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카메론

조반니 보카치오 · 小説
672p
購入可能なサービス
評価する
3.3
平均評価
(2人)
피렌체의 소설가이자 인문주의자였던 보카치오는 페스트가 세상을 어떻게 황폐화시키는지를 직접 목격하곤 1351년 《데카메론》을 완성했다. 《데카메론》은 단테의 <신곡>과 비교하여 <인곡>이라고도 불리는 당대 최고의 산문문학으로, 또한 당대의 사회상을 담은 일종의 생생한 역사서로도 읽힌다. 《데카메론》은 근대적인 리얼리즘의 산문정신으로 그려진 최초의 작품으로 일컬어지고 있다. 작품 속에선 아름답게 꾸민 미사여구를 찾아볼 수 없으며, 대체로 문장표현이 거친 편이다. 이야기에 때때로 나오는 외설적인 면을 지나치게 강조하기도 하지만, 그것은 인간 생활을 솔직히 묘사하다 보니 자연히 나오게 된 것뿐이지 그것 자체가 목적은 아니다. ‘데카’는 ‘10’, ‘메론’은 ‘이야기’란 뜻으로 ‘10일간의 이야기’라고도 번역되며, 흑사병을 피해 피렌체 교외의 별장으로 피신한 10명의 남녀의 10일 동안의 100편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월간 소장] 레벤느망

매월 1일, 100원으로 누리는 최고의 가치!

왓챠 개별 구매

[월간 소장] 레벤느망

매월 1일, 100원으로 누리는 최고의 가치!

