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책머리에 내 작품, 나만큼 잘 이해할 사람이 어디 있을까 I. 작품 사진에 다가서기 1. 내 작품은 내가 직접 찍는다! 실제 작품보다 더 멋있게 찍을 수 있을까? 포트폴리오는 또 하나의 작품 프로에게 의뢰할 때에도 사진을 알면 더 좋다 2. 어떤 장비가 필요할까? 화소를 결정하는 카메라 넓게 볼 것인가, 좁게 볼 것인가, 렌즈 사진은 빛의 마술, 조명 3. 천리길도 한 걸음부터, 기본을 알자 모든 것의 기본은 사용설명서 자세가 좋으면 사진이 더 잘 나온다 빛을 조절한다, 조리개·셔터속도·감도 노출계는 바보, 노출 보정 본래 색 찾기, 화이트밸런스 이미지 화질 설정 옅은 화장이 더 아름답다, 이미지 리터칭 II. 실전 촬영 4. 평면 작품 _ 회화·드로잉·그래픽 아트 작품 촬영의 기본이 되는 평면 작품 찍기 전에 무엇을 어떻게 보여줄 것인지 생각한다 계획을 잘 세우면 이미 절반은 성공이다 4.1 조명의 특성과 작품에 따른 선택 빛은 정직하다 _ 직진/반사, 조명의 각도 작품 크기의 단위, 호(號) 빛은 다양하다 _ 지속광/반사광, 조명의 선택 실패 사례 _ 조명 반사와 색상 왜곡 4.2 왜곡을 잡는다 정확한 카메라 위치가 중요하다 실패 사례 _ 작품 비율 왜곡 4.3 조명 위치에 따라 표면 질감이 달라진다 4.4 유리액자나 반사가 심한 작품을 촬영할 때 성공적인 평면 작품 촬영을 위한 TIP 포트폴리오 5. 입체 작품 _ 조각·도자·설치 지속광이 유리한 입체 작품 입체는 조명 방향에 따라 다르게 보인다 5.1 배경 공간을 이해한다 5.2 야외 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5.3 보조 조명으로 입체감을 강조한다 5.4 반사와 그림자를 활용한다 5.5 현장 조명을 최대한 활용한다 5.6 투명한 소재는 투과성을 강조한다 5.7 앵글을 변화시켜 다양한 모습을 연출한다 5.8 관객과 함께 촬영하면 작품의 크기를 짐작할 수 있다 성공적인 입체 작품 촬영을 위한 TIP 포트폴리오 6. 멀티미디어·비디오·인터랙티브 매체 설치 멀티미디어는 ‘멀티’한 콘셉트로 촬영한다 영상 작품은 콘티 등 관련 자료도 함께 촬영한다 6.1 설치 현장의 분위기를 생생하게 전달하자 6.2 때로는 합성도 필요하다 6.3 인터랙티브한 작품은 관객 참여 장면을 담는다 6.4 영상 내용 중 중요한 부분, 변화를 나타내는 장면은 연속적으로 찍는다 포트폴리오 7. 전시장 전시장은 하나의 거대한 작품 7.1 전시장도 당신의 포트폴리오 7.2 같은 공간도 시간대에 따라 달라진다 실패 사례 _ 색온도 7.3 전시장 반영 활용하기 7.4 공간감을 살리는 스폿 조명 7.5 좁은 전시장은 파노라마로 7.6 설치 장면도 빼놓을 수 없다 7.7 생동감 넘치는 오프닝 + 작가와의 대화 7.8 퍼포먼스는 영원하다 8. 작가 프로필과 작업장 작가의 프로필 사진은 작품만큼이나 중요하다 뭔가 멋있는 실루엣, 그리고 연출 작업 공간도 훌륭한 포트폴리오 9. 도록 전시는 결국 도록으로 남는다 원본 이미지의 관리 인쇄를 위한 최소 해상도와 크기 작업실에서 찍을까, 전시장에서 찍을까 기존 도록도 좋은 자료가 된다 모니터와 인쇄물의 색은 다르다 색상의 교정과 인쇄 감리 객관적 관객인 디자이너를 신뢰한다 도록 용지의 선택 예산은 늘 모자라게 마련이다 작가가 드러나는 포트폴리오 제작 맺는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