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머리말 0 시작은 한 통의 메일 1 왜 나는 사회학을 공부하는가 가짜 이름, 가짜 모습 사회학이 뭔데? 이론이 세상을 바꿀 수 있다고? 모든 것이 새로운 시대 ─ 근대와 근대성 2 개인 탓? 사회 탓? 사회학은 사회 탓만 해 ‘사회’를 만든 사회학 ─ 콩트 사회가 있어야 개인도 있지 ─ 뒤르켐의 도덕적 개인주의 3 감정에 대한 감정적 논쟁 감정은 어떻게 생길까? ─ 감정 사회학 이성과 감성 4 페미니즘에의 도전 페미니즘이 나랑 무슨 상관이람 안 꾸미면 다 페미니스트? 드래그 하기 ─ 버틀러의 젠더 트러블 5 관계의 조건 마음이 통한다는 것 사람과 사람 사이, 상호 작용의 기적 ─ 퍼스의 기호학 사랑에 빠지는 법 ─ 쿨리의 사회적 실재 6 사회는 움직이는 거야 밀라, 사회학에 회의를 느끼다 나를 객관적으로 보기 ─ 미드의 상징적 상호 작용론 의미는 만남 속에 7 조금은 비정상적인 밤 정상인 척하기 ─ 슈츠의 전형화 비정상인 척해 보기 ─ 가핑클의 위반 실험 넘치는 세계, 모자라는 말 ─ 시쿠렐의 단순화 8 친구가 털어놓은 이야기 아픈 친구 곁에서 정상인, 아니면 이방인─고프먼의 낙인 이론 9 권력은 어디에나 세미나 1 ─ 푸코의 권력 이론 일상 속의 권력, 일상 속의 저항 10 사회학은 인용학? 세미나 2 ─ 과학 사회학 사회학 대 과학 11 주어진 일과 하고 싶은 일 밀라, 독감에 걸리다 의사는 주제넘은 환자를 싫어해 ─ 파슨스의 기능주의 12 연극도 사회학처럼 비극 속 여주인공의 운명 영화 속 마피아의 명예 ─ 부르디외의 아비투스 대본 새로 쓰기 13 잘 살려면 ‘운동’을 해야 한다 문제는 경제야! ─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자본주의 비판 이상과 현실 역사를 움직이는 자, 계급 14 세상을 설명하기, 세상을 바꾸기 지루한 직업이 중요한 이유 ─ 베버의 자본주의 분석 세상 속 불평등은 어쩔 수 없다고? 15 숨겨진 목소리들 밀라, 진짜 이름을 밝히다! ‘엘리너’ 마르크스와 ‘마리안네’ 베버 우리는 하나라는 신화 ─ 홀의 문화 연구 16 이제는 말할 수 있을까 절망은 시기상조 ─ 지멜의 돈의 철학 돈이 전부는 아니다 17 다시 한 통의 메일, 그리고 더 읽을거리 자주 하는 질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