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서울 북촌마을, 부산 흰여울 전망대에서 제주 돌집까지 일상에서 만나는 어울림과 연결의 건축 미학 한국의 도시는 전통과 현대가 공존한다. 경복궁과 남대문 같은 전통 건축이 건재하고 동대문 디자인플라자나 리움 미술관처럼 세계적인 건축가들의 현대적 작품도 있다. 최근에는 새로운 지식과 감각으로 무장한 젊은 건축가의 활약이 돋보인다. 역사와 시간을 간직한 의미 있는 건축, 과거의 유산을 새로운 상상력으로 복원한 개성 있는 건축, 삶의 조건으로서 주거 공간에 대한 고민을 풀어낸 작품, 작은 방 하나, 계단 한 층에도 빛과 바람과 자연을 담으려는 건축 등이 바로 그 주인공이다. 이들은 독특한 개성과 열정으로 우리 도시를 빛나게 한다. 여기 우리 일상 공간에서 만날 수 있는 아름답고 개성 넘치는 건축들을 소개한다. 3인의 건축가와 함께하는 건축과 공간, 삶과 관계에 관한 통찰 『말을 거는 건축』은 3인 건축가와 함께하는 한국 현대 건축 기행이다. 이들의 ‘낯설게 보기’는 쉽게 지나쳤던 삶의 공간을 재해석하면서 새롭게 우리의 감성을 자극한다. 공간, 삶, 경계, 관계, 개성, 사회 등 그 주제 또한 관심 영역만큼이나 폭넓다. 이 책이 더욱 특별하게 읽히는 지점은, 이들이 기꺼이 함께하되 각자의 관점을 포기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독특한 이력만큼이나 생각이 다른 3인이 자기만의 눈으로 건축을 바라보고 그 안에 깃든 의미를 통찰한다. 리모델링한 제주 돌집을 살피면서 한 사람이 전통과 현대라는 이질적 요소의 결합에 주목했다면, 다른 한 사람은 건물의 빈티지한 감성에 주목하고, 다른 한 사람은 동선과 시선을 나누는 공간 디자인을 다루는 식이다. 서로의 시선이 자유롭게 만나고 교차하면서 보여주는 독특한 무늬와 울림은 이 책이 선사하는 특별한 재미다. 전국에서 찾은 30개의 개성 있는 건축물 150여 장의 컬러사진과 함께 수록 이 책에는 모두 30개의 아름답고 개성 있는 건축물이 등장한다. 해외에서나 만나볼 수 있는 건축물이 아니다. 마을버스를 타고 찾아갈 수 있는 이웃 같은 건물들이다. 서울만 해도 이런 건축물이 많다. 북촌마을 입구는 벽을 허물고 새롭게 단장했으며 서소문 성지 역사 박물관은 지하에 멋진 기하학적인 전시 공간을 숨겨두고 있다. 서울 세종로에 있는 도시건축 전시관은 랜드스케이프(Landscape, 대지와 건물을 하나의 표면으로 통합하려는 건축 경향) 방식으로 지어져 시민들에게 여유 공간을 선사하고 있다. 이들은 겉보기에도 아름답지만 건축학적으로도 매우 의미가 깊다. 이 밖에도 전국 각지에는 숨은 보석처럼 빛나는 건축물이 많다. 필진들은 직접 현장을 찾아 그곳에서 느낀 감동을 150여 컷의 생생한 컬러 사진과 함께 담아냈다. 전문가들의 세심한 안내와 함께, 벽돌 하나하나가 마치 씨앗처럼 대지에서 솟아나는 건축, 거대한 곡선으로 구성한 아름다운 건축, 지하에 펼쳐지는 장엄한 공간의 건축 등을 둘러보며 흥미로운 건축 여행을 즐겨보자. 건축에 관한 철학적 접근 일상과 삶을 낯설게 보기 서울 잠원동에는 폭이 1.5미터의 협소 주택이 있다. 대지의 물리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건축가가 차용한 전략은 무엇일까? 이야기를 듣다 보면 우리는 어느새 건축에서 구현되는 공간과 시간성을 이해하게 된다. 전라남도 여수에는 바다를 닮은 아름다운 건축물이 있다. 벽돌로 하나하나 쌓아 올린 이 건물 앞에서 필자는 부분과 전체, 모나드(Monad)라는 존재론적 질문과 마주한다. 그들은 또한 우리에게 묻는다. 좋은 건축이란 무엇인가? 건축의 본질이란 무엇인가? 넓은 평수의 아파트와 자연을 압도하는 과시적 인공물에 길들여진 우리에게 이러한 질문은 낯설다. 그러나 걱정할 필요는 없다. 3인의 건축가와 함께하다 보면 어느새 자기만의 답을 찾을 수 있다. 건축은 단순히 집을 짓는 일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건축은 그 자체로 우리의 삶을 반영한다. 그러기에 훌륭한 건축을 이해하는 일은 바로 우리 자신을 이해하는 것과 같다. 그런 의미에서 다음과 같은 필자의 지적은 곱씹어볼 만하다. “소중한 건축은 항상 거기에 있었다. 다만 우리가 눈여겨보지 않았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