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아티스트 니키리의 첫 번째 저서
에세이스트 임지은과 나눈 대화의 기록
〈프로젝트〉 〈파츠〉 등의 작품으로 알려진 아티스트 니키리의 첫 번째 저서 『애정 행각』이 출간되었다. 이 책은 니키리가 절친한 친구인 에세이스트 임지은과 2년여에 걸쳐 나눈 대화의 결과물이다. 두 저자는 짓궂은 농담과 진지한 사유를 오가면서 예술과 사랑, 삶과 죽음, 인공과 자연에 대해 이야기한다.
『애정 행각』은 예술가라는 것이 곧 정체성인 ‘본투비’ 아티스트 니키리를 조명한다. 니키리가 페인팅 작업에 처음 도전하는 이야기부터 뉴욕에서 활동하던 시절의 일화, 좋은 예술이 지녀야 할 조건에 대한 대화가 펼쳐진다. 아티스트로서뿐 아니라 한 사람으로서 니키리가 삶에 관해 품은 생각들도 만나볼 수 있다. 임지은은 우정의 파트너이자 정확한 관찰자로 임하면서, 늘 재미있는 것을 찾아다니고, 나이 듦을 두려워하며, 아름다움을 사랑하고, 오직 현재에 집중하는 ‘탐미주의자’ 니키리의 진솔한 모습을 끌어낸다.
이 책은 부로 나뉘지 않고 소제목이 계속 이어지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마치 곁에서 대화를 직접 듣는 것 같은 생생한 리듬을 느끼게 한다. 책 사이사이에는 니키리가 직접 쓴 짧은 글과 전시를 위해 작성한 작가 노트 등이 실려 있다. 책 표지로는 니키리가 직접 그린 그림이 사용되었다. 『애정 행각』에는 니키리의 글과 말, 그림이 모두 담겨 있어 그의 면모가 잘 드러난다.
임지은 니키는…… 움직여. ‘나는 너를 생각한다’를 말로만 해서는 전달 안 된다는 걸 아는 사람 같아. 나 너 챙긴다, 하고 말하는 게 아니라 그냥 나를 챙겨. 사랑하는 사람들한테 그냥 사랑을 하지. 세상을 사는 법을 말하는 대신에 세상을 살아. 삶을 아끼고 사랑하자고 말하는 대신에 그냥 삶에서 움직이고 즐기고 다니지. 나는 그런 걸 훔치고 싶어.
니키리 난 애정 행각을 벌이고 다니는 거지.
―『애정 행각』에서
〈프로젝트〉부터 페인팅 작업까지
쉼 없이 변화하는 니키리의 작품 세계
『애정 행각』은 니키리라는 아티스트의 출발점부터 현재까지 두루 살펴본다. 이 책을 읽고 나면 쉽게 접할 수 없었던 니키리의 예술적 세계와 접속하게 된다.
니키리는 대학교에서 사진을 전공한 뒤 뉴욕으로 유학을 간다. 뉴욕에서 패션사진 등을 공부하다가 예술가로서의 여정에 접어든 그는 졸업을 위해 만들었던 작품 〈프로젝트〉가 주목을 받으면서 뉴욕 미술계에 이름을 알리기 시작한다.
〈프로젝트〉는 니키리가 드래그 퀸, 댄서, 노인, 레즈비언, 직장인 등으로 분장하고 실제로 그들의 삶에 동화되어 살아가는 모습을 찍은 작품이다. 책은 〈프로젝트〉 작업을 비롯해서 니키리가 뉴욕에서 활동하던 시기의 이야기를 풀어낸다.
이후 〈레이어스〉 〈신즈〉, 영화 〈니키리라고도 알려진〉처럼 사진 및 영상 작품을 만들어오던 그는 2023년 무렵부터 페인팅 작업을 시도한다. 그림 그리는 기술을 제대로 배워본 적 없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예술가로서의 타고난 재능이 있는지 시험해보기 위해 페인팅에 도전한다. 책에는 그가 그림을 그리면서 느낀 두려움과 설렘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니키리 그림 그리는 행위에는 내 몸 에너지가 들어가니까 ‘나의 에너지로 그린다’는 정공법적인 의미만 남은 거 같다 해야 하나. 유기체 같은 내 감정이 캔버스에 담긴다는 건, 지적 유희나 컨셉추얼한 것이라기보다는 신체적인 무언가에 가깝게 느껴져. 진짜 말 그대로 나의 스태미나에 가까운 ‘에너지’인 거야. (…) 물론 그리면서 내가 뭘 느낄지 그림이 어떻게 될지는 나도 아직 안 해봐서 몰라.
―『애정 행각』에서
니키리는 페인팅 작업을 할 때 어떤 이미지를 그려내겠다는 의지를 갖기보다는 신체적인 에너지에 몰두하면서 그 기운을 따라간다. 자신의 직관을 신뢰하며 끊임없이 새로운 시도를 멈추지 않는 그의 모습은 깊은 영감을 준다.
자연스러워지기 위한 인공적인 노력
새로운 ‘나’를 만들어가는 사랑의 모험
『애정 행각』은 니키리와 임지은이 가꾼 오랜 우정의 결과물이다. 니키리는 임지은의 글에서 사회가 정해놓은 선을 거뜬히 뛰어 넘는 용기를 발견하고, 임지은은 니키리로부터 최선을 다해 주어진 현재의 삶을 사랑하는 법을 배워간다.
두 사람은 여러 면에서 다르다. 창작자로서 니키리가 확신한다면, 임지은은 의심한다. 니키리가 현재에 집중한다면, 임지은은 과거를 곱씹는다. 그럼에도 두 사람은 부딪치고, 깨지고, 좌절하고, 외로워지는 경험을 통해서 무언가를 배울 수 있다는 감각을 공유한다. 임지은이 글을 쓸 때 스스로에게 끝없이 질문하고 퇴고하는 과정을 거쳐 통념에 저항하듯이, 니키리는 매 순간 무엇이 자신을 살아 있게 하고 가슴 뛰게 하는지 찾아가면서 새로운 모험을 감행한다.
흔히 인공은 부정적으로, 자연은 긍정적으로 인식되지만, 니키리와 임지은은 ‘자연스러움’을 얻기 위한 ‘인공’의 노력을 지지한다. 자연적으로 주어진 정체성 대신 새로운 ‘나’를 만들어가는 것을 즐기는 두 사람은, 『애정 행각』을 통해서 상처받을 것이 두려워 삶에 뛰어들지 못하는 이들에게 지금 당장 열렬하게 살라고, 마음껏 ‘애정 행각’을 벌이라고 이야기한다.
어떤 행동은 그 자체로 권유가 된다. (…) 원하는 걸 반드시 하고야 마는 니키, 단 한 순간도 허투루 쓰는 것 없이 자신의 삶과 자신의 요구를 긴급하게 받아들이는 니키를 볼 때마다 깨닫는다. 어쩌다 보니 나는 나에게 하고 싶은 걸 똑바로 마주 보며 살기를 권유하는 한 아티스트와 가까이 지내는 행운을 누리고 있다고.
―「프롤로그」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