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은 과학이 아니다

마시모 피글리우치
488p
購入可能なサービス
content
評価分布グラフ
平均 3.4(6人)
0.5
3.5
5
評価する
3.4
平均評価
(6人)
レビュー
もっと見る

지적설계론(창조론)은 과학일까? 외계생명체탐사는 과학일까? 지구온난화를 부정하는 과학자와 우려하는 과학자, 어느 쪽이 옳을까? 왜 아프리카 일부 나라에서는 에이즈 치료제를 거부하고 미신적인 치료행위를 할까? 우리가 과학으로 여기는 사이비과학 및 비과학은 때로 생명을 앗아가는 위협으로 돌아온다. “사이비과학의 공격에서 진화생물학을 방어하기 위해” 미국과학진흥협회 회원으로 선출된 마시모 피글리우치 뉴욕시립대 교수는 이 책에서 사이비과학의 맹점을 드러내고 과학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발전해왔는지 명쾌하게 밝힌다.

첩보극의 틀을 깨는 앤더슨다운 상상력!

완벽한 프레이밍 속, 아무도 믿을 수 없는 세계로

왓챠 개별 구매

評価分布グラフ
平均 3.4(6人)
0.5
3.5
5

첩보극의 틀을 깨는 앤더슨다운 상상력!

완벽한 프레이밍 속, 아무도 믿을 수 없는 세계로

왓챠 개별 구매

著者/訳者

目次

들어가며 과학 대 사이비과학 그리고 ‘경계 설정 문제’ 6 1장 경성과학, 연성과학 13 2장 거의 과학 41 3장 사이비과학 87 4장 미디어 탓이다? 129 5장 과학에 관한 토론 : 싱크탱크의 부상과 대중지식인의 몰락 159 6장 과학과 정치 : 지구온난화 문제 203 7장 법정의 과학 : 지적설계론에 대한 소송 243 8장 미신에서 자연철학으로 281 9장 자연철학에서 현대 과학으로 311 10장 과학 전쟁 Ⅰ?: 우리는 과학을 지나치게 신뢰하고 있지 않은가? 347 11장 과학 전쟁 Ⅱ?: 우리는 과학을 너무 적게 신뢰하고 있지 않은가? 377 12장 여러분의 전문가는 누구인가? 415 결론 과학이란 무엇인가? 449 주 454 찾아보기 482

