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혼 법정에 선 식민지 조선 여성들

소현숙
552p
購入可能なサービス
content
評価する
4.0
平均評価
(5人)

저자는 이 책에서 다양한 소송 사례를 분석하여 제도나 정책의 피해자 또는 수혜자라는 이미지 프레임에 갇혀 있던 식민지 조선의 여성이 결코 수동적인 존재로만 남아 있지 않았음을 밝힌다. 또한, 이혼과 같은 제도적 변화가 식민지 지배 권력의 의도나 정책에 따른 산물이 아니며, 피지배 민중의 일상적 행위 및 실천의 상호작용 속에서 이루어졌음을 강조한다.

엘지이닷컴 단독 이벤트

스탠바이미 세트 구매 혜택

LG전자 · AD

엘지이닷컴 단독 이벤트

스탠바이미 세트 구매 혜택

LG전자 · AD

著者/訳者

目次

서론 1. 이혼을 통해 본 가족, 일상, 식민지 근대, 역사 / 2. 연구 과제 / 3. 연구 동향 / 4. 활용 자료 / 5. 이 책의 구성 제1부 근대적 이혼제도의 도입과 이혼 실태 제1장 근대적 이혼제도의 도입과 이혼법 개정 1. 조선시대의 이혼제도와 관행 2. 일제하 근대적 이혼제도의 도입 3. 이혼법 개정과 여성 원고 제2장 이혼의 실태 1. 통계로 본 이혼의 실태 2. 제도적 이혼의 수용과 비제도적 이혼의 양산 제3장 재판이혼과 이혼 원인의 변화 1. 관습에서 일본 민법으로의 전환과 이혼 원인 2. 이혼 청구 원인의 변화 3. 재판이혼의 판결에 나타난 젠더 질서의 변화상 제2부 ‘자유이혼’론의 수용과 이혼관의 변화 제1장 ‘자유이혼’론의 수용과 이혼 논쟁 1. 가족 개혁과 ‘자유이혼’론의 수용 2. ‘남편에 대한 배신’에서 ‘개성 자각’으로 3. ‘자유이혼’과 이혼 논쟁 제2장 ‘자유이혼’의 현실과 ‘구여성’의 이혼 인식 1. ‘자유이혼’과 ‘구여성’의 이혼 거부 2. ‘구여성’의 의식 변화와 이혼 청구 제3장 ‘신가정’의 현실과 ‘신여성’의 이혼 인식 1. ‘신가정’의 파탄과 허영론 2. ‘신여성’의 이혼과 여성의 사회 활동, 가정, 모성 3. 여성해방론과 남성책임론 제3부 법정으로 간 여성들 제1장 남편의 ‘외도’와 아내의 대응 1. 간통·축첩·중혼에 대한 법적 규제의 변화와 이혼 2. 축첩 및 중혼의 현실 3. 이혼, 부양료 청구, 정조유린위자료청구소송 4. 정조 관념의 변화 : ‘남성의 정조’와 여성의 ‘정조권’ 제2장 가정 내의 폭력과 여성의 대응 1. 가정 폭력에 대한 처벌의 변화와 이혼 2. 폭력적 일상 문화와 가정 폭력의 현실 3. 소송을 통해 본, 가정 폭력에 대한 여성의 대응 4. 폭력에 대한 사회적 무관심과 분열증적 시선 보론 : 이혼 이후의 삶―생존과 자존의 길 찾기 1. 이혼 이후의 삶과 젠더 2. 이혼 여성의 생계와 빈곤 탈피를 위한 노력 결론 부록 : 주요 법령 / 참고문헌 / 찾아보기

この作品が含まれたまとめ

2
  • 出典
  • サービス利用規約
  • プライバシーポリシー
  • 会社案内
  • © 2024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