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目次
서문 1장 정의를 원하는 여성 인도에서 여성으로 산다는 것 | GDP는 삶의 질을 제대로 보여주는가? 2장 핵심역량 왜 ‘역량 접근법’인가? | ‘역량’이란 무엇인가? | 10대 핵심역량 | 비극적 선택과 역량의 순위 정하기 | 역량의 최저수준 | ‘생산적 기능’과 ‘유해한 약점’ 3장 여러 가지 접근법 GDP 접근법 | 공리주의 접근법 | 자원 중심 접근법 | 역량과 측정 문제 | 인권 접근법 4장 근본권리 자유와 내용 | 정치적 정당화 | 완전정보하의 욕구 복지주의 | 사회계약론적 견해: 롤스 | 정치적 자유주의와 중첩적 합의 | 결과주의와 의무주의 | 정치적 감정과 안정성 문제 | 역량의 이행 5장 문화의 다양성 역량 접근법과 인권의 관계 | 역량 접근법과 문화적 다원주의 6장 국가와 국제정의 ‘국가’와 역량 접근법 | 글로벌 정의와 역량 접근법 7장 역량 접근법의 철학적 뿌리 아리스토텔레스와 스토아학파 | 17세기와 18세기: 자연법 사상, 사람의 허약함 | 19세기와 20세기: 공리주의와 자유지상주의에 맞선 역량 접근법 8장 역량과 현대의 여러 쟁점 사회적 약자 | 젠더 | 장애인과 노인 그리고 보살핌의 중요성 | 교육 | 동물의 권리 | 환경의 질 | 헌법과 정치구조 | 역량과 인간심리 결론 헤크먼은 역량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센은 잘살기와 행위주체성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추록 | 감사의 말| 더 읽어보면 좋은 책 | 참고문헌 해제: 불평등과 역량 접근법의 모색(이양수)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