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目次

저자들의 말 프롤로그 첫 번째 대화: 뇌가 세계를 파악하는 법 현재의 나, 과거의 뇌 ? 스트레스를 받으면 머릿속에서 벌어지는 일 ? 뇌는 태어날 때부터 각자의 암호책을 만든다 ? 말보다 먼저 새겨지는 트라우마의 기억 ? 모든 새로운 관계는 스트레스를 낳는다 ? 현재를 움직이는 기억과 연상의 단추들 두 번째 대화: 삶을 지탱하는 균형을 찾아서 불안을 잠재우고 균형을 되찾는 ‘리듬’과 ‘조절’? 조절-관계-보상이 아이의 세계관을 형성한다 ? 부모가 무너지면 아이도 무너진다 ? 내면의 폭풍을 잠재우는 방법 세 번째 대화: 우리는 어떻게 사랑받았나 어려서 받은 사랑이 회복탄력성을 결정한다 ? 시리얼의 순간들?온전히 연결된다는 것 ?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두 가지 반응?각성과 해리 ? 끝나지 않는 두려움에 갇힌 사람들 네 번째 대화: 트라우마라 부르는 것들 어떤 경험이 트라우마가 되는가 ? 부정적 아동기 경험에 관한 오해와 진실 ? 역경의 위험도는 연결성과 타이밍에 달려 있다 ? 치유의 적정 용량은 얼마인가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판별하는 네 가지 증상 다섯 번째 대화: 흩어진 점들을 연결하다 세대를 넘어 대물림되는 트라우마 ? 조상의 트라우마가 내 DNA에 새겨져 있다 ?트라우마가 신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 ? 뇌의 상향식 프로세스 ?안전하고 친밀한 상대에게만 열리는 신경망 여섯 번째 대화: 대처에서 치유로 나아가기 뇌 발달에 치명적 영향을 미치는 방임 ?스마트폰에 아웃소싱된 관심과 사랑 ? 건강한 대처 기제로서의 착한 해리 ? 회피와 순응을 낳는 민감화된 해리 ? 치유는 패턴을 알아차리는 것에서 시작된다 일곱 번째 대화: 트라우마에서 얻은 지혜 트라우마의 불가역성 ? 회복탄력성을 키우는 세 가지 요소 ? 고통을 건너 지혜에 이르는 길 ? 치유하는 공동체 ? 누구도 혼자서 모든 걸 감당하지 않도록 여덟 번째 대화: 우리의 뇌, 우리의 편견, 우리의 시스템 트라우마에 대한 사회적 인식 ? 트라우마를 이해하는 교육 시스템 ? 치유의 도구는 하나가 아니다 ? 최초의 경험에서 시작된 편견 ? 암묵적 편견에 작용하는 무의식의 필터 ? 개인의 변화에서 시스템의 변화로 아홉 번째 대화: 관계에 굶주린 현대 사회 관계의 빈곤이 낳은 취약한 존재들 ? 단절과 외로움이라는 병 ? 우리는 다시 연결되어야 한다 열 번째 대화: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 치유를 위한 순서와 단계 ? 자기를 돌보지 않고는 그 무엇도 될 수 없다 ? 트라우마로부터 배우고 성장한다는 것 에필로그 참고자료 감사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