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目次

머리글 프롤로그 · 상호 교류를 통해 이루어낸 동아시아 건축의 성취 1. 나무로 짓는 집의 이점 왜 돌이나 벽돌이 아니고 나무였나? 기둥과 보로 집 짓기 단층과 중층 높이에 대한 도전 조선시대 목구조 기술의 쇠퇴 소나무에 편중된 조선 후기 건축 톺아보기 1 · 동아시아의 특이한 건물들 2. 부드러운 곡선의 미학, 지붕 3차원 곡선의 지붕은 어디서 왔을까? 한중일의 기와 무거운 짐을 진 지붕 송·원 이후 중국 건축의 지붕 변화 12세기 이후 일본에서 지붕의 변모 고식을 간직한 조선시대의 지붕 구조 처마 곡선의 득과 실 지붕의 장식 톺아보기 2 · 용마루가 없는 집, 무량각 3. 천변만화하는 목조건축의 백미, 공포와 화반 공포와 화반, 문화 교류의 징표 중국에서 공포의 출발 봉정사 극락전의 공포와 화반 공포가 전해주는 13, 14세기 동아시아 문화 교류의 양상 조선시대의 공포-포 식과 익공 식 화반에 나타난 조선 장인의 낙천성 톺아보기 3 · 원조만이 누릴 수 있는 자유, 중국의 공포 4. 고인돌에서 천상의 세계까지, 석조물 화강석의 문화 고대 석조 무덤의 상징성 석탑의 나라 돌로 재현한 목조의 세부-불국사 석축 천상의 세계를 구현한 영암사 석축 빛과 그림자의 물결-종묘 정전 월대 왕릉 정자각의 석조물 톺아보기 4 · 중국, 일본에 남아 있는 석탑 5. 구들과 확산과 좌식 생활, 난방시설 구들의 탄생 일본에 건너간 구들의 운명 전면온돌로 발전 온돌과 좌식 생활 좌선과 방바닥 구조 온돌과 마루의 위대한 결합 상류층에서 하층민까지 톺아보기 5 · 여러 가지 난방 방식 6. 바람이 불어오는 문, 창호 고대 동아시아 판문과 살창 중국에서 여닫이 창호의 발달 일본에서 미닫이 창호의 보급 부석사 무량수전의 들어열개 창 대청의 출입문-세살청판분합 톺아보기 6 · 창호지 이야기 7. 휘황찬란한 아름다움, 채색과 조각의 세계 중국 건축의 채색과 장식 고대 한반도와 일본열도의 채색과 조각 장식 폭발적인 장식의 유행-모모야마 스타일 고려·조선시대 건축의 채색 조선시대 건축의 조각 장식 톺아보기 7 · 동아시아인들이 사랑한 용 장식 8. 엄정성과 역동성 사이, 공간 배치와 누각 중국 건축의 배치 원리 지세를 중시한 9세기 이후 한반도와 일본의 건축 선종 사원의 중국식 배치 원리 조선시대 산지 사찰의 외부 공간 건축 배치의 정점-누각 톺아보기 8 · 주택에서 보는 외부 공간의 이모저모 에필로그 누각에 올라 바람을 느끼고 싶다 미주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