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 글을 시작하며 살 빼기 말고 체중 관리를 01 다이어트 A to Z Chapter 01 다이어트 심리학 01 다이어트 잔혹사 지금 생각해도 황당한 다이어트 | 현대적인 다이어트법 등장(그레이엄 다이어트 · 밴팅 다이어트 · 플래처 다이어트 · 피셔 다이어트 · 원푸드 다이어트) 02 제발 먹어도 된다고 말해주세요 03 ‘한 줌’의 속임수 부피는 길이의 세제곱 | 결국은 엿장수 마음대로 | 그릇 크기만 줄여도 살이 빠진다? | 보조제보다 주방 저울부터 04 식이장애 거식증 | 폭식증 | 보상적 운동 강밥 | 다이어트 중 ‘거식 - 폭식증’을 예방하는 방법 05 식욕과 포만감 식사습관은 훈련할 수 있다 | 끼니 말고 간식부터 줄이자 | 소화는 삼키기 전부터 시작된다 급하게 먹을 때 더 많이 먹는 이유 | 입맛과 다이어트 | 식욕과 운동 06 적게 먹은 것 같은데 왜 안 빠질까? Chaper 02 다이어트 상식사전 01 다이어트 개론 열량이란 | 체중이 빠진다는 것의 의미 | 질량 보존 ? 에너지 보존의 법칙 | 몸이 에너지를 얻는 방법 | 성인의 일일 권장 열량 | BMI와 체중 단계별 분류 | 동적 평형, 정적 평형 | 비만과 호르몬 02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 지방 | 단백질 03 내 체중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을까? 체수분 | 단백질 | 무기질 | 체지방 | 글리코겐 | 기타 04 체지방, 넌 누구냐? 체지방에 대한 오해 3가지 | 체지방을 쌓는 방법 | 지방조직의 종류 | 지방조직의 위치 05 맛의 황금비율과 다이어트 끊임없이 들어가는 지방의 정체 | 더 맛있는 탄수화물 만들기 | 맛에 중독되다 06 체지방과 비만 체지방이 너무 많거나, 너무 적거나 | 부분 살 빼기가 가능할까? | 어릴 때부터 비만 vs 성인이 되어 비만 | 지방이 잘 붙는 부위는 사람마다 다르다 07 체지방 비율의 측정법과 한계 체지방 비율의 측정법 | 체지방 비율의 함정 | 체지방률과 마른 비만의 누명 | 체지방 분석기 자체의 오차 08 맞는 속설, 틀린 속설 밤에 먹으면 더 살찐다? | 아침을 굶으면 점심을 폭식해서 더 살찐다? | 지방은 운동을 시작하고 30분부터 타기 시작한다? | 생리 직후에 운동하면 살이 잘 빠진다? | 땀을 흘려야 살이 빠진다? | 식물성 음식은 살이 안 찐다? | 오리 기름은 불포화지방이라 많이 먹어도 살이 안 찐다? | 염분을 많이 먹으면 살찐다? 09 현실적인 다이어트 식사 준비 가정식 | 외식 | 간편식 Chapter 03 신진대사와 감량의 로드맵 01 내가 먹는 에너지의 손익계산표 신진대사를 이루는 3요소+α 기초대사량 | 소화 대사량 | 활동대사량 | 적응적 대사량 에너지 소비량을 늘리는 법 02 열량 계산하는 법 내가 먹은 열량, 얼마나 정확히 알고 있을까? | 영양 성분표 읽는 법 | 외식 열량을 대층 계산하는 방법 03 얼마나 먹어야 하나? 1단계 : 나의 유지 열량 파악하기 | 2단계 : 얼마만큼 줄일까? | 3단계 : 어디서 줄일까? 04 좋은 다이어트는 느리게 빠진다 현실적인 감량 속도 | 빠른 감량의 정체는 뭘까? | 좋은 다이어트, 나쁜 다이어트 구분하는 법 05 남자 vs 여자, 다이어트 대전의 승자는? 여자와 남자의 다이어트 생리학 | 생리 주기 문제 | 기아 적응 속도 | 출산에 따른 체형 변화 06 폭식했는데 어떡하죠? 폭식 후 체중이 ‘너무 많이’ 불어나는 이유 | 가짜 체중을 되돌리는 몸 화장법 Chapter 04 최근에 등장한 다이어트법 01 현대적인 영양 기준의 등장 02 저지방 다이어트 일반적인 저지방 다이어트 | 고탄수화물 저지방 다이어트 03 저탄수화물 다이어트 애트킨스 다이어트 | 케토제닉 다이어트 | 일반적인 저탄수화물 다이어트 | 팔레오 다이어트 04 플렉시블 다이어트 05 칼로리 사이클링 06 간헐적 단식 07 내겐 어떤 다이어트가 맞을까? 02 다이어트와 운동 Chapter 05 체중 관리를 위한 운동 이론 01 몸의 에너지와 심박수 몸에서 쓰는 에너지 | 심폐능력과 분당 심박수 | 심박수의 측정 | 운동 강도를 판정하는 법 | 자세에 따른 변수 02 저강도 운동 : 지방을 많이 태운다는 사기극 저강도 운동의 민낯 | 무엇이 타느냐에 속지 마라 | 체력 향상이라고? | 지루함은 어떡하죠? | 식욕 문제 | 저강도 운동이 필요할 때 03 고강도 운동 : 운동 후에도 에너지를 태워라 운동 후 추가 연소 | 운동 후에도 에너지를 태우는 조건 | 컨디셔닝 운동, 무산소와 유산소의 콜라보레이션 04 공복에 운동하면 살이 더 잘 빠질까? 공복 운동이 뭔가요? | 공복 운동이 체지방은 더 태우지만 | 공복 운동을 할까, 말까? | 현실에서의 적용 05 인터벌 트레이닝 인터벌 트레이닝을 어떻게 구성할까? | 전형적인 인터벌 트레이닝 루틴들(파트렉 · 장주기 인터벌 트레이닝 · 고강도 인터벌 트레이닝 · 타바타 방식 · 기발라 방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