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目次
한국어판에 부치는 글 서문 1장 왜 지금 가위바위보인가 표 파는 곳에서 생각한 것 차가운 기차 엘리베이터와 승강기 사람을 의미하는 말, 남자 잠들지 못하는 원숭이-낮과 밤 바다와 육지의 지정학 문명 충돌론의 근원 티켓과 텍스트-사물의 지배 사람과 ‘사물’ 아시아의 지혜의 나무 공자(孔子)의 테일러메이드 교육 동양의 가위바위보와 서양의 동전 던지기 2장 손과 가위바위보의 탄생 숨어 있는 수염 권(拳)의 문화사 가위바위보의 신체성 ‘문자 게이샤(文字芸者)’는 가위바위보를 논하지 않는다 문명의 화석 이시카와 다쿠보쿠(石川啄木)의 두 가지 손 운명의 손과 기도하는 손 노니는 손 노동에서 커뮤니케이션으로 손과 입 천의 손-‘원융회통(圓融會通)’ 3장 가위바위보의 구조 지장보살과 가위바위보 권(拳)과 술의 관계론 2인칭의 문화 모델 지는 게 이기는 게 되는 권주(拳酒)의 원리 유일하게 술을 못 마시는 아시아 불상의 손과 수권(?拳) 선제공격이 지는 법칙 아훔(阿?)의 호흡 엉터리와 비틀거림의 미학 오사카 상인의 후초(符牒) 왜 에도인(江?人)은 가위바위보 마니아였는가 두더지의 결혼 4장 동전 던지기형 문명과 가위바위보형 문명 레오나르도 다 빈치(Leonardo da Vinci)의 가위바위보 왜 바위가 보에 지는가 중국 3대 소설의 리더 숨바꼭질의 아동 심리학 주먹과 손바닥은 ‘역(易)’의 음양이다 ‘삼자견제’와 일본의 마인드 모델 지진에서 외교까지 정(政).관(官).업(業)의 아이언 트라이앵글 본보기는 니노미야 긴지로(二宮金次郞) ‘일원융합(一圓融合)’과 ‘원견(圓見)’ ‘근로(勤勞)’, ‘분도(分度)’, ‘추양(推讓)’ 야구의 퍼시픽리그와 사자견제 나쓰메 소세키의 『명암(明暗)』과 ‘삼체문제(三體問題)’ 닐스 보어의 태극문장(太極紋章) 세르게이 M. 에이젠슈테인(Sergei M. Eisenstein)의 가위바위보 코드 가위바위보의 경영학 네덜란드 모델과 제3의 길 ‘우애(友愛)’의 글로벌리즘 5장 ‘삼국권(三國拳)’의 새로운 아시아 문명 동북인가 북동인가 아시아라는 말 문화는 단수인가 복수인가 무지개 색은 무슨 색인가 피시스(physis), 세미오시스(semiosis), 노모스(nomos) 중국 대륙의 ‘보’ 일본의 주먹?바위 문을 여는 힘 한국의 가위-반도(半島)의 밸런서(balancer) 반도성(半島性)의 회복 세미오시스-‘함삼위일(函三爲一)’ 동아시아의 세 가지 문자 ‘飛鳥’를 왜 ‘아스카’라고 읽는가 <겨울연가>의 한류 아시아의 관용과 융통성과 개방성 휴대전화의 미래 빅벤(Big Ben)의 시계가 손목 위에서 울릴 때 아시아인이여, 엘리베이터에서 내려라 후기 가위바위보 문명론의 사정(射程) 미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