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인간의 존엄성이 무시된 사회는 결코 행복할 수 없다 사회의 불편함을 외면하지 않고 드러내야 하는 이유 과거에 비해 한국사회는 더 많은 것을 소비할 여유가 있고, 모든 것이 편리하게 발전했으며, 누구에게나 성공의 기회가 열려 있는 살기 좋은 나라가 되었다고 말한다. 하지만 ‘누구나’ 인간의 존엄성을 지키며 좋은 세상이 주는 혜택과 기회를 공평하게 누리고 성공을 꿈꿀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행복의 기회를 잡지 못하는 환경과 조건 속에 성장한 사람에게 “행복은 마음먹기에 달렸다”는 말은 적용될 수 없다. 점차 심화되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소득 격차에 따른 불평등을 줄이자는 말은 무시되었고, 소외된 사람들을 향한 공감과 연대는 공허한 외침으로 공중에 흩어졌다. 이 책은 읽다 보면 우울하지만, 결코 간과할 수 없는 한국사회의 여러 단면을 이야기한다. 저자는 세상이 좋아졌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는 게 아니라, 그만큼 더 위기 상황에 놓인 현실을 외면하는 게 문제라고 지적한다. 최첨단 시설을 갖춘 노동환경이 창문도 없는 공간에서 더위로 생을 마감한 노동자의 비극을 덮을 수 없다. 세련되고 편리한 주거환경이 임대아파트에 사는 사람의 수치심을 없앨 수 없다. 무엇이든 배달되는 편리함이 하루 열다섯 시간을 배달하는 운전자의 고충을 해결하지 못한다. 이처럼 보고 싶은 것만 보려는 낙관적인 자세만으로 세상은 더 나아질 수 없다. 우리의 인생은 ‘수요와 공급’ 법칙을 적용할 수 없다 능력주의와 학력주의에 길들여진 한국사회의 현실 ‘효율성’만 강조하는 사회는 모든 것을 ‘수요와 공급’의 법칙에 따라 적용시킨다. 고등학교에서는 명문대 진학을 목표로 교육 커리큘럼을 짜고, 죽도록 노력해서 명문대에 입학한 선배들의 무용담을 신화화한다. 학력주의가 정당화되고 능력주의가 신성하게 포장되면 학생들이 ‘그럴만한 이유가 있으니 실패하는 것 아니냐’는 철학을 내면화하게 된다. 교사들은 불평등을 줄이는 안목을 키울 교육을 고민하지 않고, 불평등에서 벗어나는 묘수만 가르친다. 그렇게 ‘자기 성장’에만 집중하는 교육은 대학이라고 해서 다르지 않다. 컴퍼니가 된 캠퍼스는 온갖 스펙과 관련된 광고들로 넘쳐 있고, 기업 설명회와 기업에 합격한 사람들 명단이 적힌 현수막만이 나부낀다. 이런 분위기 속에 치열한 경쟁을 거쳐 정규직이 된 학생들은 학력차별을 노력의 결과라고 생각한다. 최근 이슈였던 인천국제공항 정규직 전환 문제를 비롯해 비정규직 노동자를 정규직으로 전환하려는 정책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기회와 과정의 평등 YES! 결과의 평등 NO!” 팻말을 들고 노력한 만큼 권리의 우선순위를 따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시험 없는’ 정규직 전환은 평등, 정의, 공정의 가치를 훼손했다고 하면서도, 정작 비정규직 노동자의 인생이 평등하지 않고 정의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을 공정하지 않다고 바라볼 생각은 하지 않는다. 불편하다고 말할수록 세상은 더 좋아진다 차별, 불평등, 혐오, 무례함을 둔감하게 넘기지 않는 법 저자는 차별과 무례함의 대상이 먼 곳에 있지 않다는 것을 일깨워준다. 영혼까지 끌어모아 아파트를 산 사람은 주변에 장애인 편의시설이나 임대아파트가 들어서면 집값이 떨어진다며 결사반대한다. 아이가 있는 부모들은 ‘노키즈존’을 피해 쉴 곳을 찾아 한참을 헤매야 한다. SNS에 고독한 모습의 셀카를 올리면 ‘좋아요’로 환호하지만, 현실에서는 외향적이지 않다는 이유로 사회 부적응자라는 딱지를 쉽게 붙인다. 청소 노동자가 파업하면 대체 인력이 얼마든지 있으니 굳이 월급을 올릴 필요가 없다며 무시한다. 이제 가진 자와 없는 자의 균열은 기본이고, 없는 자들 사이에도 의견이 뿔뿔이 흩어진다. 노동이 위계화, 파편화된 상황에서 연대하고 권리를 주장할 수 있는 구조는 형성될 수 없다. 이런 분위기가 일상이 되면 차별, 불평등, 혐오, 무례함에 둔감해질 수밖에 없다. 우울하고 암울한 현실을 외면하지 않고, 불편한 것들에 계속 목소리를 낸다면 세상은 더 좋아질 것이다. 개인이 노력한 만큼 부유하고 행복할 수 있다는 희망 고문 대신, 비관적인 상황을 드러내는 데 주저하지 않는다면 누구나 평범하게 살아도 행복해질 수 있다. 이 책을 통해 한국사회의 불편한 현실을 직시하고, 비상식적인 사회를 둔감하게 넘기지 않는 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