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추천의 말 4 그림과 표 목록 10 약어 13 일러두기 16 한국어판 서문 17 서문 불로소득 자본주의란 무엇인가 23 지대의 새로운 개념화: 비주류와 주류의 통합 28 불로소득 자본주의에 대한 정치경제적 비판 38 현대 불로소득주의의 다양한 형태 42 불로소득 자본주의, 시공간적 특수성과 일반성 49 서장 영국 불로소득주의의 역사와 새로운 귀환 53 통계로 보는 영국의 불로소득주의 59 신자유주의 거버넌스와 불로소득 친화적 정책 패키지 77 시장 독점력과 거시경제 침체 86 불로소득 자본주의와 불평등 심화: 소득과 부 94 영국의 주택 소유구조와 가계부채 107 1장 기능 없는 투자자: 금융 지대 금융 불로소득자는 어떻게 그리고 왜 되살아났는가 113 정부 지원에 올라탄 금융 불로소득자의 자산 규모 확대 117 금융 불로소득자에게 호의를 베푸는 관대한 조세정책 127 자본 확대에도 금융 불로소득자가 안락사하지 않은 이유 132 넘치는 돈으로 돈을 벌 수 있는 권력의 희소성 145 양적 완화의 자산 가격 상승과 자산 소유 기반 비이자수익의 확대 151 금융기업을 넘어 더 널리 퍼지는 가계의 금융 불로소득주의 158 2장 탄소 신자유주의: 자연자원 지대 자연자원 불로소득주의의 대표 사례 173 자연자원 매장량의 가치 평가의 중요성 176 영국 자연자원 불로소득주의의 제국주의적 성격 183 1970년대 영국령 북해에서 발견된 석유와 가스의 민영화 193 1980년대 석유와 가스에 대한 특혜적 조세제도 구축 199 영국의 석유 ・가스산업은 신자유주의 불로소득주의의 전형 206 북해 세수입을 안전망으로 활용한 ‘탄소 신자유주의’의 탄생 209 탄소자산의 좌초자산화 가능성과 그에 대한 제국주의적 대응 220 3장 에버그린: 지식재산 지대 지식재산권의 정의와 경제적 근거 229 영국 경제에서 차지하는 지식재산권의 가치 236 지식재산권의 중요성과 대차대조표 자본가 243 영국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지식재산권 제도의 확대와 강화 246 지식재산권 보호와 공정경쟁 258 지식재산권 제도 운용과 정부의 역할 260 지식재산 지대와 재정 환경 266 지식재산권과 혁신 270 에버그리닝 전략 276 4장 시장의 창출과 형성: 플랫폼 지대 새롭지 않지만 훨씬 더 중요해진 플랫폼 불로소득주의 285 플랫폼 불로소득자 유형 분류: 중개대상과 수입 모델 291 플랫폼 중개에 의존하는 서비스 다각화와 수입 창출 299 영국 정부의 우호적 정책과 디지털 플랫폼 불로소득자의 번영 310 네트워크상의 타고난 독점자와 플랫폼의 공동체 쥐어짜기 319 노동에 대한 자본의 우위와 노동자 간의 격렬한 불평등 328 직원은 아니지만 고용주에게 복종하는 노동자의 불안정성 334 현재 수치로 판단하기 어려운 플랫폼 불로소득자 규모 340 5장 외주화: 계약 지대 외주화 351 민간 부문의 외주화 357 공공 부문의 외주화 360 계약 자본주의 368 경쟁의 부재와 계약 자본주의의 실상 383 6장 X 인자: 인프라 지대 플랫폼 불로소득자인 아마존의 사례 413 민영화 417 인프라 비즈니스(불로소득자)의 특성 422 인프라 불로소득자의 독점적 지배력의 결과 428 통신 인프라의 실상 436 인프라 독점에 관한 정부 정책 444 규제와 인프라 독점 449 투자자 친화적이고 약한 규제의 효과 453 약한 규제와 노동 465 약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