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目次
한국어판 서문│프롤로그 제1부 탄생 1장 한국팝과 아이돌 한국가요│‘K’의 느낌│‘보는 음악’의 등장│또 하나의 ‘보는 음악’, 일본형 아이돌│구세대의 위화감│소방차: 한국형 아이돌의 원형│일본형 아이돌의 의미│김완선: 한국의 마돈나│아이돌을 향한 시선 2장 블랙뮤직과의 만남 블랙뮤직의 시대│서태지와 아이들: 케이팝의 기준점│교포들의 블랙뮤직│한국어 랩의 정착 3장 한국가요로부터의 이행 X세대의 음악 생산과 소비│싱어송라이터의 시대│한국팝의 프레임│제이팝에서 벗어나기 4장 케이팝의 탄생 시스템의 확립│한국형 매니지먼트│H.O.T.: 케이팝 아이돌의 전형│케이팝 팬덤│케이팝의 ‘탄생’ 제2부 확장5장 한일 음악 공간이 갖는 의미 제이팝의 상대 개념으로서의 케이팝│케이팝의 정의│조용필에서 보아까지│보아: 한국과 일본의 음악 공간│동방신기: 케이팝의 형태│케이팝의 공간으로서의 돔 투어│‘노예계약’ 사건│아이돌 산업의 딜레마│‘표준계약’│케이팝의 글로벌화와 제이팝 6장 ‘테이스트 메이커’로서의 케이팝 디지털 음악의 시대│아이튠즈와 케이팝│유튜브: 동영상을 통한 디지털 음악│유튜브와 케이팝│테이스트 메이커│지드래곤: 세계적인 테이스트 메이커│빅뱅: 경계를 넘어선 케이팝 7장 케이팝의 멜로디와 한국적 감수성 케이팝의 발라드│‘뽕끼’라는 감각│뽕끼에서 벗어나기│발라드를 통한 사운드의 확장│아이유: 케이팝의 이정표 8장 걸그룹의 시대 걸그룹의 정체성│소녀시대: 걸그룹의 가능성│다시 만난 세계│원더걸스와 투애니원의 길│레드벨벳과 블랙핑크: 계보와 확장성 제3부 지금 여기 9장 케이팝의 글로벌화 강남스타일: 새로운 전개│‘한국적인 것’이란 무엇인가│케이팝의 핵심에 있는 것들│‘K’와 국가│소프트파워로서의 케이팝 10장 케이팝의 장소 서울: 케이팝의 도시│강남: 집중된 ‘K’의 욕망│홍대: 감각과 스타일의 공간│케이팝의 관광 공간 11장 케이팝의 조건 오디션 방송과 아이돌│케이팝 아이돌의 조건│아이돌 메이커│아이돌의 윤리│엑소: 케이팝 아이돌의 완성│매니지먼트의 한계와 케이팝의 과제 12장 케이팝의 현재와 미래 트와이스: 다국적 아이돌의 초국적 팝│아이돌의 정체성│아이돌의 삶과 죽음│방탄소년단: 케이팝의 지금 여기│과정과 스토리를 둘러싼 감정의 공동체│케이팝과 보편적인 ‘팝의 순간’ 에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