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요시카와 에이지 『삼국지』, 롤러코스터 같은 흥분과 재미 1억 부 판매의 신화를 한국에서도 읽는다! 후한 말(2세기 중엽)부터 시작된 중국의 혼란을 배경으로 100여 년간에 걸친 치란흥망을 그린 『삼국지연의』는 진수陳壽의 『삼국지』(원래는 개인적으로 편찬한 것이나 이후 정확성과 객관성을 인정받아 정사가 되었다)를 바탕으로 곳곳에서 전승되어온 설화나 구비문학을 나관중이 장회소설 형식으로 재구성하여 엮은 장편소설이다. 나관중의 『삼국지』 이전에도 『전상삼국지평화』 등 삼국의 이야기를 다룬 여러 가지 책들이 있었으나 내용이 허황되고 역사적 사실과 다른 부분들이 많았기에 나관중이 이를 바로잡아 『삼국지통속연의』로 재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나관중의 『삼국지』는 전하지 않고 현존하는 최고본은 명나라 가정제 때 간행된 ‘가정본’이다. 이후 가정본을 근간으로 여러 판본이 간행되었는데 명나라 때의 『이탁오평본』, 청나라 때의 『모종강본』이 특히 유명하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선 시대 때부터 원문이 간행되었으며 번역, 번안 작품들도 여럿 보인다. 1904년에 최초의 근대적 활자본이 간행되었으며 오늘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유명 작가들이 한 번씩은 『삼국지』 번역에 힘을 쏟아 확대, 재생산에 노력했다. 이처럼 헤아릴 수도 없이 많은 판본 중에서 유독 눈에 띄는 것이 ‘요시카와 에이지본’이다. 요시카와 에이지는 일본의 국민적 작가의 위치에 오른 소설가로 일본에서 요시카와 『삼국지』가 미친 영향은 절대적이었다고까지 말할 수 있으며 지금도 그 영향이 짙게 남아 있다. 요시카와 『삼국지』는 일본뿐만 아니라 국내에도 상당한 영향을 주었는데 김동리, 황순원과 같은 작가들도 요시카와 『삼국지』를 번역하여 출판했을 정도였고 그 외에도 여러 작가들이 요시카와 『삼국지』를 번역하거나 그것을 바탕으로 『삼국지』를 재구성했다. 이처럼 한일 양국에서 요시카와 『삼국지』는 대중들의 절대적인 지지를 얻은 또 하나의 고전이라 할 수 있다. 고전은 역시 고전으로 읽어야 한다. 『삼국지』 원본이 한문으로 되어 있어 오늘날의 독자 중 원본으로 읽어낼 수 있는 사람이 거의 없을 것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근대적 소설 형태를 띤 『삼국지』 중에서 고전이라 할 수 있는 것은 역시 요시카와 『삼국지』다. 평역자의 생동감 넘치는 인물 묘사와 역사적 사실에 대한 재해석, 허황되거나 초자연적인 사건들에 대한 과학적 설명 등 요시카와 『삼국지』는 시대를 초월하여 오늘날의 독자들까지도 공감하게 하는 요소로 가득 차 있다. 어찌 보면 『삼국지』 평역의 기준을 세운 작품이라고도 할 수 있다. 고전은 세월이 흘러도 그 빛을 잃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은은한 빛을 더해가기 때문에 고전이라 불리는 것이다. 나관중의 『삼국지통속연의』만큼의 세월에 빗대기에는 터무니없이 짧지만, 결코 짧다고만은 할 수 없는 세월 동안 그 빛을 잃지 않고 있는 요시카와 『삼국지』는 이제 『삼국지』의 고전이라 불러도 좋을 것이다. 고전은 역시 고전으로 읽어야 제맛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