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둠의 심장

ジョゼフ・コンラッド · 小説
240p
購入可能なサービス
content
評価する
3.9
平均評価
(4人)

폴란드 태생이지만 영문학에서 빼놓을 수 없는 작가의 반열에 오른 조지프 콘래드의 대표작. 시인이자 현재 가장 주목받는 영문학 번역가인 황유원이 ‘어둠의 심장’이란 좀 더 자연스러운 제목을 붙였고, 또한 오늘날의 독자들이 깊고 짙은 콘래드 문체의 숲을 부드럽게 통과할 수 있도록 새롭게 번역했다. 표지는 양장본 재킷을 벗기면 어둠의 심장부로 빨려 들어가는 입구인 듯한 눈동자를 마주할 수 있게 구성했다. 《어둠의 심장》은 증기선 선장이 된 ‘말로’가 어느 강에서 듣게 되는 ‘커츠’라는 전설적인 인물을 만나러 가는 여정을 그린다. 어두운 인간의 본성과 이런 인간의 조건에 대한 생생하고도 비판적인 묘사가 담겨 있다. 탈식민주의, 인종주의, 심리 비평, 생태주의, 페미니즘 비평 등 오늘날에도 다양한 해석 틀로 읽을 수 있는, 가장 생생한 고전이다. 미국 대학위원회 SAT 권장도서, 《뉴스위크》 선정 100대 명저이자 영화 〈지옥의 묵시록〉의 원작 소설로도 알려져 있다. 서평가이자 문학박사인 정희진의 말을 빌리면 “제국주의 주체의 필연적 분열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걸작”이기도 하다.

著者/訳者

目次

어둠의 심장 부록 윌리엄 블랙우드에게 보낸 편지 《청춘과 다른 두 이야기》 서문 조지프 콘래드-버지니아 울프 콘래드 씨에 대한 대화-버지니아 울프 해설 | 저 아프리카 숲의 어두운 심장 소리 발문 | 《어둠의 심장》, 근대성의 스키조프레니아

