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지니아 울프는 평생 런던을 산책하고 사색하며 런던에 대해 글을 쓴 런던 사람이다. 『밤과 낮』, 『제이콥의 방』, 『댈러웨이 부인』, 『파도』, 『세월』에 이르기까지 울프의 소설 상당수가 런던을 주제이자 무대로 삼는다. 특히 소설 『댈러웨이 부인』에서는 ‘런던, 6월의 이 순간’을 반기며 전쟁과 망자들이 혼령으로 떠도는 도시에서도 전후의 파티를 즐기는 눈부신 일렁임을 칭송한다. 이 책 『런던을 걷는 게 좋아, 버지니아 울프는 말했다』는 댈러웨이 부인의 말 가운데 하나다. 런던 산책을 사랑한 만큼 버지니아 울프는 런던 산책에 관한 에세이를 잡지에 연재했는데, 그 에세이를 모은 책이다.
▶ 버지니아 울프의 일기 속 런던 산책
소설을 쓸 만큼 이야기가 차오를 때까지 버지니아 울프는 무수한 시간들을 서평과 에세이와 편지와 일기로 촘촘히 채웠다. 버지니아 울프의 첫 공식 저술활동은 스물둘에 『가디언』지에 발표한 서평이었다. 그 이후로 울프는 신문과 잡지에 꾸준히 에세이를 기고했다. 서평과 에세이는 울프의 금전적 자산이자 문학적 자산이었다. 건강이 허락하는 한 버지니아 울프는 매일 글을 썼다. 그리고 매일 글을 쓰기 위해 독서와 산책을 거르지 않았다.
“런던은 보석 중의 보석…… 음악과 대화와 우정과 도시 풍경과 책과 출판과 설명할 수 없지만 중심이 되는 무엇, 이 모두가 이제 내 손 닿는 거리에 있다.”- 1924년 1월 9일
“런던은 쉴 새 없이 나를 매혹하고 자극하고 내게 극을 보여주고 이야기와 시를 들려준다. 두 다리로 부지런히 거리를 누비는 수고만 감내하면 아무것도 걸리적거릴 것 없다. 혼자 런던을 걷는 시간이 내게는 가장 큰 휴식이다.” - 1928년 5월 31일
▶ 오 멋진 배여, 어디를 향하는가
런던 부두에 관한 글은 런던의 돔 지붕과 첨탑과 웅장한 대저택으로 독자를 태워가며 런던의 기중기와 부두, 진흙과 하수도와 쓰레기장을 보여주고 쓰레기 폐기물을 포함한 모든 생산물에 용도가 부여되는 가차 없는 과정을 보여준다.
▶ 천 가지의 목소리가 아우성치는 옥스퍼드 거리
옥스퍼드 거리는 먹고살기 위한, 잠자리를 마련하기 위한, 무심하고 무자비하게 넘실대는 거리의 파도에 화자들이 뱉어내는 천 가지의 목소리로 가득하다. 이 장을 통해 울프는 중간계급 소비자의 변덕과 욕구가 어떻게 냉혹한 시장의 힘을 추동하고 동시에 그것에 추동되는지 보여준다. 신발, 모피, 가방, 난로, 기름, 라이스푸딩, 양초 등등 우리가 요구하는 것이 우리 앞에 대령된다.
▶ 키츠도 산책하다 멈추고 이렇게 바라봤겠지
위인들의 집에 관한 글은 19세기 켄싱턴(어린 시절 울프가 살던 집도 이 지역에 있다)에 위치한 칼라일의 가옥을 서재, 책상, 초상화가 놓인 관광지로서가 아니라 여성과 하인들의 ‘전쟁터’로 접근하며 ‘청결 온기를 위해 먼지 추위에 맞서’ 매일 싸우는 노예노동의 현장이었다고 전한다.
▶ 여기는 하원 의사당이다. 여기서 세계의 운명이 바뀐다
하원 의사당에 관한 글은 시끌벅적 왁자지껄 고성이 오가는 남성전용 클럽을 마치 디킨스 식으로 묘사한다. 못생기고 시시하고 평범한 당대의 구성원들이 사후에 대리석 동상으로 세워지는 걸 상상하기 힘들 정도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