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세계적 권위를 지닌 자연과학자 최재천 교수가 젊은 세대에게 전하는 체험적 메시지! 자연과학과 인문학을 넘나드는 통섭의 지식인, 글 잘 쓰는 과학자로 유명한 최재천 교수가 젊은 시절 겪었던 꿈과 방황의 이야기를 《과학자의 서재》라는 제목의 에세이로 펴냈다. 서울에 살면서도 마음은 늘 고향 강릉의 자연을 그리워했던 유년기, 공부보다는 문학과 미술에 심취했던 청소년기, 뒤늦게 생물학에 매력을 느끼고 공부에 매진해 세계적인 과학자로 성장한 청장년기의 모습 등이 시간순으로 그려지는 가운데 매 시기 최 교수에게 지대한 영향을 끼쳤던 의미 있는 책들이 소개되고 있다. 시인과 조각가의 꿈을 키우다 과학자가 된 최재천 교수의 이야기는 젊은 세대가 흔히 겪는 방황에 대해서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방황은 실패가 아니며 ‘자기답게 사는 길’을 찾기 위해서는 그 과정이 꼭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전해주기 때문이다. 대가의 어린 시절과 학문의 길을 살펴봄으로써 독자들도 자신의 꿈과 미래를 설계하고 점검해보는 계기가 될 것이다. 미래 세대에게 비전을 제시하는 ‘우리 시대 아이콘의 서재’ 시리즈 제1권! ‘롤모델 시리즈’에 이어 명진출판에서 새롭게 내놓은 ‘우리 시대 아이콘의 서재’ 시리즈는 미래 세대에게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인물들에게 독서 경험을 중심으로 한 지적 탐사 과정과 성장기를 직접 들어봄으로써 인생 설계에 지침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기획되었다. 서재 시리즈의 첫 권은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최재천 교수의 이야기다. 하버드대 출신의 세계적인 과학자라는 권위를 얻기까지 그가 어떤 환경에서, 어떤 생각을 품으며 자랐는지, 그의 내밀한 경험과 가슴속 추억을 만나볼 수 있는 특별한 책이다. 자연과학과 인문학을 넘나드는 통섭의 지식인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최재천 교수가 2005년 에드워드 윌슨의 저서 《Consilience》를 번역해 내면서 널리 알려진 ‘통섭’이라는 개념은 이제 경제, 정치, 문화 전반에서 통용되고 있으며 미래 인재들에게 꼭 필요한 자질로도 언급되고 있다. 자연과학 연구자이면서도 인문학을 비롯한 다양한 학문을 섭렵해가며 타 분야 연구자들과 끊임없이 소통하고 있는 최 교수는 우리 시대 대표적인 통섭형 지식인이기도 하다. 그의 어린 시절 독서 체험과 문예반, 미술반 활동이 잘 그려져 있는 《과학자의 서재》는 바로 이런 통섭형 자질이 어떻게 길러져왔는지를 잘 보여주는 책이다. 글 잘 쓰는 과학자가 되는 비결은 무엇일까? 한국처럼 문과와 이과의 구별이 엄격한 문화에서 ‘글 잘 쓰는 과학자’는 흔치 않은 존재다. 이 책을 읽다 보면 최재천 교수가 ‘글 잘 쓰는 과학자’라는 타이틀을 얻게 된 이유가 분명해진다. 간단히 말하면 어릴 적의 독서 경험과 문예반 활동, 그리고 미국 유학 시절의 글쓰기 훈련 등이 현재의 그를 만들어준 것이다. 글 쓰는 과학자로 살고 있기에 더 행복하다는 그의 남다른 철학과 방법론을 이 책에서 만나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