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날 지워봐라, 우리가 사라지나

최나현さん他2人 · 社会科学
320p
新刊ベストセラー · 3位
購入可能なサービス
content
評価する
レビュー
もっと見る

청년 여성은 왜 광장에 나오는가? 이 질문에 필요한 것은 어쩌면 ‘답변’이 아닌 ‘경청’인지도 모른다. ‘청년 여성이 왜 광장에 나오는지’는 그들의 발화를 통할 때 비로소 온전해질 수 있다. 그들이 살아온 삶의 궤적과 경험 속에서 오롯이 이야기될 수 있다. 그리하여 이 책은 ‘딸’로, ‘2030 여성’으로, ‘응원봉 부대’로 호명되곤 하는 여성 시민의 광장 경험과 내밀한 삶의 이야기를 듣고 기록한다. 지난 10여 년간 청년 여성은 스스로 진지를 구축했다. 12?3 내란의 밤 이후 뚝 떨어진 존재마냥 이곳저곳에서 호들갑스럽게 묘사됐지만, 이곳에서 항상 자신을 드러내고 있었다. 강남역 여성혐오 살인사건에 분개하며 거대한 추모 물결을 일으켰고, 낙태죄 폐지를 위해 검은 옷을 입고 시위에 나섰으며, 불법촬영물 편파 수사를 규탄하기 위해 혜화역에 집결했다. ‘페미’ 낙인과 사상 검증, N번방과 딥페이크 성착취물 등 일일이 열거할 수조차 없는 무수한 사건들이 삶을 박살 낼 때도, 서로를 도우며 함께 싸우는 법을 배웠다. 남태령과 한강진의 밤 뒤편에는 바로 그 시간들이 자리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들은 탄핵 집회에 그치지 않고 장애인 이동권 집회와 각종 비정규직 노동 투쟁 현장에도 달려나가고 있다. 그 연대가 지속되는 한, 광장은 쉬이 닫히지 않을 것이다. 이 책을 기획하고 쓴 세 명의 저자들은 여기저기 넘쳐나는 여성에 대한 이야기를 뒤로하고 직접 그 여성들을 만났다. 만나서 들은 것을 가능한 한 풍성하게 기록하고 다듬어 인터뷰이 한 명 한 명의 생애를 눅진히 담아냈다. 각자의 자리에서 쏟아져 나온 그 이야기는 탄핵 광장의 경험이기도, 탄핵 이후 세계에 대한 비전이기도, 또한 페미니즘 리부트의 흐름 속에서 이어져온 운동의 궤적이기도 하다.

<그부호> 웨스 앤더슨 감독

비주얼 마스터의 독보적 세계관

<페니키안 스킴> · AD

<그부호> 웨스 앤더슨 감독

비주얼 마스터의 독보적 세계관

<페니키안 스킴> · AD

著者/訳者

目次

서문 우리의 목소리를 읽어라 첫 번째 이야기: 이민지 연대는 아름다운 침범 두 번째 이야기: 김소결 TK의 콘크리트는 TK의 딸이 부순다 세 번째 이야기: 최혜수 사람을 죽이는 배에서 사람을 살리는 배로 네 번째 이야기: 김예지 집회에서 내 편을 봤어요 다섯 번째 이야기: 윤혜경·이채현·노정현 학생들은 왜 거리로 나왔나? (예문여고 시국 선언 비하인드) 여섯 번째 이야기: 한준아 집회에 최적화된 인재, 페미니스트 덕후 영어 교사 일곱 번째 이야기: 김유진 평범한 술집 여자의 자유발언 비하인드 여덟 번째 이야기: 김희승 우리가 우리 스스로를 조직화해야겠구나 아홉 번째 이야기: 조은영 치유하는 저항, 광장의 간호일지 열 번째 이야기: 소진희 촛불 들던 소녀에서 탄핵 집회를 이끄는 활동가로 열한 번째 이야기: 신이서 수다 떨기도 연대의 방법이라면 에필로그 열두 번째 이야기(집담회)

