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目次
<들어가며> <프롤로그> 거리두기는 무엇이었는가 물리적 거리와 인간관계 | 사회적 구속으로부터 해방 | 사회적 안전망으로부터 추방 1부 대면―얼굴을 마주하는 오롯함 1. 얼굴, 특별한 신체 정체가 담기는 그릇 | 표정의 생태학 | 대면했기에 차마…… 2. 눈을 맞추고, 목소리를 내고 시선, 내면이 표출되는 통로 | 눈 맞춤, 무언의 교감 | 대화는 대면이다 3. 호모 마스쿠스의 출현 입을 가리기 때문에 | 서양에서 마스크를 꺼리는 까닭 | 동아시아의 경우 2부 비대면―나는 접속한다, 고로 존재한다 1. 확장되는 비대면 세계 비대면의 개념과 역사 | 비대면의 세 얼굴―원격, 무인無人, 가상 2. 온라인과 현실감각의 변용 상시 접속의 일상 | 스마트폰과 노모포비아 | 온라인 소통의 그늘 | 맥락을 잃어버린 아이들 3. 화상회의, 반半대면의 공간 시공간의 제약이 없으니 | 공적 공간에 접속된 프라이버시 | 실재감을 높이려면 3부 외면―고개를 돌리고 시선을 피하고 1. 대면의 반대말은 비대면이 아니다 몸은 이곳에 있지만 | 직면의 어려움 2. 외면하는 까닭 사람이 보이지 않는 환경 | 두려움과 혐오 | 안하무인의 오만함 | 정신의 산만함 3. 눈을 맞추지 않는 아이들 스크린 중독과 사회성의 쇠퇴 | 몇 가지 가이드라인 | 아이를 외면하는 부모들 4부 마음은 어떻게 움직이는가 1. 주의력을 조절하자 주의집중의 두 종류 | 관심 다이어트 | 무언가를 함께 바라볼 때 2. 응시의 미덕 따스한 관찰의 힘 | 의과대 학생들이 미술관에 간 까닭 | 고등학생들의 수학 성적도 향상 3. 보이는 것을 넘어서 외면의 이면 | 보이지 않기에 충만해지는 것 5부 회복의 시공간을 찾아서 1. 고립된 이들의 가슴 열기 외로움, 전체주의를 잉태하는 감정 | 젊은이들의 곤경 | 이야기가 경청될 때 2. 사람과 사람 사이 관계가 면역력이다 | 돌봄의 커뮤니티 가꾸기 | 곁에 있기, 거리를 두면서 3. 만남과 창조의 공적 행복감 소셜 믹스를 위하여 | 낯선 사람들이 어울리면 | 애매함을 견디는 마음 | 온라인에서 꽃피우는 연결지능 4. 우주를 대면하는 경이로움 문득 하늘을 마주할 때 | 시야가 널리 펼쳐지면 <에필로그> 보이는 것의 안과 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