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프롤로그 _ 소리 없는 통곡, 선비들의 곡진하고 절절한 문장과 마주하다 1장 참척(慘慽) _ 어린 자식을 먼저 보내고 네 얼굴이 잊히지 않아 눈물이 마르지 않는구나 - 정약용 | 막내아들 농아를 위한 추도문 아비와 딸의 지극한 정이 여기서 그친단 말이냐 - 신대우 | 둘째 딸의 1주기에 쓴 제문 나를 버리고 어디로 가서 돌아오지 않느냐 - 임윤지당 | 아들의 죽음을 슬퍼하며 바람은 요란하게 문풍지를 흔드는데 - 이하곤 | 맏딸 봉혜의 무덤을 다시 찾으며 눈물은 수저에 흘러내리고 - 윤선도 | 막둥이의 죽음을 슬퍼하며 안개처럼 사라져버리다니 - 조 익 | 딸의 장사를 지내며 이제 볼 수도 들을 수도 없구나 - 조위한 | 아들 의의 죽음에 통곡하며 나 죽거든 너와 한 기슭에 누우련다 - 이산해 | 아들을 곡하다 말보다 눈물이 앞서니 - 정 철 | 딸의 죽음을 전해 듣고 팔공산 동쪽에 아이를 묻고 - 양희지 | 어린 아들 영대를 묻고 봄바람에 떨군 눈물 적삼에 가득하네 - 강희맹 | 아들 인손의 죽음을 애도하며 2장 고분지통(鼓盆之痛) _ 아내여, 아내여 가슴이 무너지고 마음을 걷잡을 수 없으니 - 김정희 | 아내 예안 이씨의 죽음을 애도하며 목소리와 얼굴이 점점 멀어지니 - 심노숭 | 아내 완산 이씨 영전에 바치는 제문 정녕 슬픈 날 - 혜경궁 홍씨 | 남편 사도세자가 뒤주에 갇히던 날 그대 목소리 아직 들려오는 것 같고 - 안정복 | 아내 숙인 성씨 영전에 바치는 제문 뜻은 무궁하나 말로는 다하지 못하고 - 송시열 | 아내 이씨의 부음을 전해 듣고 꿈속에서라도 한 번 만났으면 - 이시발 | 측실 이씨 영전에 바치는 제문 서러움에 눈물만 줄줄 흐르누나 - 허 균 | 망처 숙부인 김씨 제문과 행장 상여소리 한 가락에 구곡간장 미어져 권문해 | 아내 현풍 곽씨 영전에 올린 제문 어리고 철없는 두 딸은 누가 돌보며 - 김종직 | 아내 숙인 조씨 영전에 바치는 제문 눈을 감아도 잠은 오지 않고 - 강희맹 | 아내 순흥 안씨의 죽음을 애도하며 눈물만 줄줄 흐를 뿐 - 변계량 | 아내 오씨를 위한 제문 3장 할반지통(割半之痛) _ 형제자매의 죽음을 곡하며 목이 메어 오열이 터지네 - 정약용 | 둘째 형 약전을 회상하며 어버이 사모하는 정이 더욱 간절하여 - 정 조 | 돌아가신 아버지 사도세자에 대한 그리움 너는 이제 영원히 잠들었으니 - 이덕무 | 손아래 누이 서처의 죽음을 슬퍼하며 검푸른 먼 산은 누님의 쪽진 머리 같고 - 박지원 | 맏누이 증 정부인 박씨 묘지명 하늘이여, 어찌 이리도 가혹하십니까 - 임윤지당 | 오빠 임성주의 부음을 전해듣고 한 번 가서는 어찌 돌아올 줄 모르는가 - 김창협 | 동생 탁이의 재기일에 지은 묘지명 눈물이 앞을 가려 글씨를 쓸 수 없고 - 김수항 | 막냇누이 숙인 김씨의 죽음을 애도하며 덧없는 인생이 꿈같기도 하여 - 허 목 | 종형 허후의 죽음을 슬퍼하며 무슨 죄로 나를 외롭게 만듭니까 - 신 흠 | 맏누이 임씨 부인을 위한 제문 눈물이 마르지 않네 - 기대승 | 죽은 동생을 위한 만장 떠도는 인생은 한정이 있으나 회포는 끝이 없어 - 김일손 | 둘째형 기손의 죽음에 부쳐 4장 백아절현(伯牙絶絃) _ 벗과 스승을 잃고 홀로 서서 길게 통곡하니 - 이재성 | 연암의 죽음을 슬퍼하며 그대도 아마 저승에서 눈물 흘릴 것이다 - 이덕무 | 서사화의 죽음을 애도하며 관을 만지고 울면서 이르노라 - 박지원 | 덕보 홍대용의 삶을 돌아보며 거듭 슬픔만 더하게 되니 - 홍대용 | 주도이의 죽음을 슬퍼하며 남기신 간찰을 어루만지며 울자니 - 안정복 | 스승 성호 이익의 죽음을 슬퍼하며 좋은 벗을 잃은 외로움이 앞서 - 이 익 | 윤두서의 죽음을 슬퍼하며 눈물만 봇물처럼 흐를 뿐 - 송시열 | 종형 송준길의 죽음에 곡하며 그대는 사라지고 밤만 깊어가네 - 신 흠 | 이영흥을 기리며 목이 메어 곡소리조차 내기 어렵고 - 정 구 | 김우옹의 장사를 지내며 다시는 인간사에 뜻이 없으니 - 정 철 | 율곡 이이의 죽음을 슬퍼하며 착한 자는 속환된다면 내 가서 그대를 불러오겠네 - 김일손 | 조원의 죽음을 슬퍼하며 원문 원저자 소개 참조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