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目次
프롤로그_ 고작 ‘일의 보람’을 위해 몸과 마음을 축내다니…… 너무 바보 같지 않나 1장 “오늘은 볼일이 있어서 정시에 퇴근하겠습니다” ㅡ볼일이 있어야만 칼퇴? 이것이 이상하다, 우리의 노동 방식 도대체 왜 야근이 당연하지? ‘칼퇴’는 전설에만 존재할 뿐…… 슬프도다, 헛된 야근 으리으리한 우리의 의리 “나만 먼저 퇴근할 순 없지……” 유급휴가가 뭐죠? 먹는 건가요? 024 유급휴가를 쓰지 못한다고? 그건 명백한 ‘계약 위반’! 얼굴에 철판을 깐 회사들, 야근수당을 지급하지 않는 건 도둑질 과로사는 살인죄 아니야? ‘사회인’이라는 이상한 단어 ‘사회인의 상식’은 우리를 바보로 만드는 말 “그렇게 뛰어난 서비스를 요구할 거면 월급을 올려주란 말이다” 손님은 손님이지 왕이 아니다 레일을 벗어나면 살아남지 못하는 ‘재도전 불가능’ 사회 그렇다면, 이 사회 자체가 잘못된 것이다 아이고, 우리에게 자아실현의 기회를 주시는 ‘일님’?! ‘일님’의 광신도들 사이에서 살아남기 위하여 2장 “회사 다니는 덕분에 먹고살 수 있는 거지” ㅡ 우리가 일해주니까 회사가 먹고사는 게 아니고? 불합리한 근무 환경을 지탱하는 ‘사축적 사고’ ‘사축’이란 무엇인가? 사축이라 할지라도 그럭저럭 행복하던 시절도 있었다 성실하게 일만 하면 행복해지는 시대는 이미 끝났다 노예형, 좀비형…… 나는 어떤 사축일까? ①‘일할 수 있는 것만으로도 다행이야’ 노예형 사축 ②‘나는 회사와 함께 성장하겠어’ 하치코형 사축 ③‘무슨 일이 있어도 버텨야 해’ 기생충형 사축 ④‘상사에게 잘 보이는 게 최고’ 주머니형 사축 ⑤‘다들 저렇게 바쁜데 너 혼자 퇴근하겠다고?’ 좀비형 사축 우리를 사축으로 만드는 여섯 가지 생각 ①‘보람 있는 일을 하면 그걸로 행복하다!’ ②‘힘들어도 좋으니까 성장하고 싶다!’ ③‘돈을 받는 이상, 프로다!’ ④‘변명은 비겁한 것이다!’ ⑤‘경영자 마인드로 일해야 한다!’ ⑥‘얼마나 노력했는지가 중요하다!’ 3장 “제 꿈은 매일 뒹굴뒹굴하면서 사는 거예요!” ㅡ왜 이런 꿈은 안 된다는 거지? 사축이 태어나는 메커니즘 사실 우리는 초등학교 때부터 사축으로 키워진다 오직 취업을 위해 학교에 다니는 대학생들 취준생은 왜 눈물을 흘릴 수밖에 없는가 영혼을 빼앗기는 신입사원들 직장인의 눈치 게임 이렇게 사축이 완성된다 ①일의 ‘보람’을 가장 중시하는 노동관의 형성 ②치열한 취업활동을 거치며 싹트는 회사에 대한 감사 ③직장에 만연한 동조 압박을 통한 세뇌 4장 “내가 괴롭다고 생각하면 괴로운 거지” ㅡ 그렇다, 중요한 것은 타인이 아닌 자신의 기준과 생각! 사축에서 벗어나기 위한 여덟 가지 가이드 ①회사가 던져주는 ‘보람’이라는 먹이를 무작정 받아먹지 말자 ②괴로우면 언제든 도망쳐도 된다 ③‘경영자 마인드’로 일해봤자 좋은 건 사장뿐이다 ④직장 내 인간관계는 잘 풀리지 않는 것이 오히려 당연하다 ⑤회사는 어디까지나 ‘거래처’라고 생각하라 ⑥노동시장에서 자신의 가치를 객관적으로 파악하라 ⑦부채는 최대한 지지 말라 ⑧‘남들과 똑같이’ 대신 ‘내게 가장 어울리게’ 에필로그_ 일에서 보람을 바라는 사람도, 바라지 않는 사람도 서로를 인정할 수 있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