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우리의 동시대 사진은 왜 2000년대 이후인가? "2000년대 이후 한국 동시대 예술로서의 사진은 1990년대 중후반의 ‘탈 프레임적 징후’를 이어받아 깊어지고 넓어지면서 본격화되었다. 개념과 구성이 중시되는 서구의 동시대 사진 경향이 다수의 사진가에게서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각자의 주관적 시각에 따라 보다 다양한 한국적 사진 양상이 펼쳐지게 된 것이다." - 본문 중에서 ‘장치’에 맞서는 사진 사진을 찍는 행위는 도구의 변천사와 함께 변화해왔다. 사진을 찍기 위해 필요한 도구와 행위는 간편화되어 이제는 손끝으로 가볍게 건드리는 것만으로도 사진을 찍을 수 있다. 디지털 사상가 빌렘 플루서(Vilem Flusser)는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간편해진, 정보를 생산하는 도구를 ‘장치’라고 명명한다. 대다수의 기능이 자동화된 ‘장치’에 인간은 쉽게 종속된다. 그렇다면 ‘장치’에 매몰되지 않고 맞서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저자 신혜영은 빌렘 플루서(Vilem Flusser)의 글을 인용하여 “실험적인 사진가들”은 장치 너머 이외의 것, 장치의 프로그램에 나타나지 않는 “숨겨진 정보를 생산”하기 위해 의식적으로 노력하는 이들이라고 말한다. 16인의 작가, 8개의 범주로 들여다보는 2000년대 이후의 한국 동시대 사진 이 책에서 저자는 2000년대를 한국 동시대 사진의 본격적 시작점으로 삼고 '개념'과 '구성'으로 장치에 맞서 자신만의 작업 세계를 펼쳐 온 한국 사진가 16인을 8개의 범주로 나누어 소개한다. 이들은 사진이라는 매체의 본성에 매몰되지 않고 본인의 작업적 개념 실현을 위해 매체 사용을 확장해 온 동시에 한국 사회만의 특수한 상황과 고유의 정체성을 작품으로 보여주는 작가들이다. 한국 동시대 사진의 특징을 나타내는 여덟 가지 범주 안에서 작가들은 공통점과 차이점을 보여주며 범주의 개념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이로써 단지 비평문을 모아 엮은 것 이상의 의미를 가지게 된 『장치에 맞서다』는 한국 동시대 사진의 흐름을 새로운 지형도로 그려내고 오늘날 예술로서 사진을 한다는 것의 의의를 되새기는 계기가 될 것이다.