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문고 : 영화 출판과 읽기의 연대기, 1980년 이후

프로파간다 편집부
360p
購入可能なサービス
content
評価する
3.0
平均評価
(3人)
レビュー
もっと見る

1980년 이후 중요한 영화 책의 목록을 해설과 함께 정리한 책. 한국인들은 어떤 영화책을 읽어 왔는가? 이 질문에 대한 응답의 연대기이다.

첩보극의 틀을 깨는 앤더슨다운 상상력!

완벽한 프레이밍 속, 아무도 믿을 수 없는 세계로

왓챠 개별 구매

첩보극의 틀을 깨는 앤더슨다운 상상력!

완벽한 프레이밍 속, 아무도 믿을 수 없는 세계로

왓챠 개별 구매

著者/訳者

目次

이런 책을 읽어 왔다 1980년 이후 중요 영화책 99선 퍼블리셔스(인터뷰) 정은숙(마음산책) 백준오(플레인아카이브) 유진선(프리즘오브 프레스) 임경용(미디어버스) 이후경(필로) 함연선(마테리알) 문성경(전주국제영화제) 잡지가 중요했다(리뷰) 스크린 로드쇼 영화저널 씨네21 키노 프리미어 FILM2.0 영화언어 독립영화 귀중본- 어느 수집가의 책(리뷰) 『유랑』 외 귀중본영화책 15선 영화 인생책(기고) 김호영(한양대 프랑스학과 교수) 장병원(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수석프로그래머) 윤철희(번역가) 듀나(작가) 한민수(『영화도둑일기』 저자) 이은선(영화 저널리스트) 일련의 추천 박찬욱(영화 감독) 정주리(영화 감독) 정서경(시나리오 작가) 김중혁(소설가) 박정민(영화배우) 고민시(영화배우) 정성일(영화평론가)

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야심이 넘치는 영화 창작자든, 통찰력을 지난 영화평론가든, 영화세계에서 위안을 찾는 관객이든, 저마다의 시각으로 영화책을 읽어왔다. ‘어떤 영화책을 읽었는가’는 ‘어떻게 성장해 왔는다’와 연결된다. 학습과 사유의 지평을 반영한 영화 읽기에 대한 개요는수십년동안만들어진지식의성좌들에관해뭔가이야기해줄수 있다. 지난 30여 년간 한국의 영화 관객들은 어떤 영화 또는 감독에 주문했는가, 한국 영화산업의 화두는 무엇이었는가, 영화와 대중문화 사이의 상화 관계는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학계에서는 어떤 영화이론이 유행하였는가 따 따위 물음에 대한 답을 이 책은 담담히 증언한다. 이 책은 한국영상자료원 부설 한국영화박물관에서 개최된 ‘영화문고-영화 출판과 읽기의 연대가, 1980년 이후’(24. 11. 8~25. 2. 8)의 전시 연계 출판물이다.

この作品が含まれたまとめ

2
  • 出典
  • サービス利用規約
  • プライバシーポリシー
  • 会社案内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