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모국어를 잃어버렸던 언어심리학자, 언어의 탄생과 소멸을 기록하다 우리는 날 때부터 모국어를 지정받는다. 한국에서 태어났다면 한국어가, 미국에서 태어났다면 영어가 모국어가 되는 식으로. 이는 선택의 영역이 아니다. 더구나 언제 어떻게 배웠는지도 모르게 모국어에 유창해진다. 어른이 되어서 제2외국어를 배워본 사람이라면 알 것이다. 몰랐던 언어를 배우기는 쉽지 않다는 것을. 얄궂게도 유창성은 투자한 시간과 꼭 비례하는 것도 아니라서, 원어민처럼 그 말로 생각하고 꿈을 꾸기까지는 얼마간의 타고난 감각이 필요한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일단 모국어가 아닌 다른 언어를 습득하고 완전한 ‘이중언어 사용자’가 된 이후에는 어떨까. 모국어와 제2언어가 자아를 사이좋게 나눠 가질까? 언어와 자아는 어떻게 연결되어 있을까? 만약 이중언어를 사용한다면 자아도 두 개로 나뉘게 될까? 혹시, 우리의 머릿속에서 두 언어가 주인공 자리를 두고 다투는 건 아닐까? 그러다 더 힘이 센 언어가 더 약한 언어를 밀어내고, 그것도 아주 영영 밀어내고, 한 가지 언어로만 말하게 될 수도 있을까? 『이중언어의 기쁨과 슬픔』을 쓴 저자 줄리 세디비는 언어심리학자다. 체코슬로바키아에서 태어나 두 살 때까지 그곳에 머물다가, 오스트리아와 이탈리아를 거쳐 캐나다 몬트리올로 가족 모두가 이주했다. 체코어, 독일어,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영어. 인간이 가장 극적으로 변화하는 유년기에 이렇듯 다채로운 언어를 온몸으로 통과해낸 저자는 운명처럼 언어심리학에 이끌렸다. 그중에서도 체코어는 그녀의 모국어로서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캐나다에 정착한 이후 ‘주류 언어’인 영어를 배우기 시작하면서 ‘비주류 언어’이자 ‘이민자의 언어’인 체코어는 자연스레 뒷전으로 밀렸고, 어느새 기억 저편으로 사라져버렸다. 체코어의 죽음을 애도하는 일은 그녀의 아버지가 고향 땅에서 숨을 거둔 후부터 시작되었다. 그녀가 모국어로―비록 몇 가지 단어를 서툰 발음으로 드문드문 말하는 수준이었지만―대화를 나누던 유일한 사람이었던 아버지. 그제야 비로소 저자는 모국과 자신을 이어주던 닻이 진정 풀리고 말았음을 체감한다. “아버지를 애도하면서 동시에 나는 앞으로의 삶에서 느낄 체코어의 침묵을 슬퍼했다. 내게는 오직 체코어로만 말할 수 있는 부분, 영어로는 형제자매나 어머니에게도 표현하기 힘든 어떤 부분이 있음을 깨달았다. 갑자기 나는 허공에 뜬 기분이 들었다. 내 어린 시절뿐 아니라 나를 형성한 문화 전체에서 닻이 풀린 느낌이었다.”(12) 이 책은 그리하여 모국어 상실의 메커니즘과 언어 간의 권력관계를 탐구하는, 동시에 수없이 스러져간 소수민족들의 ‘약한 언어’ 위로 수북이 쌓인 먼지를 털어내는, 애도 일기에 다름 아니다. “언어 상실의 중심에는 잔인한 역설이 있다. 한 언어의 약화는 종종 더 나은 삶─풍요, 안전, 주류 문화로의 진출─을 향한 꿈으로 인해 야기된다. 지금까지 살아 있는 수천 개의 언어 중 단지 몇 가지만이 사회에서 대접받는 위치와 특권을 누린다. 세력이 약한 언어 사용자들은 자신들의 생활과 정신에서 이들 우세한 언어에 자리를 양보하는데, 실제로는 더 나은 삶과 자신의 정체성을 맞바꾸는 것과 다름없다.”(13) 그리고 “우세한 언어”는 대개 영어다. 많은 사람들이 모국어와 영어를 둘 다 쓰는 이중언어 사용자로 살아간다. 그리고 영어를 배우는 시기가 이르면 이를수록, 모국어는 더욱 쉽고 편리하게 지워진다. 이 과정에서 개인의 자아는 미묘하게 분리된다. “줄리 세디비는 언어의 탄생과 죽음, 부활을 기록하는 필경사이다. 그녀가 꿈꾸는 다성 사회는 카오스다. 가장 아름다운 카오스.” - 김주혜, 『작은 땅의 야수들』 저자 사라지는 모국어의 대부분은 “세력이 약한 언어”이다. 에야크어, 쇼쇼니어, 블랙풋어, 미치프어……. 세상에는 너무나 다양한 언어가 있고, 우리는 아마 지구상 모든 언어가 어떤 소리를 내는지 미처 다 들어보지 못한 채 죽을지도 모른다. 