런 사회 제반에만 머무르지 않는다. 진짜 개인을 위협하는 불안은 여러 가지 얼굴을 하고 찾아온다. 사랑하는 사람이 나를 떠날까 봐, 일이나 학업에서 성과를 내지 못할까 봐, 돈을 벌지 못하게 될까 봐, 병에 걸려 주변에 민폐를 끼칠까 봐, 세상에 쓸모없는 존재가 될까 봐 등등 대인관계, 일과 학업, 건강, 노화 그리고 죽음에 이르기까지 우리를 불안하게 하는 요소들은 이렇듯 삶의 전반에 걸쳐 있다. 이런 불안의 실체를 찾아 깊이 들어가다 보면 결국 마주하게 되는 건 감당하기 버거운 인생의 과제를 회피하고 싶은 마음이다. 그런데 그 인생의 과제라는 것도 결국 주변과 세상에 자신의 존재를 인정받기 위해 우리가 스스로에게 낸 숙제일 뿐이다. 숙제를 낸 것도, 숙제를 해내지 못할까 봐 불안해하는 것도 우리 자신인 셈이다. ∥ 내 삶의 이유를 다시 쓴다면 뇌경색으로 쓰러져 생사에 기로에 서 있다가 수술을 받고 가까스로 회복한 기시미 이치로는 비로소 살아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주변에 어떤 의미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해 깊이 깨닫는다. 그리고 이런 커다란 경험을 한 뒤에 인생은 조금 달라져야 하지 않을까 생각하며 이 책을 썼다. 미래는 물론이고 당장 몇 시간 후에 무슨 일이 일어날지 알 수 없는 우리에게 불안은 어쩌면 당연한 감정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불안하다는 이유로 주저앉느냐, 어차피 불안은 피할 수 없기에 나만의 방식으로 나아가느냐를 결정하는 것 역시 우리의 몫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