왓챠 개별 구매

著者/訳者

目次

머리말 데카메론 100배 즐기기 제1장 | 첫째 날 이야기 첫 번째 이야기 : 차펠레토의 이야기 두 번째 이야기 : 자노 드 세비네의 이야기 세 번째 이야기 : 살라디노의 이야기 네 번째 이야기 : 루니지아나 수도원장의 이야기 다섯 번째 이야기 : 몬페라토 후작부인의 이야기 여섯 번째 이야기 : 페이트로 달라키의 이야기 일곱 번째 이야기 : 베르가미노의 이야기 여덟 번째 이야기 : 에르미노 데 그리말디의 이야기 아홉 번째 이야기 : 귀도 디 루지냐노의 이야기 열 번째 이야기 : 알베르토의 이야기 제2장 | 둘째 날 이야기 첫 번째 이야기 : 마르텔리노의 이야기 두 번째 이야기 : 리날도 다스티의 이야기 세 번째 이야기 : 알렉산드로 람베르티의 이야기 네 번째 이야기 : 란돌포의 이야기 다섯 번째 이야기 : 안드레우초 디 피에트로의 이야기 여섯 번째 이야기 : 베리톨라 카라치올라의 이야기 일곱 번째 이야기 : 알라티엘의 이야기 여덟 번째 이야기 : 고티에의 이야기 아홉 번째 이야기 : 베르나보 로멜린의 이야기 열 번째 이야기 : 바르톨로메아의 이야기 제3장 셋째 날 이야기 첫 번째 이야기 : 마제토의 이야기 두 번째 이야기 : 테우델링가의 이야기 세 번째 이야기 : 어느 부인의 이야기 네 번째 이야기 : 돈 펠리체의 이야기 다섯 번째 이야기 : 치마의 이야기 여섯 번째 이야기 : 리차르도 미누톨로의 이야기 일곱 번째 이야기 : 테달도의 이야기 여덟 번째 이야기 : 페론도의 이야기 아홉 번째 이야기 : 질레트의 이야기 열 번째 이야기 : 알리베크의 이야기 제4장 넷째 날 이야기 첫 번째 이야기 : 귀스카르도의 이야기 두 번째 이야기 : 알베르토의 이야기 세 번째 이야기 : 니네타의 이야기 네 번째 이야기 : 제르비노의 이야기 다섯 번째 이야기 : 리자베타의 이야기 여섯 번째 이야기 : 안드레우올라의 이야기 일곱 번째 이야기 : 시모나의 이야기 여덟 번째 이야기 : 지롤라모 시기에리의 이야기 아홉 번째 이야기 : 롯실리옹의 이야기 열 번째 이야기 : 루지에리의 이야기 제5장 다섯째 날 이야기 첫 번째 이야기 : 치모네의 이야기 두 번째 이야기 : 마르투초 고미토의 이야기 세 번째 이야기 : 피에트로의 이야기 네 번째 이야기 : 리차르도 마나르디의의 이야기 다섯 번째 이야기 : 잔놀레의 이야기 여섯 번째 이야기 : 레스더투타의 이야기 일곱 번째 이야기 : 테오도로의 이야기 여덟 번째 이야기 : 나스타조의 이야기 아홉 번째 이야기 : 페데리고의 이야기 열 번째 이야기 : 피에트로 디 빈촐로의 이야기 제6장 여섯째 날 이야기 첫 번째 이야기 : 오레타 부인의 이야기 두 번째 이야기 : 치스티의 이야기 세 번째 이야기 : 논나 데 풀치 부인의 이야기 네 번째 이야기 : 키키비오의 이야기 다섯 번째 이야기 : 조토 디 본도네의 이야기 여섯 번째 이야기 : 미켈레 스칼차의 이야기 일곱 번째 이야기 : 필리피 부인의 이야기 여덟 번째 이야기 : 치에스카의 이야기 아홉 번째 이야기 : 귀도 카발칸티의 이야기 열 번째 이야기 : 치폴라의 이야기 제7장 일곱째 날 이야기 첫 번째 이야기 : 테사의 이야기 두 번째 이야기 : 페로넬라의 이야기 세 번째 이야기 : 리날도의 이야기 네 번째 이야기 : 기타 부인의 이야기 다섯 번째 이야기 : 필리포의 이야기 여섯 번째 이야기 : 이사벨라의 이야기 일곱 번째 이야기 : 아니키노의 이야기 여덟 번째 이야기 : 시스몬다의 이야기 아홉 번째 이야기 : 피루스의 이야기 열 번째 이야기 : 메우초 디 투라의 이야기 제8장 여덟째 날 이야기 첫 번째 이야기 : 굴파르도의 이야기 두 번째 이야기 : 벨콜로레의 이야기 세 번째 이야기 : 칼란

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데카메론》은 단테의 <신곡>과 비교하여 <인곡>이라고 불리는 근대적인 리얼리즘의 산문정신으로 그려진 최고의 작품! 그동안 공개되지 않은 <중세 필사본> 속 210여 장의 풍성한 그림 자료 수록! 피렌체의 소설가이자 인문주의자였던 보카치오는 페스트가 세상을 어떻게 황폐화시키는지를 직접 목격하곤 1351년 《데카메론》을 완성했다. 《데카메론》은 단테의 <신곡>과 비교하여 <인곡>이라고도 불리는 당대 최고의 산문문학으로, 또한 당대의 사회상을 담은 일종의 생생한 역사서로도 읽힌다. 《데카메론》은 근대적인 리얼리즘의 산문정신으로 그려진 최초의 작품으로 일컬어지고 있다. 작품 속에선 아름답게 꾸민 미사여구를 찾아볼 수 없으며, 대체로 문장표현이 거친 편이다. 이야기에 때때로 나오는 외설적인 면을 지나치게 강조하기도 하지만, 그것은 인간 생활을 솔직히 묘사하다 보니 자연히 나오게 된 것뿐이지 그것 자체가 목적은 아니다. ‘데카’는 ‘10’, ‘메론’은 ‘이야기’란 뜻으로 ‘10일간의 이야기’라고도 번역되며, 흑사병을 피해 피렌체 교외의 별장으로 피신한 10명의 남녀의 10일 동안의 100편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 出典
  • サービス利用規約
  • プライバシーポリシー
  • 会社案内
  • © 2024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