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개개인의 삶이 광장으로 연결되는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이야기다” 탄핵 광장에 선 청년 여성들 ‘우리’가 살아온 삶, ‘우리’가 바라본 세계 청년 여성은 왜 광장에 나오는가? 이 질문에 필요한 것은 어쩌면 ‘답’이 아닌 ‘경청’인지도 모른다. ‘청년 여성이 왜 광장에 나오는지’는 그들의 발화를 통해 온전해질 수 있다. 그들이 살아온 삶의 궤적과 경험 속에서 오롯이 이야기될 수 있다. 그리하여 《백날 지워봐라, 우리가 사라지나》는 때로는 ‘딸’로, 때로는 ‘2030 여성’으로, 때로는 ‘응원봉 부대’로 호명되곤 하는 여성 시민의 광장 경험과 내밀한 삶의 이야기를 듣고 기록한다. 청년 여성은 지난 10여 년간 이미 진지를 구축해왔다. 마치 12?3 계엄의 밤 이후 뚝 떨어진 존재마냥 이곳저곳에서 호들갑스럽게 묘사되고 분석됐지만, 이들은 언제나 여기에 있었다. 가장 낮고 가장 춥고 가장 소외된 곳에. 듣지 않으려는 자들이 있었을 뿐, 이들은 늘 목소리를 내고 있었다. 강남역 여성혐오 살인사건에 분개하며 거대한 추모 물결을 일으켰고, 낙태죄 폐지를 위해 검은 옷을 입고 시위에 나섰으며, 불법촬영물 편파 수사를 규탄하기 위해 혜화역에 집결했다. ‘페미’ 낙인과 사상 검증, N번방과 딥페이크 성착취물 등 일일이 열거할 수조차 없는 무수한 사건들이 삶을 박살 낼 때도, 서로를 돕고 지지하며 함께 싸우는 법을 배웠다. 이 책을 기획하고 쓴 세 명의 저자들은(최나현, 양소영, 김세희) 여기저기 넘쳐나는 여성에 대한 이야기를 뒤로하고 직접 그 여성들을 만나기로 했다. 만나서 들은 것을 가능한 한 풍성하게 기록하고 다듬어 인터뷰이 한 명 한 명의 생애를 눅진히 담아냈다. 각자의 자리에서 쏟아져 나온 그 이야기는 납작한 호명들에 갇히지 않는 여성들의 면면과 시간을 보여준다. 남태령과 한강진에서 추위를 견디며 밤을 새우던 절박함 안에는 ‘성차별주의자 대통령 윤석열’을 견뎌온 시간이 담겨 있었고, 장애인 이동권 집회와 비정규직 노동 투쟁 현장으로 달려가는 연대의 마음에는 이들이 꿈꾸는 미래가 투영되어 있었다. 총 13명의 청년 여성들(이민지, 김소결, 최혜수, 김예지, 윤혜경, 이채현, 노정현, 한준아, 김유진, 김희승, 조은영, 소진희, 신이서)이 이 책의 여정에 기꺼이 함께해주었다. 고등학생 신분으로 시국선언을 한 10대부터 30대 중반까지 골고루 섞여 있고, 자신을 퀴어로 정체화하는 이들도 있다. 지역도 경기, 대구, 부산, 서울, 인천, 충남 등으로 다영한데, 애초 비수도권 출신인 이들을 우선하여 섭외하고자 했다. “‘여성’이 지워지는 문제만큼 ‘비수도권 여성’의 경험이 세상에 제대로 기재되지 않는 문제 역시 중요해서였다.” 이들의 이야기가 백날 지워지더라도, 이들은 결코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언제나 그랬듯 늘 여기 우리 곁에 존재할 것이다.
  • 出典
  • サービス利用規約
  • プライバシーポリシー
  • 会社案内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