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점점 작아지는 내 모습에 미칠 것 같다면, 사랑을 앞에 두고도 망설여진다면, 쌓이고 쌓인 상처, 도저히 치유할 수 없다면, ‘눈물 닦아 주는’ 그림을 만나라 심리학과 미술사를 전공한 미술평론가 조이한의 그림 심리 에세이. 고전 미술부터 현대 미술까지, 우리의 지치고 상처 난 마음을 다독여 주는 작품들을 담았다. 사랑, 결혼, 관계, 슬픔, 상처, 자살, 삶의 비극성, 외모 콤플렉스, 늙음과 죽음 등 우리 삶의 중요한 화두들을 그림을 통해 성찰한다. 모딜리아니의〈모자를 쓴 여인〉을 통해 우리는 결코 타인을 진정으로 알 수 없다는 관계의 진실을 이야기하고, 카라바조의〈나르시스〉와 마그리트의〈연인〉을 통해 자기애와 상상력이 사랑의 본질임을 말한다. 자코메티의 조각〈광장〉에서는 고단하지만 묵묵히 걸어가는 삶의 감동스러움을 이야기한다. 이 책은 덮어놓고 괜찮다고, 힘내라고 위로하는 대신 그림에 비친 우리의 모습과 삶의 진실을 조용히 응시한다. 인생에 대한 깊은 이해가 담긴 이야기들은 묵직한 위안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생을 긍정할 수 있는 희망을 전해 준다. “어쩌면 우리에게 더 필요한 것은 웃음이 아니라 진정으로 흘리는 눈물일지도 모른다.” -본문 중에서 “당신, 정말로 괜찮나요?” 마음을 위로하고 삶을 치유하는 그림 이야기 사는 게 참 녹록지가 않다. 직장 생활은 좋을 때도 있지만 상사나 동료, 상전 같은 거래처 사람들에게 치이다 보면 ‘나’라는 존재는 점점 쪼그라드는 것만 같다. 사랑은 할수록 어렵고, 때로는 제일 친한 친구조차 나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 같다. 오프라인부터 온라인까지 아는 사람들은 점점 늘어나는데 정작 외로울 때는 이야기 나눌 사람을 찾기가 힘들다. 어깨를 짓누르는 삶의 고달픔, 발목을 잡아끄는 절망, 점점 쌓여만 가는 상처들을 떠안고 우리는 하루하루 살아간다. 흔들리고 마모되면서, 넘어지지 않고 걸어가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버겁다. 그런데도 우리는 지치고 상처 난 마음을 감추고 ‘난 괜찮아’라고 최면을 건다. 애써 행복한 척 웃기도 한다. 힘든 세상살이 속에서 눈물을 흘리면 행여 약해질까 봐 마음을 꽉 잡고 버티는 것이다. 하지만 꽁꽁 싸매고 억누른 감정은 언제고 폭발하기 마련이다. 때로는 억지웃음으로 엔돌핀을 분비시키는 것보다 자기 감정을 솔직하게 인정하고 눈물을 흘리는 편이 낫다.《그림, 눈물을 닦다》는 그동안 외면했던 자신의 마음을 그림을 통해 들여다보게 하고 ‘눈물을 닦아 주는’ 책이다. 그림에서 나를 발견하고 공감하고 위로받다 삶에 대한 통찰이 주는 부드러운 위안 이 책은 사랑, 결혼, 관계, 슬픔, 상처, 자살, 삶의 비극성, 외모 콤플렉스, 늙음과 죽음 등 우리 삶의 중요한 화두들을 그림을 통해 성찰한다. 외모 때문에 속상해하는 사람에게는 페르난도 보테로의 친근한 그림〈얼굴〉을 권하고, 이룰 수 없는 꿈 때문에 괴로워하는 사람에게는 조지아 오키프의〈달로 가는 사다리〉를 권한다. 또 모딜리아니의〈모자를 쓴 여인〉을 통해 우리는 결코 타인을 진정으로 알 수 없다는 관계의 진실을 이야기하고, 카라바조의〈나르시스〉와 마그리트의〈연인〉을 통해 자기애와 상상력이 있기에 우리는 사랑을 할 수 있다고 말한다. 자코메티의 조각〈광장〉에서는 고단하지만 묵묵히 걸어가는 삶이 얼마나 감동스러운지를 이야기한다. 이 책은 덮어놓고 괜찮다고, 힘내라고 말하는 대신 그림에 비친 우리의 모습과 삶의 본질을 조용히 응시한다. 인생의 슬픔과 상처를 치유할 수 없다면 차라리 껴안아 버리라고, 그렇게 ‘살아 내는 것’이 인생이라고 담담하게 이야기한다. 미술사를 공부하기 전 심리학을 전공한 저자는 인간의 마음과 삶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인생의 진실을 예리하게 파고든다. 진실을 외면하지 않고 차분하게 말하는 그 목소리가 오히려 부드러운 위안으로 다가온다. 고전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미술 작품 수록 쉽고 편안한 글로 현대 미술을 만나다 《그림, 눈물을 닦다》는 고흐, 모딜리아니 등의 익숙한 고전 명화부터 아나 멘디에타, 펠릭스 곤잘레스 토레스 등 현대 작가의 작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작품들을 담고 있다. 특히 국내외의 참신하고 매력적인 현대 미술 작품들을 풍부하게 다루어 독자들에게 신선한 즐거움을 준다. 또한 회화뿐 아니라 조각, 사진, 설치 미술 등 다양한 형태의 작품들을 만날 수 있다. 일반인들을 위한 미술 강의를 오랫동안 해 온 저자는 쉽고 감성적인 글로 이야기를 풀어 간다. 그리하여 ‘현대 미술은 난해하다’는 선입견을 깨고 머리가 아닌 가슴으로 작품에 다가갈 수 있게 해 준다. 저자의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미술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더라도 그림을 보고 자기 나름대로 느끼고 상상하는 법을 자연스럽게 익히게 된다. 따라서 이 책은 미술을 처음 접하는 독자들에게도 부담 없는 입문서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