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目次

프롤로그: 세상 모든 일의 출발점은 바로 가정이다 본문에 앞서: 자존감 있는 아이로 키우는 네 가지 핵심 요소 1부 자존감, 내가 단단해야 가족이 행복하다 1장_ 당신의 가족을 사랑하십니까? 문제 있는 가정의 자녀는 무력감을 학습한다 양육적인 가정의 자녀는 자기다운 모습으로 자란다 가정은 모든 일의 출발점이자 최후의 보루다 2장_ 당신의 솥에는 무엇이 담겨 있나요? ‘솥’으로 표현하는 자존감 이야기 솥이 가득 찬 사람 vs 솥이 바닥난 사람 아이의 자존감은 전적으로 가족의 영향을 받는다 3장_ 개인적 에너지의 원천, 자존감 자기를 사랑하는 사람이 남도 사랑할 줄 안다 인간은 저마다 고유하면서도 동질적인 존재다 가족의 현재 모습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방법 자존감은 갓 태어났을 때부터 형성된다 유아의 자존감을 높여주는 효과적인 방법 4장_ 나를 속속들이 비춰주는 망원경 자아를 형성하는 여덟 지체의 역할 총체적인 건강을 위한 지침 2부 소통하기, 장벽 없이 자유롭게 5장_ 우리는 왜 이렇게 형편없는 의사소통을 할까?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과정 신체를 활용해 의사소통 프로세스를 이해하는 연습 활동 거리와 위치를 활용해 의사소통 프로세스를 이해하는 연습 활동 의사소통의 핵심: 듣기와 말하기 의사소통에서 흔히 발생하는 몇 가지 함정 6장_ 자존감은 의사소통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말과 몸이 따로따로 신호를 보낼 때 네 가지 절름발이 의사소통 유형 이상적인 의사소통 유형: 수평형 다섯 가지 유형의 반응 예시 7장_ 역할극을 통해 잘못된 의사소통을 체험해보자 역할극에 앞서 준비하기 가족이 함께 역할극을 해보자 자신의 성향을 인정하고 받아들이자 잘못된 의사소통은 어떤 결과를 초래할까? 이해하고 나면, 변화할 수 있다 8장_ 가족의 규칙을 새롭게 정비하자 가족이 모두 모여 가족의 규칙 목록을 만들어보자 발언과 관련한 제한 규칙이 있는가? 분노를 표현할 수 있는가? 성적인 문제를 이야기할 수 있는가? 그 밖의 금기가 또 있는가? 3부 기반 다지기, 멀리 보고 세심하게 9장_ 서로 다른 두 사람이 함께 만들어가는 것, 가정 진정한 사랑의 모습은 어떤 것일까 결혼할 때 품었던 소망을 기억하는가? 부부에겐 공통점과 차이점 모두 필요하다 연애와 결혼은 어떻게 다른가 무엇이 사랑을 시들게 할까 10장_ 자녀에게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가족 청사진 준비된 부모가 행복한 아이로 키운다 아이가 태어난 후 환경 변화에 현명하게 대처하는 법 부모의 양육 방식을 본보기로 삼을 때 주의할 점 유머를 잃지 않으면 어떤 상황도 헤쳐나갈 수 있다 아기의 시선으로 부모를 바라보자 아기는 갓 태어난 직후부터 세상을 배워간다 가족 청사진을 실행할 때는 세 가지를 주의하자 11장_ 가족 청사진에 무엇을 담아야 할까? 출생에서부터 성인이 되기까지 거쳐야 할 학습 단계 자녀 개개인의 고유성을 인정하자 자녀가 신체적 힘을 비롯해 다양한 힘을 개발하도록 돕자 가정은 자녀의 성 정체성을 정립해주는 곳이어야 한다 꿈을 꿀 수 있는 가정으로 만들자 누구도 피할 수 없는, 죽음의 문제 12장_ 가정을 어떻게 경영해야 할까? 어린 자녀에게도 제 몫을 충분히 해낼 기회를 주자 집안일을 자존감을 높일 계기로 활용하자 혼자 있는 시간도, 함께하는 시간도 모두 중요하다 소문에 기대지 말고, 직접 만나고 직접 체험하자 나만의 것을 소유하는 경험은 매우 중요하다 4부 관계 맺기, 유연하고 조화롭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