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인간의 어두운 본성을 드러낸 대작이자 영화 〈지옥의 묵시록〉의 원작 소설 폴란드 태생이지만 영문학에서 빼놓을 수 없는 작가의 반열에 오른 조지프 콘래드의 대표작. 콘래드 사망 100주기를 맞아 초판 한정 양장본으로, 시즌제인 휴머니스트 세계문학에서 처음으로 선보이는 단독 출간작이다. 시인이자 현재 가장 주목받는 영문학 번역가인 황유원이 ‘어둠의 심장’이란 좀 더 자연스러운 제목을 붙였고, 또한 오늘날의 독자들이 깊고 짙은 콘래드 문체의 숲을 부드럽게 통과할 수 있도록 새롭게 번역했다. 표지는 양장본 재킷을 벗기면 어둠의 심장부로 빨려 들어가는 입구인 듯한 눈동자를 마주할 수 있게 구성했다. 《어둠의 심장》은 증기선 선장이 된 ‘말로’가 어느 강에서 듣게 되는 ‘커츠’라는 전설적인 인물을 만나러 가는 여정을 그린다. 어두운 인간의 본성과 이런 인간의 조건에 대한 생생하고도 비판적인 묘사가 담겨 있다. 탈식민주의, 인종주의, 심리 비평, 생태주의, 페미니즘 비평 등 오늘날에도 다양한 해석 틀로 읽을 수 있는, 가장 생생한 고전이다. 미국 대학위원회 SAT 권장도서, 《뉴스위크》 선정 100대 명저이자 영화 〈지옥의 묵시록〉의 원작 소설로도 알려져 있다. 서평가이자 문학박사인 정희진의 말을 빌리면 “제국주의 주체의 필연적 분열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걸작”이기도 하다. 조지프 콘래드를 읽는 새로운 정본 가장 충실하고 완전한 《어둠의 심장》 읽기 《어둠의 심장》의 원제는 ‘Heart of Darkness’다. 국내에는 지금까지 ‘암흑의 핵심’, ‘어둠의 심연’, ‘어둠의 속’ 등 각기 다른 뉘앙스의 제목으로 번역돼왔다. 황유원 번역가는 ‘어둠의 심장’을 콘래드 사망 100주기를 맞아 출간하는 새로운 번역본의 제목으로 제안한다. ‘Heart of Darkness’는 소설의 무대로 짐작되는 ‘콩고 내륙의 빽빽한 초목’을 가리키는 동시에, ‘인간의 광기’, 즉 물리적 영역과 심리적 영역을 모두 가리키는 표현이기 때문에 ‘어둠의 심연’보다는 ‘어둠의 심장’이 더 적절하다는 것이다. 말로가 “정복자 어둠의 심장박동처럼 규칙적이고 둔탁한 북소리”, “북소리와 내 심장이 뛰는 소리를 혼동하고는 그것의 규칙적이고 차분한 소리에 만족감을 느꼈던 일도 기억나는군” 같은 자신의 ‘심장 소리’를 야만인들의 ‘북소리’와 중첩시키는 부분이 몇 차례 등장하는데, 이는 문명과 야만, 백인과 흑인 등의 경계를 무화시키는 주요한 설정 가운데 하나라는 점도 근거로 들었다. 아울러 원문의 문장을 자르지 않고 유지하면서도 반복되는 종결어미를 섬세하게 변주해 작품의 가독성을 높였고, 오늘날의 어휘 감각에 맞는 정확한 문장으로 이 소설이 왜 영문학의 위대한 전통을 확립한 작품으로 평가받는지 고스란히 보여준다. 소설과 연관된 다양한 텍스트를 부록으로 수록해 가장 충실하고 완전한 《어둠의 심장》 읽기가 되도록 구성했다. 콘래드가 《어둠의 심장》을 처음 연재했던 《블랙우드 매거진》의 발행인에게 집필 계획을 밝히며 보낸 〈윌리엄 블랙우드에게 보낸 편지〉와 《어둠의 심장》에 대한 유일한 작가 후기라고 할 수 있는 〈《청춘과 다른 두 이야기》의 서문〉을 실었다. 콘래드가 세상을 떠나자 작가로서의 그를 추모하고 조명한 버지니아 울프의 에세이 〈조지프 콘래드〉와 한 남녀가 콘래드에 대해 솔직하게 대화하는 형식이자 버지니아 울프가 시도한 독특한 방식의 비평이라고 평가받는 〈콘래드 씨에 대한 대화〉도 포함했다. 마지막으로 《어둠의 심장》에 대한 서평가이자 문학박사인 정희진의 발문을 통해 말로와 함께 어두운 강을 거슬러 오르는 오늘날의 우리가 결국 가닿는 곳이 어디일지 사유할 수 있게 도왔다. ‘어둠의 심장’ 탄생 배경, “‘heart’는 어쩌면 좋단 말인가?” “번역은 책장을 펼치기도 전에 제목에서부터 막히고 말았다. ‘darkness’야 당연히 ‘어둠’으로 옮기면 되겠지만 ‘heart’는 어쩌면 좋단 말인가? ‘심연’으로 옮기는 게 가장 무난하고 문학적이겠으나 ‘심연’의 ‘연(淵)’이 ‘연못’을 뜻한다는 게 마음에 걸렸다. ‘heart of darkness’는 작품의 주요 배경을 이루는 ‘콩고 내륙의 빽빽한 초목’을 가리키는 동시에 ‘인간의 광기’, 즉 물리적 영역과 심리적 영역을 모두 가리키는 표현이기 때문이다. 