각각의 언어에는 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 고유의 정서와 역사, 문화, 통념이 깃들어 있다. 예를 들어 트와치어는 “마른 버드나무 호수” “검은 흙 연못” “진들딸기 호수 끝 썰매길 종착지” “작은 물고기들의 호수”를 뜻하는 단어들을 가지고 있다. 트와치어 사용자들은 대부분 수로 위로 배를 타고 다니며 생활하기 때문에, 직관적으로 알아챌 수 있는 지리와 풍광을 묘사하는 것이 그들 삶에 중대한 일이었기 때문이다. 또 다른 예로, 이이스카어 사용자들은 예로부터 그 지역의 계절 리듬에 맞춰 동물이 나타나고 사라지는 시기, 사냥에 적합한 시기 등을 구분지어 왔다. 그래서 “검독수리 달” “거위 달” “사슴 발정기 달” 같은 절기가 존재한다. 흔히 말하길, 한국어 사용자가 자주 쓰는 단어인 “정(情)” “한(恨)” 등의 단어는 외국어로 옮기기 힘들다. 그 단어들 안에 어쩌면 한국인이라면 모두 어렴풋하게나마 공유하는 고유의 정서가 서려 있기 때문일 것이다. 저자는 이렇듯 각 언어가 가지는 무구한 역사가 얼마나 중요하고 또 그 자체로 아름다운지 노래한다. 그리고 다양한 언어가 공존하는 사회를 다성음악에 비유하며, “다성(多聲) 사회”(173)를 이루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다성 사회를 부정적으로, 심지어는 위협적으로 바라보는 사람들도 있다. 어느 날 저자는 캘거리 중앙도서관에서 일을 하던 중, 도서관 직원이 어떤 남자에게 가서 음악 소리를 조금 줄여달라고 요청하는 모습을 보게 된다. 그 남자는 이렇게 대꾸한다. “왜 내가 소리를 줄여야 하죠? 나는 여기 이 사람들이 온갖 나라 말로 지껄여대는 소리를 듣지 않으려고 음악을 트는 것뿐이에요. 저 사람들한테 가서 그들의 언어를 줄여달라고 하지 그래요?”(169) 보수적인 이민 규제 정책을 지지하는 미국인은, 길거리에서 들려오는 스페인어를 불편해하고 심지어 두려움을 느낀다. 한국인이 길거리에서 들려오는 소수 언어를 낯설어하고 그 불편한 감정을 사용자에게까지 전이시키는 것도 마찬가지 현상이다. 하지만 저자가 인용하는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 불신은 이웃과 거의 또는 전혀 이야기를 하지 않는 사람들 사이에서만 팽배했고, 이웃과 잘 어울리는 사람들은 그런 주저함을 보이지 않았다.”(207) 단순히 다른 언어 사용자를 ‘보는 것’만으로도 다양성에 대한 불신이 줄어든다는 뜻이다. 그리고 이유 없는 불신을 사그라트리기 위해서는 공동체적 노력이 필요하다. “사람들이 자신의 여러 모습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우리가 강요하지 않을 수 있을까? 사람들이 가진 가족, 커뮤니티, 언어와의 끈을 지지하면서 주류 사회에서 차단되지 않도록 할 수 있을까? 그들의 언어를 단지 유용한 경제적 자산이 아닌, 자기가 누구인지를 구성하는 대체 불가능한 측면으로 구축할 수 있을까? 두 개의 마음을 가진 사람들, 서로 다른 세계의 번역자들, 중간자들, 두 가지 언어로 기억하고 삶을 사는 사람들, 충성심이 하나 이상의 집단에 고루 퍼져 있는 사람들을 위해 우리가 정말 공간을 마련할 수 있을까? 우리가 할 수 있다면, 다양성에 따르는 최악의 위험은 피하면서 다양성이 제공하는 풍성한 것들을 얼마간 수확할 수 있을 것이다.”(209) 언어가 기억되고 사라지는 방식을 추적하는 언어심리학자의 끈질긴 시선, 당신의 모국어는 안녕한가요? 아버지를 잃고 몇 년 후, 저자는 체코를 찾는다. 오랜 세월 고향 땅에서 터전을 짓고 대를 이어 온 친지를 만나고, 그들의 문화와 언어를 ‘단기 여행자’로서가 아닌 당사자로서 바라본다. 도착한 직후 그녀의 체코어는 “누더기”(227) 같았지만, 한 달이 흐르자 잊고 있었다고 생각했던 체코어 단어가 불쑥불쑥 일상생활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낯선 사람과 대화를 나눌 때 잠깐 동안은 원어민이라고 여겨지기도 했다. “체코어를 다시 배우는 것이 내게는 예상하지 못했던 언어적 초능력의 발견처럼 느껴졌다. 생각에 형태를 입히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