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머리말 강의를 시작하며 : 세계체계 분석의 관심 1. 세기 전환기 미국 헤게모니의 변화 ‘세계체계 분석’이라는 명칭│우리 시대 세계의 변화 2. 세계체계 분석과 한국사회성격 논쟁 한국사회성격 논쟁의 제기와 종속이론│논쟁의 전환과 한계 3. 세계체계 분석과 더불어 부각되는 쟁점들 사회주의의 쟁점│국가간체계와 민족동일성 4. 마르크스와 역사변증법의 문제 역사 없는 역사성│재생산과 이데올로기 문제 5. 세계체계 분석의 계기 1강 페르낭 브로델과 세계체계 분석의 전사 1. 브로델과 아날학파 전체사와 문제사│자본주의의 고유한 영역은 있는가?│노동력 상품화라는 쟁점 2. 브로델의 역사관과 시간의 중첩성:세계체계의 시간대 브로델의 시간 개념:장기지속과 콩종크튀르의 중첩│브로델과 ‘모델’:구조가 지속되는 시간대 3. 삼층도식 삼층도식:물질문명, 시장경제, 자본주의│삼층도식의 함의 4. 브로델의 강점과 약점 강점과 약점│<자본>과 연결되는 문제들 2강 칼 폴라니와 세계체계 분석의 전사 1. 폴라니의 두 측면 제도주의자로 수용된 폴라니│근대자본주의 비판으로서의 폴라니 2. 폴라니의 핵심 논점 19세기 영국 헤게모니 하의 질서│상이한 사회적 원리들: 호혜성 사회, 재분배 사회, 시장교환 사회│시장의 층위들: 국지적 시장, 전국 시장, 원거리 시장│허구적 상품: 노동력, 토지, 화폐│사회의 자기보호│분기의 발생: 파시즘, 사회주의, 뉴딜 3. 폴라니에 대한 평가 강점│한계 3강 세계체계 분석의 기획과 구도: 이매뉴얼 월러스틴의 문제제기 1. 세계체계 분석의 기획 월러스틴과 세계체계 분석│근대 규정의 난점 2. 세계체계 분석으로 나아가는 이론적 계기 종속이론과의 관련│사회주의와 관련된 논쟁│월러스틴과 브로델의 영향관계│분석단위라는 쟁점│자본주의와 관련된 혁명 신화 비판│집단적 작업의 조직화 4강 월러스틴의 세계체계 분석 1. 세계경제 기축적 분업│자본주의 세계경제의 전개 과정│다수 제도들의 집합으로서 세계경제 2. 국가와 국가간체계 국가간체계가 제도화된 베스트팔렌 조약│주권국가│국가의 역할│세계헤게모니 3. 자유주의와 반체계운동 세 가지 이데올로기│반체계운동의 전략적 쟁점: 국가│반체계운동의 전환 계기로서 68년 4. 자본주의 탄생에 대한 논점 월러스틴의 자본주의 출현 설명: 정세론│월러스틴의 자본주의 출현론에 대한 아리기의 비판 5. 월러스틴의 강점과 한계 강점│문제점│월러스틴이 남긴 과제 5강 지오반니 아리기: 세계체계와 세계헤게모니 1. 세계체계 분석 내부의 쟁점 형성 월러스틴과 아리기의 이론적 차이점│계급과 사회구성체│아리기의 연구 배경 2. 헤게모니 순환 분석의 기본 개념들 체계적 축적순환과 국가간체계│자본주의와 영토주의│세계헤게모니│축적양식과 생산양식│국가독점적 모델과 코스모폴리탄적 모델│실물적 팽창과 금융적 팽창, 그리고 벨에포크│신호적 위기와 최종적 위기│체계의 카오스│전진운동과 후진운동 6강 <장기 20세기>와 헤게모니 순환의 역사 1. 네 번의 헤게모니 순환 제노바 순환에서 시작하는 이유│시대별 헤게모니 순환의 특징 2. 장기 16세기와 네덜란드 헤게모니 네덜란드 헤게모니의 성장요인│네덜란드의 쇠퇴와 후발주자들의 추격│네덜란드의 강점과 약점 3. 영국 헤게모니 영국의 우위│영국 헤게모니 준비 과정의 역사│네덜란드에 대한 모방과 탈피│인도의 중요성: 영국 헤게모니 부상의 결정적 계기│기계제 등장 이후의 변화│영국 헤게모니의 쇠퇴와 금융화 4. 미국 헤게모니 미국 자본주의의 특징│고도금융에 대한 통제, 뉴딜 정책│미국 헤게모니의 전지구적 확장 7강 신자유주의 금융세계화 1. 신자유주의 금융화 금융화의 만개│미국 ‘신경제’의 취약성│금융 취약성과 체계의 위기 2. ‘제국’의 불안정한 토대 제국 논쟁│미국 경상수지 적자│미국의 해외자산과 외국인의 미국 내 자산 보유│가계부채│배제된 지역의 증가│전쟁 비용 지불의 한계 8강 동아시아와 세계체계 1. 동아시아의 장기지속과 중첩된 시간대 문제 동아시아의 다층적 시간대│아리기의 동아시아 장기지속론│동아시아의 쟁점 2. 냉전과 동아시아의 성장 동아시아의 급성장에 대한 설명들│동아시아의 특이한 지정학│동아시아 내에서 다층적 하청체계의 확장 과정 3. 동아시아의 재편과 새로운 지역의 편입 일본의 전후 부흥과 동아시아 경제│동아시아 신흥공업국의 재편│동남아시아의 편입│구사회주의권 중국의 편입 4. 동아시아의 지정학적 변화 미국과 일본의 축│미국과 중국의 축│한반도 변수 5. 한미FTA 신자유주의에 대한 반대│무장한 세계화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