또한 숲의 북소리는 ‘심장 소리’와 공명하면서 작품 내내 울려 퍼지고, 마지막에 가서는 “정복자 어둠의 심장박동”까지 언급된다. ‘heart’가 글자 그대로 ‘심장’의 뜻으로도 사용되는 것이다. 《어둠의 심장》을 다 읽은 후 지금도 마음속에, 아니 귓가에 남아 있는 것은 한밤중에 쿵, 쿵 고동치며 들려오는 저 아프리카 숲의 어두운 심장 소리다. 나는 아프리카 숲에서 울리는 북소리를 실제로 들어본 적이 없지만 심장에 손을 가져간 뒤 눈을 감으면 자연히 그 북소리를 들을 수 있었다. 그러자 ‘heart’를 ‘심장’ 말고 다른 단어로 옮기기란 불가능해졌다. 사실 우리말로는 ‘심장’보다는 ‘심장부’가 좀 더 자연스러운 역어일 것이다. 하지만 독자들이 책을 덮은 후에도 ‘어둠의 심장이 뛰는 소리’를 듣게 해주기 위해서는 ‘어둠의 심장부’보다는 ‘어둠의 심장’이 훨씬 더 나아 보였다. 이런 이유 말고도 ‘어둠의 심장부’는 너무 설명적으로 들리는 반면, ‘어둠의 심장’은 좀 더 시적으로 들렸다. 한국어를 모르는 콘래드도 이런 선택에 분명 흡족해하리라 확신하며, 콘래드 사후 100주기를 기념하며 출간된 이번 판본을 통해 ‘인간의 입술 없이 강의 무거운 밤공기 속에서 스스로 생겨난 듯한 이 이야기가 불러온 희미한 불안감’을 만끽하시길 바란다.” _황유원 제국주의라는 ‘지옥의 묵시록’에서 찾아 헤매는 인간의 조건 친척 아주머니의 도움으로 무역회사 소속의 증기선 선장이 된 말로는 업무차 어느 강에 도착한다. 그곳에서 커츠에 대해 듣게 되는데, 그는 원주민에게 막대한 양의 교역품을 끌어내어 그 지역 무역량의 상당 부분을 책임지고 있는 인물이다. 승진과 사회적 출세가 확실히 보장되어 있는, 그야말로 ‘전설적인 인물’이지만 그를 만나러 가면서 그에 대한 무성한 소문 역시 듣게 된다. “아주 중요한 사업장 하나가 위험”에 빠졌으며, 그곳의 책임자인 “커츠 씨가 병들었다는 소문”. 예상치 못한 원주민의 공격을 받은 말로와 그 일행은 “커츠 씨도 지금쯤이면 벌써” 죽었을 거라며 낙담한다. 이런 와중에도 말로는 커츠의 사업장으로, “커츠를 향해서”, 그러니까 “어둠의 심장부 속으로 점점” 더 깊이, 끈질기게, 나아가는데……. 과연 말로는 커츠를 만날 수 있을까? 그리고 커츠를 향해 가는 길은, 커츠와 말로의 만남은 어떤 의미일까? 어둠의 심장부에서 커츠와 맞닥뜨린 말로는 경악한다. 커츠는 상아로 대변되는 물욕에 정신이 팔려 영혼마저 잃어버린다. 사람을 물건으로 여기고 자신에게 불복종하면 제거한다. 자신은 그럴 권리가 있다고 믿어 의심치 않는다. 말로는 커츠의 속이 “텅 비어” 있다는 것을 알게 되고, “당신은 파멸하고 말 겁니다”라고 말한다. 이 말이 입증되듯 열병을 앓던 커츠는, 마치 우리는 볼 수 없는 ‘어둠의 심장’을 바라보고 있다는 듯 이렇게 중얼거린다. “끔찍하구나! 끔찍해!” 무엇이 문명이며, 무엇이 야만인가. 둘의 경계가 흐려지면서 드러나는 건 가장 야만적인 커츠의 민낯이다. ‘어둠의 심장’이라는 강력한 상징을 지닌 이 책은 인간의 어두운 본성에 대한 통렬한 성찰이자 타자의 존재를 부정하려는 제국주의적 태도를 이야기할 때 반드시 거쳐야 하는 작품이다. 매번 새롭게 갱신되는 고전이자 가장 최신의 《어둠의 심장》 《어둠의 심장》만큼 다양한 비평적 렌즈로 비춰 볼 수 있는 작품도 드물다. 제국주의와 식민주의의 비인간성을 폭로하는 작품으로 읽히는 것은 물론이고 커츠를 만나러 가는 과정을 ‘무의식으로의 여행’이라고 바라보는 심리 비평, 남성 모험소설에서 주변화되는 여성의 모습을 지적하는 페미니즘 비평도 존재한다.
  • 出典
  • サービス利用規約
  • プライバシーポリシー
  • 会社案内
  • © 2024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