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지적설계론을 주장하고 지구온난화를 부정하는 엉터리 과학을 향한 거침없는 해부! 시조새의 교과서 삭제를 둘러싸고 과학계가 떠들썩하다. 우리나라 교과서진화론개정추진위원회가 교육과학기술부에 “?국내에서 사용하는 고등학교 과학교과서의 ‘시조새’에 관한 기술 내용이 학술적으로 잘못된 것이므로 삭제해달라”고 청원한 것이 받아들여진 사실을 영국의 과학저널 <네이처>와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 등이 보도하면서다. 교과서진화론개정추진위원회는 “진화론은 사상, 이념체계이지 과학이 아니다. 과학을 빙자한 내용이 교과서에 소개되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렇다면 창조론은 과학일까. 이 책을 쓴 마시모 피글리우치 뉴욕시립대 철학교수(철학교수라지만 유전학, 식물학, 과학철학 박사다)는 창조론에 대한 열렬한 비판가이자 과학 교육 옹호자로 유명하다. 이 책의 목표는 과학과 사이비과학을 구별하는 것인데 창조론과 진화론 논쟁은 그 대표적인 사례에 해당한다. 저자에 따르면 창조론(지적설계론)은 과학이 아니다. 하지만 무엇이 과학이 아니라고 말하는 것은 단순한 일이 아니다. 저자는 이를 위해 과학의 본성과 한계, 논리적 오류, 믿음의 심리 작용, 그리고 정치학과 사회학에 대한 이해까지 파고든다. 지구온난화 부정론을 비롯해 우리가 과학적이라고 믿고 있는 비과학은 때로 생명과 미래를 앗아가는 비수가 되어 돌아오기도 하기 때문이다. 무엇을 사이비과학이라 할 수 있는가 - 경성과학과 연성과학 이 책의 원제는 『Nonsense on stilts』다. ‘죽마에 올라탄 헛소리’란 뜻으로 영국의 철학자 제러미 벤담이 한 말이다. 헛소리 과학, 즉 비과학과 사이비과학을 과학에서 가려내려면 과학이 무엇인지부터 이해해야 한다. 그래서 저자는 경성과학(물리학, 화학, 분자생물학 등)과 연성과학(생태학, 진화생물학, 심리학 등) 중 어느 쪽이 더 엄밀하냐고 묻는 것으로 이야기를 시작한다. 물리학은 심리학보다 견고할까? 1987년 시카고 대학교 래리 헤지스 교수의 실험에 따르면 “놀랍게도 자연과학 연구 결과가 사회과학 연구 결과보다 두드러지게 더 일관적인 것은 아니다.”(27쪽) 그러면 과학에는 꼭 실험이 필요할까? 그렇지 않다. 천문학에서는 실험을 할 수 없다. 하지만 체계적인 관찰과 가설의 구성 및 검사로 과학의 영역에 굳게 자리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빅뱅 이론과 운석으로 인한 공룡의 멸종 증명이다.(33쪽) 과학의 스펙트럼은 넓다. 완전히 역사적인 과학(고생물학, 천문학)이든, 부분적으로 역사적인 과학(진화생물학, 지질학)이든, 비역사적인 과학(물리학, 화학)이든, 모든 과학의 공통점은 실험이나 관찰을 통해 체계적으로 수집한 실증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가설을 세우고 검증하는 능력에 있다. - 거의 과학 그렇다면 다음으로 생각해볼 것은 ‘거의 과학(almost science)’이라 부를 만한 영역이다. 누구나 과학임을 의심하지는 않는 다중우주 이론, 끈 이론, 외계지적생명체탐사(SETI), 진화심리학 등은 어떨까. 저자는 앞의 두 이론이 수학 이론의 결과물로 논리적으로는 가능하지만 실증적으로 검증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엄밀히 보자면 과학이 아니며 철학적 탐구에 가까운 활동이라고 말한다.(사이비과학은 아니지만) 외계지적생명체탐사도 마찬가지다. 1960년 전파천문학자 프랑크 드레이크의 ‘오즈마 프로젝트’로 시작된 SETI는 이후 수억 달러, 수백만 시간, 수십 년간의 조사가 투입되었지만 아무것도 밝혀지지 않았다. 중심 가설(우주에 지적 생명체가 존재한다)에 대한 실증적 증거와 검증 가능성이 없기 때문이다. SETI가 실제로 사이비과학은 아니지만 프랑크 드레이크가 제시한 방정식(57쪽)은 각 항의 값을 추정하기 어렵다는 데서 이론적 바탕도 빈약하다. 그렇다면 진화심리학은 진화생물학의 합법적인 분과 학문일까 아니면 사이비과학에 더 가까울까. 이것도 마찬가지다. 안타깝게도 인간의 행동이나 자연선택을 불러일으킨 환경 등은 화석 기록을 남기지 않는다. 대상 종을 가까운 친척과 비교하는 것도 현존하는 친척이 얼마 되지 않으므로 어려운 일이다. 대표적인 것이 랜디 손힐 등의 『강간의 자연사』이다.(66쪽) 이처럼 제대로 된 과학과 ‘과학적’이라고 할 수 없는 활동 사이의 중간 지대에는 복잡한 지적 풍경이 펼쳐져 있다. - 사이비과학 이제 본격적으로 사이비과학을 알아볼 차례다. 저자는 여기서 에이즈 부정론, 점성술, UFO, 초자연현상을 예로 든다.(저자가 이 책을 쓴 이유라 할 정도로 비판 대상이 되는 지구온난화 부정론, 지적설계론 등은 4장~7장에서 다룬다.) <스카이 뉴스>에 따르면 2008년 감비아 대통령은 에이즈 치료제를 개발했다. “크림을 한 번 문지르고 얼굴에 어떤 약을 한 번 뿌리고 탁한 액체를 한 번 마시는” 것이다. 이 치료법은 감비아 보건부의 승인을 받았다. 같은 날 <스카이 뉴스>에 보도된 다른 뉴스에 따르면 에티오피아 정교회는 성직자가 신자에게 물을 세게 뿌리는 동시에 나무 십자가로 이들을 때리는 에이즈 치료법을 시행했다. 『뉴요커』지에 따르면 심지어 경제적으로 번성하는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도 어느 트럭 운전사가 꿈에서 환영을 보고 에이즈 치료제를 개발하여 의료행위를 벌이기도 한다.(92~94쪽) 점성술은 우리나라에서는 흔하지 않지만 서구에서는 1만 명당 한 명이 믿고 수많은 돈과 시간을 쏟아 붓는다. 하지만 별자리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다. 별자리를 이루는 별들은 지구에서 매우 멀리 떨어져 있다. 게다가 황도상의 별자리는 오랜 세월 동안 조금씩 바뀐다. ‘우주적 영향’이나 ‘제5의 힘’은 현대물리학으로는 밝혀낼 수 없는 것이다.(100쪽) 흥미롭게도 1985년 『네이처』에 발표된 캘리포니아 대학교 숀 칼슨의 연구에 따르면 피실험자 점성술사 30명은 고객에 맞는 천궁도를 세 번 중 한 번만 옳게 골랐다. 누가 해도 이 정도 결과는 나온다. 사이비과학의 가장 안타까운 예를 보자. 1997년 캘리포니아 샌디에이고에서 39명이 집단으로 자살했다. ‘천국의 문’이라는 UFO 컬트 조직이었다. 이들은 UFO가 헤일밥 혜성을 뒤쫓다가 자신들을 태워서 그 행성에 데려다 준다고 믿었다. 저자는 떠들썩했던 ‘1986년 UFO 목격 사건’을 비롯해 UFO 목격 사건의 진실을 밝히면서, 왜 이런 사건이 대부분 불가사의로 남는지 지적한다.(110쪽) 이와 함께 사이비과학 연구의 실패 사례로 ‘텔레파시’를 연구한 프린스턴 대학교 윌리엄 하퍼의 PEAR 연구소를 소개하고 있다. 다음은 PEAR 연구소 폐쇄에 대해 『네이처』지 루시 오들링 스미 기자가 한 말이다. “사용된 방법이야 과학적이긴 하지만, 표준적인 이론 체계에 들어맞지 않는 연구에 관해 과학이 얼마만큼 너그러워야 하는가?”
  • 出典
  • サービス利用規約
  • プライバシーポリシー
  • 会社案内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