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옮긴이 해제 머리말 제1장 ‘권력의 악행에 대한 무저항’의 사상사 퀘이커파의 무저항 사상 | 게리슨의 무저항 사상 | 발루의 무저항 사상 | 발루의 무저항 교리 문답 | 헬치츠키의 무저항 사상 | 디몬드의 무저항 사상 | 무서의 무저항 사상 | 러시아의 양심적 병역 거부 제2장 ‘권력의 악행에 대한 무저항’에 관한 비판 에 대한 종교적 비판의 무책임성 | 진실한 기독교 신앙에 대한 성직자와 당국의 잘못된 태도 | 여러 비판의 공통된 문제점 | 러시아 자유사상가들의 비판 | 외국인 자유사상가들의 비판 | 자유사상가들이 오해한 그리스도의 가르침 제3장 기독교도의 기독교 오해 대다수가 오해한 기독교 교리 | 그리스도 최초의 가르침 | 교회에 의한 기독교의 신비화 | 그리스도가 교회를 세웠을 리 없다 | 교리 문답에 따른 교회의 정의 | 교회는 언제나 여럿이고 서로 적대적이다 | 이단이란 무엇인가? | 이단에 관한 아놀드의 견해 | 교회들은 인민을 분열시키고 기독교에 적대적이다 | 러시아 교회가 하는 일 | 산상수훈인가, 사도신경인가 | 러시아 정교회는 기독교의 진정한 의미를 숨긴다 | 다른 나라 교회도 마찬가지다 | 교회 교리를 파괴하는 현대 생활의 외부 조건 | 교회의 최면술과 기만술 제4장 학자들의 기독교 오해 종교란 무엇인가? | 세 가지 인생관 | 기독교적 인생관에 대한 학자들의 오해 | 기독교의 무저항 교리에 대한 학자들의 오해 | 학자들이 주장하는 사회적 인생관과 신적 인생관의 차이 | 학자들의 첫째 오해_실천 불가능성 | 산상수훈의 다섯 가지 계율 | 학자들의 둘째 오해_신에 대한 봉사를 인류에 대한 봉사로 대체 | 인류란 무엇인가? 제5장 생활과 양심의 모순 생활을 바꾸어야 기독교를 받아들일 수 있다 | 기독교적 인생관은 생활의 진행에 의해 필연적으로 선택된다 | 빈부 갈등의 경제적 모순 | 정치적 모순은 더욱 심각하다 | 국제적 모순과 동시대인에 의한 인식_코마로프스키, 페리, 부스 | 국제적 모순과 동시대인에 의한 그 인식_파시, 로슨, 윌슨, 바틀렛, 디푸르니, 모네타 제6장 전쟁 비판 생활과 양심의 모순 | 평화회의 | 맥심 드 캄프의 주장 | 중재 법정의 가치와 군대의 감축 | 모파상의 전쟁관 | 로드의 전쟁관 | 두스의 전쟁관 | 클라레티의 전쟁관 | 졸라의 전쟁관 | 드 보그의 전쟁관 제7장 병역의무의 문제 병역의무는 사회적 인생관에 내재된 모순의 극치다 | 권력의 기초는 신체적 폭력이다 | 권력은 폭력을 수행하기 위해 특별한 기구를 필요로 한다 | 노동자 대중에 대한 권력의 태도 | 카프리비의 연설 | 군대는 지배 계급의 이익을 위해 필요하다 | 병역의무는 국가가 보존해야 하는 사회생활의 이로움을 파괴한다 | 국가는 과연 필요한가? | 국가에 대한 불복종과 복종의 비교 제8장 무저항 수용의 필연성 기독교는 새로운 인생관으로 소수에 의해 인정되었다 | 무저항 수용의 필요성에 대한 예언 | 분쟁을 조정하는 두 가지 방법 | 예수의 가르침_권력의 악행에 대한 저항 금지 | 폭력을 사용하는 네 가지 방법_협박, 매수, 최면, 군사적 강압 | 국가 폭력은 폭력적 국가 전복으로 억제될 수 없다 | 권력의 악행에 대한 저항과 무저항의 문제 | 구원의 시기와 방법 | 이교적 인생관의 사회는 반드시 사라진다 | 현대 모순의 극치인 징병제 | 이교적 생활은 극한에 도달해 전멸할 것이다 제9장 기독교적 인생관의 수용이 유일한 해방 기독교인의 외부적 생활은 아직도 이교적이다 | 인간은 오직 기독교를 통해서만 권력으로부터 해방된다 | 해방은 생활의 외부적 조건이 아니라 인생관이 변할 때 가능하다 | 국가에 의한 물질적 상태의 변화라는 구원 추구는 잘못된 것이다 | 인민은 스스로를 노예로 만든다 | 인민의 자유는 오로지 개인의 자유를 통해서만 얻을 수 있다 | 러시아의 양심적 병역 거부자들 | 다른 나라의 양심적 병역 거부자들 | 충성 선서, 세금 납부, 통행권, 경찰의무, 병역의무에 관한 러시아인들의 불복종 제10장 국가는 필요 없다 국가의 필요성에 대한 논쟁 | 기독교인의 국가 불필요론 | 보수주의자의 국가 옹호론 | 가장 악한 자는 권력자다 | 권력자의 변명 | 폭력은 기독교에 의해 감소된다 | 외부적 방법에 의한 진리 인식 | 여론과 폭력 | 소위 야만인에 대한 기독교의 영향 | 범죄자에 대한 기독교의 영향 | 두려워해서는 안 된다 제11장 기독교적 인생관이 폭력을 끝낸다 폭력은 여론으로써 파괴될 수 있다 | 상류 계급의 변화 | 폭력 기관의 변화 | 폭력적 국가 기관을 두어야 하는가? | '벌거숭이 임금님'의 이야기 | 구원은 인민 자신에게 달려 있다 제12장 신의 나라는 네 안에 있다 폭력에 기초한 특권 | 군대 | 권력의 노예에서 탈출하라 | 과학적 개선 방법의 문제점 | 참된 자유 | 반성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